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선영. (2013).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적 연구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교육과학기술부. (2011). 인재대국 진입으로 선진 일류국가 실현. 2012년도 업무보고. 서울: 교 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학교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부. (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계획. 교육부 보도자료. (2013.5.28.).

교육부. (2013). 행복한 학교생활로 학생의 꿈과 끼를 찾는다. 서울: 교육부.

교육부. (2014). 모두가 행복한 교육, 미래를 여는 창의 인재. 교육부 업무보고. (2014. 2. 13.).

교육부. (2014). 인성교육중심수업강화를 위한 기술·가정 교수학습자료.

교육부. (2015). 2015 개정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권태훈, 현수민, 하태민. (2013). Want 내가 꿈꾸는 직업. 서울: 메가북스(주).

금지헌, 백성희. (2013). 목공예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기술에 대한 태도와 융합 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7(4), 991-1006.

김가영. (2013). 중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김경희. (2007).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2007 결과보고서. 서울: 교 육과정평가원.

김나연. (2006). 체제적 교수설계를 적용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연구 : 대학생 소비 자 신용교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원. (2015).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자료의 개발과 적용: 3D 카메라 만들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성훈. (2014). 2014 KICE 교육과정 포럼 운영-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 교육의 가능성 탐색. 서울: 교육과정평가원.

김진만. (2014). 2009 개정 교육과정 중1 과학 교과서 내 '융합(STEAM)요소' 분석 및 적용 실태와 중학교 교사들의 융합(STEAM)교육 인식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수. (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김진수. (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김진수. (2012a). STEAM 교육론. 경기도: 양서원.

김진수. (2012b). 창의성교육과 STEAM 교육. 초등교원 창의인성교육 능력개발 직무연수. 대 구광역시교육연수원.

김형식. (2015). 보드게임기반 수학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역량에 미치는 영향. 경 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나승일, 이용환, 정철영, 이해선, 김준영. (2001). ISD를 적용한 전문대학의 모듈식 교재개발 모형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3(3), 83-115.

나승일. (2004).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법 가이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남현욱. (2011). 교육과정에서 소외받는 공학-진정한 공학 교육이 가능하려면? 서울: 더사이언 스.

박기창 (1997). 교수매체 활용 연수 프로그램 개발연구: 육군사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 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성익. (2003).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박성익, 왕경수, 임철일, 박인우, 이재경, 기미량, 임정훈, 정현미(2006). 교육공학 탐구의 새 지평.

서울: 교육과학사.

박종훈. (2015). 전문직 종사자들의 융합인재소양과 융합인재교육(STEAM)에 관한 인식조사 : 공학연구원 및 의사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현. (2012). 융합인재교육 (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성진선. (2015). 융합인재소양을 위한 디자인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성태제.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 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송정범. (2010). STEM 통합교육을 위한 교실친화적 로봇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 랑. (2013). 십대를 위한 직업백과. 서울: 꿈결.

이무근. (1999). 직업교육학 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이상갑. (2001).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신동. (2012). 알기쉬운 교육 방법 및 공학. 서울: 양서원.

이재인. (2007).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서울: 시공사·시공아트.

이춘식, 민창기, 송영갑, 윤병규, 이인섭, 신경구. (2015).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서울: (주)천재 교육.

이한규. (2006).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현진. (2012). 융합 교육(STEAM)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재돈. (2014). 일반계 고등학생을 위한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경북대학고 석사학위논문.

정재삼. (1996). 교수설계(ID)와 교수체제개발(ISD)의 최근 경항과 논쟁-21세기를 대비하는 교수공 학의 지식기반 구축을 위하여. 교육공학연구, 12(1), 41-74.

정철영. (1997). 진로지도 어떻게 할 것인가? 진로지도의 의의와 실태. 교육개발, 110, 28-31.

진미석, 윤형한. (2002).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기피현상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서울: 직업능력개 발원.

최유현, 노진아, 임윤진, 이동원, 이은상, 노준호. (2013).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2), 177-198.

최정임. (2002). 인적가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 가이드. 서울: 학지사.

최현정. (2015). 융합교육에 의한 과학 교과 STEAM 교육의 인식과 요구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 과학창의재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교수학습을 위한 콘텐츠 개발 지침·콘텐츠 질 관리 지침 콘텐츠 질 관리 프로그램 : 총론과 10개 국민공통 기본교과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 가원(200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도자료. (2012.12.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총론.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014 KICE 교육과정 포럼 운영 -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창의·융 합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변화하는 미래 새로운 인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한지영. (2004). 기술과 교육 평가에서 학습자 중심 루브릭이 학습과정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혜숙,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백윤수. (2012). STEAM 교육의 구성 요 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허운나. (1994). 산업교육 요구분석. 서울: 배영사.

American A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Author.

Bybee, R. W. (2010). Advancing STEM education: A 2020 visi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1), 30-35.

Coppola, R. K., & Malyn-Smith, J. (2006). Preparing for the perfect storm.

Dick, W., & Carey, L.(1990). 체제적 교수설계-이론과 기법. 김형립, 김동식, 양용칠 역(1990).

서울: 교육과학사.

Doty, Maring, & Davis. (2007).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Mathematics and Engineering Graduate Fellows Participation in a STEM Literacy Seminar: A Case Study.NSF.

Gronlund, N. E. (1978). Stating Behavioral objectives for classroom Instruction. 영숙, 김정휘 역(1996). 교실수업을 위한 목표 진술. 서울: 형설출판사.

Gustafson, K. L., & Branch, R. M. (2002). Survey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models.(4rd Eds). Syracuse, Eric Clearinghouse on Information & Technology.

Gustafson, K. L., & Branch, R. M. (2007). What is instructional design? In R.A. Reiser &

J.V. Dempsey (Eds.), Trends and issue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echnology.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influence on child interest in STEM careers. Proceedings of the reasherch in engineering education symposium 2009, Palm cove, QLD.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ITEA). (2000). Standard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Author.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OECD. (2005).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President's Council of Advisors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0). Prepare and Inspire: K-12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STEM).

Education for America's Future.

Sanders, M. (2006). A rational for new approaches to STEM education and STEM education graduate programs. 93rd Mississippi valley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conference, Nashville, TN.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Savage, E., & Sterry, L. (1990). A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Reston, VA: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Traurig, A. & Feller, R. (2008). Preparing Students for STEM Careers.

Yakman. (2008).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PATT 2008 Annual Procceing. 335-358.

부 록

[부록 1] 학생용 설문지 ··· 89

[부록 2] 학습 지도안 ··· 92

[부록 3] 학생용 활동지 ···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