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혜원, 조영태(2007).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 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1(4), pp.164-201.

고대선, 원영신(2009). 체력과 운동참여가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3), pp.899-915.

고수정(2010). 지역별 건강불평등 영향요인. 한국지방자치연구, 12(3), pp.169-195.

공선희(2008). 한국 노인의 돌봄 자원과 돌봄 기대: 생애구술 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사회학과, 서울대학교, 서울.

곽현근, 유현숙(2011).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가 인지적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25(2), pp.61-91.

김경연, 정여진(2006). 건강 및 경제 수준에 따른 집단별 성공적 노화의 요소 탐색. 노인복 지연구, 34(4), pp.31-54.

김동배, 유병선, 민정선(2011). 노인 집단에서 나타나는 건강 수준 차이의 요인 분석. 사회 복지연구, 42(3), pp.267-290.

김동배, 유병선, 이정은(2012). 노인의 건강불평등: 교육불평등에 따른 건강불평등에 대 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43(1), pp.117-142.

김안나, 노대명, 김미숙, 신호성, 홍인옥, 김태완 외(2008).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 계층 지원방안 연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김영미, 현선희, 송형삼(2008).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4), pp.33-46.

김진구(2011). 소득계층에 따른 의료이용의 격차: 연령집단별 Le Grand 지수 분석을 중 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7(3), pp.91-122.

김준홍(2010). 사회적 자본, 신체활동 그리고 주관적 건강 :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한 정책의 근거 모색. 보건과 사회과학, 28, pp.61-90.

김진영(2007).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1(3), pp.127-154.

김진영, 임인숙, 송예리아, 한신원(2012). 고용형태와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에서의 격

차-건강자원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5(1), pp.181-209.

김진현, 원서진(2011). 노후 빈곤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건강행태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한국노년학, 31(3), pp.461-476.

김태준, 최상덕, 장근영, 이기홍, 전주혜(2009). 한국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서울: 한국 교육개발원, pp.246-247.

김현수(2012). 건강수명 연장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운동학적 전략.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 2012, pp.9-15.

김희경, 이현주, 박순미(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0(2), pp.279-292.

남연희, 남지란(2011).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pp.145-162.

박수잔, 조성일, 장숙랑(2011). 사회적 관계망의 긍정적, 부정적 기능이 성별 주관적 건강 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4), pp.38-49.

박순미(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pp.291-318.

배나래, 박충선(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pp.761-779.

보건복지부(2012).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서지원(2006). 중고령기 건강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4(10), pp.133-144.

손정연, 한경혜(2012). 결혼상태의 지속 및 변화가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경제자원 및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35, pp.5-40.

송예리아, 남은우(2009). 사회자본 정도 및 건강행동이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6(3), pp.1-13.

신경림, 변영순, 강윤희, 옥지원(2008). 재가 노인의 주관적 신체 증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38(3), pp.437-444.

신현구, 부가청, 반정호(2005). 고령자패널조사 소개. 노동리뷰, 2005(4), pp.58-69.

신효식, 이선정(2007). 퇴직한 남자 노인의 가족자원 및 관련 변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pp.197-213.

오두남, 김선호, 정미영(2012). 재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pp.358-368.

오창석(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2), pp.179-191.

유길준, 전상남, 신학진, 황성완(2011). 노인의 건강수준에 따른 외적 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6(2), pp.150-160.

유수정(2010). 성성별 연령별 주관적 건강 및 장애율 격차에 관한 국제 비교. 한국노인과 학학술단체연합회 국제학술대회, 2010, pp.179-180.

이영익(2012). 고령사회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인지와 건강위험 발생가능성 및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 한국운동재활학회지, 8(3), pp.27-38.

이영현, 나영선, 김안국, 유한구, 김미란, 이재혁 외(2006).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p.238.

이용재(2010). 소득계층별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형평성 분석. 한국사회정책, 17(1), pp.267-290.

이정민, 김원중, 손혜숙, 전진호, 이명진, 박현숙(2012).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pp.317-327.

장명숙, 박경숙(201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건사회연구, 32(2), pp.232-266.

정민수, 조병희(2007). 지역사회역량이 주민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22, pp.153-182.

정순둘(2005). 사례관리실천의 이해. 서울: 학지사, pp.234.

최현석, 하정철(2012). 노인의 생활전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데 이터정보과학회, 23(1), pp.131-142.

최희정(2008). 농어촌지역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주관적 신체증상, 우울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11(2), pp.74-80.

통계청(2012).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에서 2013. 1. 17 인출.

팽기영(2011). 개인 수준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의학과, 경상대학교, 경상남도.

홍석철, 김경익, 남희(2010). 한국의 단기경기변동과 국민건강지표의 변화, 1983-2008.

보건경제와 정책연구(구 보건경제연구), 16(1), pp.113-139.

Abu-Bader, S. H., Rogers, A., Barusch, A. (2002).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frail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38, pp.3-18.

Bolin, K., Lindgren, B., Lindstrom, M., Nystedt, P. (2003). Investments in social capital -implications of social interactions for the production of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56(2003), pp.2379-2390.

Browne, J. P., O’Boyle, C. A., McGee, H. M., Joyce, C. R. B., McDonald, N. J., O’Malley, K., et al. (1994). Individual quality of life in the healthy elderly.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