•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bS의 경우에 MMCC의 평균 신념치(47.39)는 CCMM의 평균 신념치 (66.09)보다 낮은데 두 집단의 평균 비교 결과(3.555/p<0.01)로 유의하게 나오 고 있으며,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신효과의 영향 때문이라고 할 수 있 다. 마찬가지로 EoS의 경우에도 MMCC의 값(56.08)이 CCMM의 값(56.96)보 다 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두 집단의 비교 검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0.206/p=0.83), 정보의 신념 변화도가 크다면 최신효과가 존재할 가능 성을 고려할 수 있다.

가설 검정을 통해서 정보응답 방식과 정보의 순서에서 모두 최신효과가 존재 함이 밝혀졌다. 즉, 앞의 서술통계량과 함께 살펴보면 EoS 집단보다 SbS 집단 에서의 최신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또한 긍정적인 정보를 받고 부정적인 정보를 받는 집단의 확률추정치가 반대의 경우의 확률추정치보다 낮게 나타나는 최신효 과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가설 2>는 지지된다고 결론을 내릴 수가 있 다.

62.67

76.67

51.33

40.67 48 50

73.33 60.67

40

30

63.3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기초값 정보1 정보2 정보3 정보4 재검토

신념값

MMCC-R CCMM-R

< 그림 4 > 자기검토에 의한 최신효과의 감소방안

위의 그림에서 보면 자기검토 방안의 정보의 혼합(mixed)을 가져오므로 처음 에 SbS 응답방법 하에서의 순서효과 즉 최신효과를 줄여줄 수 있다고 고려할 수 있다. 또한, SbS 응답방법 하에서 최종신념에 대한 자기검토 결과는 EoS 응답 방법 하에서의 최종신념과 같을 것이라고 본다. 왜냐하면 자기검토를 통해 정보 의 혼합(Mixed)을 가져오기 때문에 EoS 응답방법과 정보제시 방법이 같으므로 최종신념은 같게 나오리라는 예측을 할 수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 정하였다. 통계적으로 자기검토 방안이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 4>와 <가설5>를 설정하였다.

<가설 4> SbS 응답방법 하에서 최종판단에 대한 자기검토는 정보의 최신효과를 감소시킨다.

<가설 5> SbS 응답방법 하에서 최종판단에 대한 자기검토의 결과는 EoS 응답 방법하의 최종 신념결과와 같게 나타난다.

다음의 <표4-10>는 위의 가설을 검정한 표이다.

<표 4-10> 자기검토 결과의 비교 검정

자기검토를 통한 최신효과 감소방안은 SbS CCMM 응답방법 하에서는 유의하 게 나오고 있으나(t-값=1.861 / p=0.0733), SbS MMCC 응답방법 하에서는 유의하게 나오지 않고 있다.(t값=1.403 / p=0.1715) 그러나 자기검토를 통해 최종신념의 값이 상승을 가져오고 있으므로 최신효과의 감소를 가져온다고 고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의 < 가설 4 >을 일부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기검토를 통한 최종신념의 값과 EoS 응답방법의 최종신념의 값이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므로(p=0.28/p=0.49) 자기검토를 통한 최종신념의 값 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위의 < 가설 5 >를 지지하고 있다.

제3절 추가분석

의사결정자의 인지태도나 최종결정에 따른 신념의 차이 여부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최신효과 감소 방안의 측면을 의사결정자의 인지태도와 연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 분석을 하였다.

<표 4-11> 투자결정에 따른 최종 신념치에 대한 비교 분석

정보유형 신념 평균값 표준편차 t-통계량(p값)

SbS MMCC 40.66 13.87 1.403

(p=.1715)

MMCC-R 48 14.74

SbS CCMM 73.33 15.43 1.861

(p=.0733)

CCMM-R 63.33 13.97

EoS MMCC 54.66 18.85 1.079

(p=.2897)

MMCC-R 48 14.74

EoS CCMM 59.33 17.51 0.692

(p=.4949)

CCMM-R 63.33 13.97

응답방법 SbS EoS

MMCC CCMM MMCC CCMM

투자여부 X O X O X O X O

n 8 7 3 12 6 9 3 12

최종신념 35 47.14 53.33 78.33 38.33 65.56 36.67 65 t-값 1.827(p=0.09) 3.261(p=0.006) 3.878(p=0.001) 3.253(p=0.006)

<표 4-11>은 투자결정에 대한 최종신념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서 투자를 채택한 의사결정자의 최종신념은 투자를 채택하지 않는 최종신념의 집단보다 신 념이 값이 크고 이에 대한 검정결과 또한 유의하게 나오고 있다.

<표 4-12> 경력에 따른 최종신념 분석

<표 4-12>는 10년을 기준으로 10년 이하와 10년 초과의 경력을 갖고 있는 집단을 비교 검정하였다. 위의 결과를 보면 SbS 응답방식 하에서 MMCC의 경 우 10년 이하(47.57)과 10년 초과(33.75)의 값이 T-검정을 통해 유의하게 나 왔으며, 나머지 집단은 유의하지 않게 나오고 있다. 그러나 10년 초과의 경력을 갖는 집단의 신념치를 관찰해 보면 부정적인 정보에 민감한 것으로 보여진다. 즉 순차적으로 정보를 주었을 때(SbS 하에서) 10년 이하의 경력보다 최종신념치는 작게 나왔으며, 동시적으로 정보를 주었을 때(EoS 하에서) CCMM의 경우 긍정 적인 정보보다 부정적인 정보에 민감하게 보인다는 것이다, 다시 바꾸어 말하면 10년 이하의 경력을 갖는 집단의 경우에는 EoS 하에서 동시적으로 정보를 제시 했으나 최종신념의 차는 10년 초과의 경력을 갖는 집단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추후 정밀한 연구구조를 사용하여 추가 연구될 부분이다.

응답방법 SbS EoS

MMCC(n) CCMM(n) MMCC(n) CCMM(n) 10년 이하 47.57(7) 75.71(7) 51.25(8) 67.5(8) 10년 초과 33.75(8) 71.25(8) 58.57(7) 50(7)

t-통계량 (p값)

2.386 (p=0.033)

0.545 (p=0.59)

0.738 (p=0.47)

2.172 (p=0.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