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 필요성

청소년기는 발달단계상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및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과정 을 경험하며, 자아개념과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Han et al., 2001; Kim, 2017(b)). 또한, 청소년 시기에 성적 충동과 관심을 갖는 것은 정 상적인 발달과업으로 이를 통해 건강한 성적 정체감을 자신의 정체감에 통합해 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Han et al., 2001).

청소년기의 건강행위는 청소년기를 포함하여 인간의 전 생애주기의 건강에 영 향을 주지만(Gwon & Lee, 2015),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정체성의 혼돈, 과도한 입시 경쟁의 교육환경, 가족 및 친구를 비롯한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갈등 등 다 양한 문제를 접하며, 청소년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Lee, 2013).

이런 상황에서 청소년들은 심한 스트레스, 우울 등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자 주 경험하고 높은 흡연율과 음주율, 낮은 신체활동 수준 등의 건강불균형이 나타 나고 있고 일부 청소년들에게는 인터넷 중독, 자살, 범죄, 성적 위험 행동 등과 같은 일탈 행동까지 나타나고 있다(Pyo et al, 2016).

또한, 현대 사회의 개방화된 성문화와 최근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무분별하게 유입되고 있는 왜곡된 성 정보들로 인하여 청소년들이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과 건강한 성적 정체감을 형성해 가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올바른 성의식과 성 태도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이나 피임에 관한 정확한 지식의 습득 없이 충동적으로 위험한 성관계 경험을 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Chun, 2010;

Kwon et al., 2006).

2005년부터 국가차원에서 매년 실시되고 있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청

소년 성관계 경험률 추이를 살펴보면,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높고,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약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관계 시작 연령은 2005년 13.6세에서 2016년 13.1세로 점차 저연령화 되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이처럼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 시기가 빨라지면서 10대 임신, 성병 등의 의학적 문제들 또한 증가하고 있다(Hong & Moon, 2009; Jang, 2017).

그리고, 청소년 시기의 성관계 경험은 성관계 경험에 국한되지 않고 흡연, 음주, 약물남용, 청소년 범죄 등과 중복적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Hong & Moon, 2009;

Pyo et al, 2016). 이처럼 청소년 시기는 흡연, 음주, 약물사용 등의 문제가 나타 나는 시기이면서 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성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기에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 하다(Hong & Moon, 2009).

단, 청소년기에 성적 충동과 관심을 갖는 것은 정상적인 발달과업이므로(Han et al., 2001)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을 무조건적인 비행이나 일탈행동으로 간주할 때 청소년의 성에 대한 의식과 태도를 올바르게 확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은 개인, 또래, 가정과 학교 등 다양한 맥락 속에서 영향을 주고 받 으므로 복합적인 측면들을 고려하여 올바른 지식과 의식 및 태도를 바탕으로 건 강한 성적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력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Kim, 2017(b)).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로, 중·고등학교 남녀 학생을 모두 포함하 지 않은 단 일 성별 또는 단 일 학교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성관계 경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Gwon & Lee, 2015; Jung, 2001; Kwon et al., 2006; Kim et al., 2004; Lee, 2007; Park, 2015; Yu et al., 2014; Zila, 2013)가 있었으며, 일부 지역의 성관계 경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Aspy et al., 2006; Han et al., 2001;

Kwon et al., 2006; Kim et al., 2004; Lee, 2007; Yang et al., 1998; Yu, 2009)가 있었다. 또, 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Kim, 2005; Kim, 2017)와 일부지역 청소년의 음란물 접촉과 성행동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Ji, 2001; Kim, 2002; Kim, 2003; Park, 2015; Yu, 2009) 등이

있었으나 건강생활실천 특성의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하지는 못하였다. 또, 중·고 등학교의 남녀 학생을 포함하더라도 성관계 경험 위험요인 중 몇 가지에 국한하여 조사한 연구(Boo et al., 2017; Chun, 2010; Lee, 2016; Pyo et al., 2016; Santelli et al., 2000; Sohn, 2002)가 있었으며 건강생활실천 특성의 세부 변수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정 및 학교 관련 특성, 건강생활실천 특성의 변수들을 다양하게 포함하여 중·고등학생 성관계 경험과의 연관성을 분석 해보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 년의 건강생활실천 특성과 성관계 경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생활실천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생활실천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생활실천과 성관계 경험 간의 연관성을 분 석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