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1) 교과 목표의 분석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은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 요구를 반영한 교과 내용 구성 체제와 더불어 제6차 교육 과정에서 강조하였던 개 성, 창조, 정서교육으로서의 미술 교과 성격이 더욱 강조되었다. 미술과 교 육을 통해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인식할 수 있는 미적인 안목을 키우고, 생활 속에서의 미술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북돋우며, ‘주제 표현’, ‘표현방 법’, ‘조형 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 등 미술 표현에 필요한 학습 요 소들을 바탕으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표현된 미 술품을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미술 문화에 대한 이해와 안목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미적 경험을 제공하는데 더욱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끌어야할 과제로 본다. 교과목표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다.

<그림 1>미술과 목표 체계표

표현 및 감상 능력, 창의성, 심미적 태도

미적 체험 영역 표현 영역 감상 영역

창의적 영역 미적 대상의 가치 발견 및

이해 미술품의 가치 판단 및

존중

자료 : 교육부(2003),「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미술 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11.

2) 지도 내용의 분석

3) 편성 체계 및 영역별 내용 분석

교육 과정의 목표 및 내용에 교과서의 접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과서를 영역별로 학습 제재별 내용 및 표현 방법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표-4> 영역별 제시 작품의 분석표 영역

학년

회화, 판화

조소

디자인

공예 서예

감상

한국화 서양화 판화 평면

작품 입체 작품

평면 작품

입체 작품 자연

5 3 9 4 15 9 5 42 5 7 5 8 112

% 2.6 8 3.5 13.4 8 4.5 37.5 4.5 6.3 4.5 7.2 100

6 5 19 9 21 9 7 7 7 10 9 4 107

% 4.7 17.8 8.4 19.6 8.4 6.5 6.5 6.5 9.4 8.4 3.8 100

<표-4>에서 보는 바와 같이 5학년 미술 교과서에서는 공예, 회화, 조소 작품 순 이고, 6학년 미술 교과서에서는 회화, 조소, 디자인 작품 순의 빈도로 편성되었고 전통 미술을 중시하는 7차 교육 과정에서 한국화의 제시가 부족하다 할 수 있다.

판화, 서예 영역은 매우 계획적으로 제시되었고 입체적인 디자인 작품이 평면 작품 보다 적은 점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본다.

4) 교재 분석

연구 대상인 6학년 미술 교육과정의 조소 영역에서 다음과 같이 학습지 도 내용을 분석하고 학습 제재에 다른 지도 내용을 추출하여 기초지도 과 정을 정립하였다.

<표-5> 교재 분석표

단원 제 재 참고작품 및

단원 제 재 참고작품 및

단원 제 재 참고작품 및

5) 교육과정 분석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종합해 볼 수 있다.

(1) 내용 분석을 통한 영역별 편중 정도는 평면 회화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많이 제시되어 있고, 제시 작품이 아동의 생활과 좀더 밀접한 내용이어야겠다.

(2) 표현 활동 영역에 있어서 작품 제작 과정 및 방법 제시가 부족하고 다양한 재료의 선택과 제시가 미비하다.

(3) 감상 작품의 제시에도 감상에 필요한 해설이나 감상 과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4) 교과서에 사용된 용어는 평이한 용어로 별 문제점이 없으나 표현 재료와 용구 사용에 대한 분석에서는 인공 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재료의 제시와 용구 사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없다. 지역 실정에 맞는 지역화 자료 와 어린이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도판으로 보완되어 어린이들로 하여금 흥미를 갖고 활동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미술과 필수 학습 요소에는 여러 가지 재료 및 용구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조소영역에 사용되는 재료에서 대부분 찰흙, 고무 찰흙, 지점토, 정도만 사용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표현방법도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어린 이 미술교육에 적용한다는 것은 어린이의 미적 체험을 돕고 감정, 느낌, 경험 등을 독창적으로 표현하도록 안내한다는 의미에서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어린이의 성장 발단단계에 맞는 적절한 재료를 탐색하게 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 어 어린이가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 창조적 행위로 도입될 때 의미 있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것이 바로 교육적 가치가 되는 것이다.

초등학교 중․고학년들은 독특한 재료나 표현 기법에 관심이 많은 시기이므로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창의적인 표현에 효율적인 방법이다.

또한 어린이들은 객관적인 사실에 접근하려는 욕구가 점점 커지므로 단조로운 것 은 가급적 피하고 자연재를 활용하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재료의 활용을 증대시켜 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