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경아. (2003). 한국 아동 호스피스의 현황과 전망, 아동간호학회지, 9(2), pp.190-197.

구연상. (2002). 공포와 두려움 그리고 불안. 서울: 청계출판사.

김성윤. (2004). 소아암환자 아동의 심리적 특성연구: 우울, 불안과 가족기능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김성희. (2019).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 어머니의 돌봄에 대한문화기술지 연구. 예술 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 pp.387-398.

김재영. (2011). 소아암 환자 부모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문이지, 신희영, 김민선, 송인규, 김초희, 유주연, 등. (2019).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호스피 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2(1), pp.39-47.

성기원. (2001).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엄명용, 김성천, 오혜경, 윤혜미. (2019).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4판. 서울: 학지사.

오상은. (2005). 근이영양증 환자 부모의 돌봄 경험.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3(2), pp.171-194.

윤영호. (2000). 한국의 호스피스 발전방향과 가정 호스피스. 가정의학회지, 21(5), pp.251-254.

윤혜선. (2018).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자녀를 둔 부모의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요구도. 석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이광재, 최경일. (2015). 소원성취 프로그램이 소아암 및 난치병 환아들의 질병 적응에 미치는 영향: 레질리언스와 질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스피스완 화의료학회지, 18(2), pp.148-155.

이영숙. (2013).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6(2), pp.65-73.

이원희, 황애란. (2003). 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어머니의 슬픔단계와 반응. 대한간호학회 지, 33(6), pp.847-855.

정여주. (2007). 소아호스피스의 암환아 미술치료. 한국미술치료학회지, 14(2), pp.227-246.

정영순, 박상연. (2012). 외래통원 암 환아 가족의 아동호스피스요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 문지, 13(4), pp.1706-1713.

조은지, 박은숙. (2017). 청소년 암 생존자의 적응 경험과 사회적 지지망,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2), pp.238-248.

최권호. (2018). 소아암 경험자 및 보호자의 취약성과 치료궤적 기반 심리사회적 서비스 요구, 보건사회연구, 38(2), pp.417-451.

최준섭, 이동훈. (2018). 자녀를 잃은 아버지들의 삶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학연구, 56, pp.1-29.

하해영. (2010). 언어장애아 부모들의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한수정. (2004). 근육병 환자 어머니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Bally, J. M., Smith, N. R., Holtslander, L., Duncan, V., Hodgson-Viden, H., Mpofu, C. et al. (2018). A metasynthesis: Uncovering what is known about the experiences of families with children who have life-limiting and life-threatening illnesse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38, pp.88-98.

Beresford, P., Adshead, L., & Croft, S. (2007). Palliative care, social work, and service users: making life possibl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Bergstraesser, E. (2013). Pediatric palliative care—when quality of life becomes the main focus of treatment.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72(2), pp.139-150.

Bona, K., Bates, J., & Wolfe, J. (2011). Massachusetts’ pediatric palliative care network: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ovel state-funded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gram.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4(11), pp.1217-1223.

Chambers, L., Dodd, W., McCulloch, R., McNamara-Goodger, K., Thompson, A., Widdas, D. A. et al. (2009). A guid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alliative care services. Bristol: Association for Children’s Palliative Care.

Collins, A., Hennessy-Anderson, N., Hosking, S., Hynson, J., Remedios, C., &

Thomas, K. (2016). Lived experiences of parents caring for a child with a

life-limiting condition in Australia: a qualitative study. Palliative medicine, 30(10), pp.950-959.

Creswell, J. W. (2010).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7).

Gans, D., Kominski, G. F., Roby, D. H., Diamant, A. L., Chen, X., & Lin, W. et al. (2012). Better Outcomes, Lower Costs: Palliative Care Program Reduces Stress, Cost of Care for Children With Life-Threatening Conditions. UCLA Center for Health Policy Research, pp.1-8.

Gans, D., Hadler, M. W., Chen, X., Wu, S. H., Dimand, R., & Abramson, J. M.

et al. (2015). Impact of a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gram on the caregiver experience.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17(6), pp.559-565.

Groh, G., Vyhnalek, B., Feddersen, B., Fuher, M. & Borasio, G.D. (2013).

Effectiveness of a specialized outpatient palliative care service as experienced by patients and caregiver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6(8), pp.848-856.

Hatch, J. A. (2008).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 (원서 출판 2002).

Zhukovsky, D. S., & Robert, R. (2016). Pediatric palliative care. Oxford American Handbook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and Supportive Care, pp.345-355.

Linebarger, J., & Moreno, M. A. (2019). Pediatric Palliative Care. JAMA pediatrics, 173(11), 1115.

Misko, M. D., Santos, M. R. D., Ichikawa, C. R. D. F., Lima, R. A. G. D., & Bousso, R. S. (2015). The family’s experience of the child and/or teenager in palliative care: fluctuating between hope and hopelessness in a world changed by losses.

Revista I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3(3), pp.560-567.

Nafratilova, M., Allenidekania, A., & Wada, D. (2018). Still hoping for a miracle:

Parents' experiences in caring for their child with cancer under palliative care.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24(2), 127.

Ribbers, S., Wager, J., Hartenstein-Pinter, A., Zernikow, B., & Reuther, M. (2020).

Core outcome domains of pediatric palliative care for children with severe

neurological impairment and their families: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Palliative Medicine, 34(3), pp.309-318.

Sheetz, M. J., & Bowman, M. A. S. (2013). Parents’ perceptions of a pediatric palliative program.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30(3), pp.291-296.

Stake, R. E. (2000). 질적 사례 연구.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역). 서울: 창지사. (원서출 판 1995).

WHO. (1998). Cancer pain relief and palliative care in children. Geneva: Author.

문이지는 성균관대학교에서 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박사과정 학생으로 학업 중이다. 현재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에서 의료사회복지사로 재직 중이며 소아완화의료 전담 사회복지사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소아완화의료, 호스피스, 아동・청소년, 장애인이며, 현재 소아완화의료 사전의료 계획 워크북 개발, 소아완화의료 봉사자 경험 연구, 사회복지사 소진 등을 연구하고 있다.

(E-mail: moonyiji@gmail.com)

엄명용은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사학위, 미국 텍사스주립대학에서 석사학위, 플로리다주립대학에 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 야는 가족 및 조직 내 정신건강, 강점관점 실천, 구성주의 사회복지실천이다.

(E-mail: myum@skku.edu)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Pediatric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