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인회(2005). 빈곤의 동태적 분석: 빈곤지속기간과 그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57(2), pp.351-374.

권덕철(2011). 빈곤정책제도개선기획단에 바란다: 우리빈곤현실에 부합하는 한국형 빈곤 정책 모델 제시를 바라며. 보건복지포럼, 177, pp.6-9.

권승(2005). 비취업대상 조건부 수급자의 수급권 탈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2, pp.179-202.

권지성(2012). 사회복지 질적 연구접근의 재구성: 그리고, 은밀한 맥락을 찾아서. 사회복 지연구, 19, pp.159-181.

김교성, 강철희(2003).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2, pp.5-32.

김교성, 노혜진(2009). 빈곤 탈피와 지속기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생존표 분석과 위계적 일반화선형 분석. 사회복지정책, 36(3), pp.185-212.

김미곤(2008). 근로능력 수급자의 탈수급 방안. 보건복지포럼, 141, pp.73-81.

김정현(2012). 가난한 이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기제. 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서울.

노대명, 원일(201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취업수급가구의 탈수급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성공적 탈수급 및 행정적 탈수급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7, pp.333-360.

문화체육관광부(2012.05.07).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One Stop 복지서비스 체계 운영.

대한민국정책포털 공감코리아. http://www2.korea.kr/newsWeb에서 2012.01.29 인출.

백학영, 고미선(2007).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사업에 대한 인식과 노동시장 진입 전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0, pp.83-114.

백학영, 조성은(2012). 자활사업 참여자의 수급 지위와 노동시장 지위 변동. 사회복지연구, 43(1), pp.143-178.

보건복지부(2012).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2012). 2011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서울: 보건복지부.

신명호(2007). 근로연계복지제도로서 우리나라 자활사업의 특징. 도시와 빈곤, 4(4), pp.69-92.

안서연, 구인회, 이원진(201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탈출 결정요인: 근로능력자 집 단별 분석. 사회복지정책, 38(1), pp.199-226.

여유진, 김미곤, 김계연, 임완섭, 고연분(200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선정 및 급여 평가.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태균, 윤성원(2012). 공공부조 수급자의 자활사업 참여 이후 삶에 관한 탐색적 고찰.

사회복지정책, 39(1), pp.85-108.

유태균, 이선정(2011).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의 탈수급 전·후 의료서비스 이용수준 차이 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27(1), pp.185-215.

이원진(2010a).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동태의 특성 및 수급탈출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2(3), pp.5-29.

이원진(2010b).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지위 변화와 우울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2(4), pp.249-274.

이태진, 김태완, 최현수, 김문길, 우선희, 박경희 외(2008). 2008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의 자활기반조성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현주(2008).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현주, 안선연, 박경희(2009). 가난한 사람들의 일과 삶: 심리사회적 접근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최현수, 정혜숙, 권지성, 이은미, 정선욱, 조준용 외(2011).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패널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저소득층 양적 & 질적 연계 패널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 구원.

황정임(2004). 빈곤여성의 자활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Ayala, L., M, Rodriguez. (2007). What determines exit from social assistance in Spain?.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16, pp.168-182.

Bäckman, O., Bergmark, A. (2011). Escaping welfare? Social assistance dynamics in Sweden.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21(5), pp.486-500.

Bergmark, A., O. Backman. (2004). Stuck with welfare? long-term social assistance recipiency in Swede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0(5), pp.425-443.

Canto, O. (2002). Climbing out of poverty, falling back in: low income stability in

Spain. Applied Economics, 34, pp.1903-1916.

Dahl, E., T. Lorentzen. (2003). Dynamics of social assistance: the Norwegian experience in comparative perspective.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12, pp.289-301.

Mood, C. (2012). Social assistance dynamics in Sweden; duration dependence and heterogeneity. Social Science Research, pp.1-20.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ntext of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