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자료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http://sillok.history.go.kr 가시리 청년회,『가스름 연구』,1994.

가시리 향토지,『가스름』,1988.

고성리 향토지,『고성리지』,1993.

『남제주군 의회 연도보고서』,1995

『남제주군지』III권,남제주군,2006.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제23호,문화재관리국,1966.

신례2리 향토지,『공천포지』,1994. 오문복,『풍천약사』,풍천국민학교,1987.

위미리 향토지,『위미리지』,위미협동조합,1991.

『제주의 민속 I』,제주도,1993.

토평리 향토지,『토평마을』,2004.

『풍속무음』,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199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5책,문화재관리국,1974.

하천리 향토지,『냇끼』,1995.

2.단행본

고창석,『탐라국시대사』,서귀포문화원,2007.

국립문화재연구소,『예절』,한국민속종합보고서 제18책,1987.

국립민속박물관,『한국의 초분』,2003.

김인호,『한국 제주 역사 문화 뿌리학』,우용출판사,1977.

김유정,『아름다운 제주석상 동자석』,한국문화예술진흥원,2003.

김유정⋅손명철,『제주의 무덤』,제주특별자치도⋅국립민속박물관,2007.

문무병,『제주도 무속신화 열두본풀이 자료집』,칠머리당굿보존회,1998.

문옥표 외,『조선시대 관혼상제(II),상례편(1)』,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9.

터너,V.,박근원 옮김,『의례의 과정』,한국심리치료연구소,2005. 신행철 외,『제주사회론』,한울아카데미,1995.

반겐넵 A.전경수 옮김,『통과의례』,을유문화사,1985.

이광규,『한국인의 일생』,형설출판사,1985.

이기욱,『제주 농촌경제의 변화』,집문당,2005. 임재해,『전통상례』,대원사,1998.

장철수,『한국의 전통상제』,집문당,1997.

---.『옛 무덤의 사회사』,웅진출판,1995.

지재희 해역,『예기 상,중,하』,자유문고,2000.

진성기,『제주도 무가 본풀이사전』,민속원,1991.

---,『남국의 세시풍속』,제주민속문화연구소,1969. ---,『남국의 민속:제주도 세시풍속』,교학사,1976.

최길성,『한국 민간신앙의 연구』,계명대학교 출판부,1989.

최재석,『제주도의 친족조직』,일지사,1979.

현용준,『제주도무속연구』,집문당,1986.

현승환,『제주인의 일생』,제주특별자치도⋅국립민속박물관,2007.

제주도,『제주의 민속 V』,1998.

3.논문

강문유,「제주도 상여노래 연구」,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1990. 고부자, 『제주도 의생활의 민속학적 연구』,서울여자대학교 박사논문,1994.

---,「제주도민의 호상옷과 내세관」,『제주도연구』 제1집,제주도연구회,1984.

---,「제주도민의 상례에 나타난 복식」,『제주도연구』 제2집,1985.

고정하,「제주도 상⋅제례 절차에 나타난 ‘토롱’의 교육적 의미 연구」,제주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논문,2004.

고창석,「조선후기 제주지방의 분재기연구」,『탐라문화』24호,탐라문화연구소,2004.

금장태,「조상숭배의 유교적 근거와 의미」,『한국문화인류학』18집,한국문화인류학회, 1986.

김기덕,「한국의 매장문화와 화장문화」,『역사민속학』16호,한국역사민속학회,2003. 김문택,「상례와 시묘살이」,『조선시대 생활사2』,역사비평사,1988.

김봉옥,「이형상 편저 남환박물 2」,『제주도』통권 제93호,제주도,1993.

김시덕,「상례,누구를 위한 의례인가?」,『민속학연구』7집,국립민속박물관,2000. ---,「신주 유무에 따른 상례의 차이」,『역사민속학』제15호,한국역사민속학회,2002.

---,「가정의례준칙이 현행 상례에 미친 영향」,『역사민속학』12호,한국역사민속학회, 2001.

다카무라 료헤이,「식민지 조선 및 대한민국에 있어서의 묘지문제와 그 전개과정」,교토대 학 박사학위 논문,2003.

문애리,「유림장의 의례절차와 사회적 의미」,『역사민속학』,8호,한국역사민속학회,1999.

박종오,「진도의 초분」,『남도민속연구』21집,남도민속학회,2006. 송재용,「의례와 경제」,『비교민속학』27집,비교민속학회,2004.

송현동,「근대 이후 상장례정책 변화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역사민속학』 14호,한국 역사민속학회,2002.

안호용,「유교의례의 보편화와 전통사회의 구조화」,『한국의 사회와 문화』제21집,한국정 신문화연구원,1993.

---,「조선전기 상제의 변천과 그 사회적 의미」,고려대 박사학위논문,1989.

염경화,「제주도 묘제 및 장례풍습 소고」,『한국민속학 일본민속학 III』,국립민속박물관, 2007.

이두현,「장제와 관련된 무속연구」,『문화인류학』6집,한국문화인류학회,1974.

이상철,「제주 지역사회의 구조와 변동」,『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백산서당, 2003.

임재해,「장례관련 놀이의 반의례적 성격과 성의 생명상징」,『비교민속학』12호,비교민속 학회,1995.

장주근,「한국 민간신앙의 조상숭배」,『한국문화인류학』15집,한국문화인류학회,1983.

---,「무속의 조상숭배」,『한국문화인류학』18집,한국문화인류학회,1986.

장윤식,「신앙체계로서의 무속」,『한국문화인류학』16집,한국문화인류학회,1984.

장하열⋅강성경,「한국의 전통상례와 죽음관 연구(1)」,『종교교육학연구』,한국종교교육학 회,2000.

전경수,「관혼상제의 전통만들기」,『역사민속학』19호,한국역사민속학회,2004.

정승모,「제주도 하효리 상장구 관련 성책계문서 해제」,『역사민속학』제17호,한국역사민 속학회,2003.

정승모,「상·장제도의 역사와 사회적 기능」,『한국 상장례』,국립민속박물관,1990.

정종수,「우리나라의 묘제」,『한국상장례』,국립민속박물관,1990.

조성윤,「19세기 제주도의 국가제사」,『19세기 제주사회 연구』,일지사,1997.

---,「정치와 종교:조선시대의 유교 의례」,『사회와 역사』53호,한국사회사학회, 1998.

조혜인,「조선 향촌질서의 특성과 그 정착과정」,『한국의 사회와 문화』21집,한국정신문 화연구원,1993.

최근덕,「조상숭배와 의례」,『한국문화인류학』18집,한국문화인류학회,1986.

최길성,「풍수를 통해 본 조상숭배의 구조」,『한국문화인류학』16집,한국문화인류학회, 1984.

최래옥,「민속 신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인의 죽음관」,『비교민속학』,17집,비교민속학회, 1999.

표인주,「호남지역 상장례와 구비문학에 나타난 죽음관」(『한국민속학』 32호,한국민속학 회,2000.

허용호,「전통 상례를 통해서 본 죽음」,『한국고전연구』,6호,2000.

현용준,「제주도의 상제」,『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집문당,2002.

현승환,「제주도 상⋅제례의 절차와 신앙적 의미」,『탐라문화』17호,제주대학교 탐라문화 연구소,1997.

Abstract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