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상진(2003). 교육학의 미래와 다층모형. 한국교육, 30(3), pp.437~456.

강선경, 김학주(2007). 사회서비스 품질향상 방안 및 관리모형 도출에 관한 연구. 서율: 보건 복지부.

강혜규, 박세경, 박수지, 이정은, 이선희, 장은진 외(2012). 사회서비스 활성화사업군 심층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ㆍ기획재정부.

김동기(2009). 자립생활서비스 이용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자립생활센터의 조직 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pp.59~92.

김석권, 안홍선(2011). 노인복지시설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분석: 은평구, 강서구 노인 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7), pp.3046~3052.

김성희, 황주희, 이민경, 심석순, 김동주, 강민희 외(2013).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방안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용득(2005). 영국 커뮤니티커어의 이용자 참여기제와 한국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57(3), pp.363~387.

김용득(2012. 2. 28). 장애인의 낮 활동 지원(돌봄) 서비스 체계의 심층연구 필요성과 조사구상,

「사회서비스 활성화사업군 심층평가」 4차 연구진 회의자료.

김은정(2008). 사회서비스 재정지원방식의 변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정책과제. 사회복지정책, 35(4), pp.141~168.

맹두열, 심영미(2011). 복지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이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 회연구, 31(2), pp.180~205.

박수경(2006). 자립생활패러다임에 따른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1), pp.237~264.

박수지, 정은희, 김가희(2013). 장애인서비스의 질과 공급특성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이봉주, 김용득, 김은정, 김낭희, 서정민(2012).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전담기구 설치에 관한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ㆍ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이선미(2013).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 재이용의사,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용환(2007). 노인복지서비스 품질지각이 Client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노인복지연구, 35, pp.47~68.

이유재, 김주영, 김재인(1996). 서비스 산업의 현황에 대한 실증연구. 소비자학 연구, 7(2), pp.129~158.

이유재․라선아(2006). 한국기업의 서비스 품질 평가제도 변천과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조성숙․허만세(2012).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재이용의사에 대한 만족 도의 매개효과 분석. 서울도시연구, 13(1), pp.127-138.

한성윤, 임병진(2012). SERVQUAL모형을 통한 노인돌봄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요인분석.

대한 경영학회지 춘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pp.155~167.

홍세희(2007).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2007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I 미간행 시리즈.

홍현미라․이은정(2008). 사회적 일자리 참여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효과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HLM) 적용. 사회복지정책, 35, pp.457~480.

Boulding, W., Kalra, A., Staelin, R. and Zeithaml, V. A. (1993). Am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 pp.7~27.

Cornin, J. J. and Tayler, S. A. (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 pp.55~68.

Dejong, G(1981).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Independent Living Outcomes.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USA/Michigan State University.

Desarbo, W. S., Huff, L., Rolandeli, M. M. and Choi, J. (1994). On the Measurement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A Conjoint Analysis Approach. pp.201~222, in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Rust, R. T. and Oliver, R. L. (Ed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Leadbeater, C. (2004). Personalisation through Participation: A New Script for Public Services. London: Demos.

Malley, J. and Fernandez, J. L. (2010). Measuring Quality in Social Care Services:

Theory and Practice.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81(4),

pp.559~582.

McMillen, J.C., Proctor, E. K., Megivern, D., Striley, C. W., Cabassa, L. J., Munson, M. R., and Dickey, B. (2005). Quality of Care in the Social Service: Research Agenda and Methods. Social Work Research. 29(3), pp.181~191.

Megivern, D. M., McMillen J. C., Proctor, E. K., Striley, C. W., Cabassa, L. J., Munson, M. R. (2007). Quality of Care: Expanding the Social Work Dialogue.

Social Work. 52(2), pp.115~124.

Parasuraman, A., Zeithaml, V.A. and Berry L. L.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pp.12~40

Parasuraman, A., Zeithaml, V.A. and Berry L. L. (1994). Reassessment of Expectations as a Comparison Standard in Measuring Service Quality: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58, pp.111~124.

Rust, R. T. and Oliver, R. L. (1994). Service Quality: Insight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rom the Frontier. pp.1~19, in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Rust, R. T. and Oliver, R. L. (Ed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Zeithaml, V. A., Berry L. L. and Parasuraman, A. (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 pp.31~46.

Service Quality for the Disabled on th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