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    

인 정수 를 와 의 공약수(common divisor)라고 한다.

또,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를  의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라 하고, 이것을  또는  로 나타낸다.

(ⅰ)  ≥ 

(ⅱ)      , 즉 는 와 의 공약수이다.

(ⅲ) 정수 에 대하여      이면   이다.

즉, 와 의 공약수는 모두 의 약수이다.

두 정수  에 대하여

     

인 정수 를 와 의 공배수(common multiple)라고 한다.

또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을  의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라 하고, 이것을  또는  로 나타낸다.

(ⅰ)  ≥ 

(ⅱ)      , 즉 는 와 의 공배수이다.

(ⅲ) 정수 에 대하여      이면   이다.

즉, 와 의 공배수는 모두 의 배수이다.

특히      인 경우에 최대공약수  는  의 양의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크고, 또 최소공배수  는  의 양의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다.

[정리1] 두 정수  에 대하여 와 의 최대공약수    는 단 하나 존재한다.

그리고 ℤ  ℤ        ∈ ℤ 라고 하면,

ℤ  ℤ  ℤ 이고,     인 가 존재한다.1)

[증명]   ℤ  ℤ라고 하자. 임의의 두 정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므로 ℤ ⊂  ℤ ⊂ 이고  ≠ ∅이다. 그리고, 임의의 정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1) 두 정수 와 의 최대공약수가 1일 때, 즉    일 때, 두 정수  는 서로 소(relatively prime)라고 한다.

이므로, 는 덧셈과 뺄셈에 관하여 닫혀 있으므로,   ℤ  ≥ 인 정수 가 존 재한다.

한편,  ∈ ℤ ⊆   ℤ ∈ ℤ ⊆   ℤ이므로      이다. 또,  ∈ ℤ   이므로     인 두 정수  가 존재한다. 따라서,      이면   이다. 그 러므로 는  의 최대공약수이다.

다음에,  을  의 최대공약수라고 하면, 정의의 조건에 의하여

      ≥  ≥ 이므로   이다.

[정리2] 두 정수  에 대하여 와 의 최소공배수    는 단 하나 존재하고 또 ℤ∩ℤ  ℤ이다.

[증명] 먼저  ∈ ℤ∩ℤ이므로 ℤ∩ℤ ≠ ∅이다. 그리고 분명히 ℤ∩ℤ는 덧셈과 뺄셈에 대하여 닫혀 있으므로,

 ∈ ℤ∩ℤ  ℤ  ≥ 

인 정수 이 존재한다. 한편, ∈ ℤ  ℤ∩ℤ이므로       이다.

그리고       이면, ∈ ℤ∩ℤ  ℤ이므로   이다. 따라서 은  의 최소공 배수이다.

다음에  을  의 최소공배수라고 하면, 정의에 의하여     이고 또

 ≥  ≥ 이므로   이다.

[정리3] 유클리드의 알고리즘(Euclidean algorithm) 두 정수  에 대하여

   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이 때,      이다. 그리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특히,              

[증명] 나눗셈 알고리즘에 의하여 정수   ⋯ 과   ⋯   이 존재하고,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다음에      인 경우에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 ≤  ≤ 일 때,     ⋯ 에 대하여 등식

     가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에 대하여     이다(박승안외1인, 2002)

유클리드 알고리즘이 실생활 문제를 푸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자.

이번 주말에 실시하는 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 수가 남학생 5460명, 여학생 3234명이다. 각 조에 속하는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의 인원수가 같도록 여러 개의 조로 나누어 봉사 활동을 실시할 때, 될수록 많은 조로 나누는 방법을 알아보자. 각 조에 속하는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의 인원수가 같아야 하고, 될수록 많은 조로 나 누어야 하므로, 구하는 조의 수가 5460과 3234의 최대공약수이다. 5460과 3234 의 최대공약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42개의 조로 나누면 된다. 그런데 5460, 3234처럼 작은 수가 아니고 10자 리 이상의 큰 수가 나오면 소인수 분해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것은 무리이다. 따라서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야만 구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유클리드 알고리즘으로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 자.

우선 유클리드 알고리즘에 의해 다음의 식을 구할 수 있다.

5460=3234×1+2226 3234=2226×1+1008 2226=1008×1+ 210 1008= 210×4+168

210= 168×1+ 42 168= 42×4+ 0

위의 등식에 의해 우리는 42가 최대공약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어진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기 위해 현행 중학교 교과서에서 제시된 방법은, 두 수를 소인수분해하여 공통으로 존재하는 소수들을 곱함으로써 최대공약수를 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과 비교하여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분석해 보면, 주어진 수의 크기가 작을 때는 유클리드 알고리즘의 유용성이 적다고 보여 질 수 있지만, 조금만 더 수가 커지면 중학교 교과서에 있는 것처럼 소인수 분해를 해서 최대공약수를 구한다는 것은 너무도 힘들 것이다. 이때에 유클리드 알고리즘의 유 용성이 빛을 발할 것이다(김영미, 200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