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영주, 정광호. (2012). 한국사회의 소득불평등과 건강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4), pp.265-291.

고정은, 이선혜. (2012).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심층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pp.322-351.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 (2015).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서.

http://www.irb.or.kr/Home/html/menu04/conference_View.aspx?page=1&id=5 09&title=&type=.

구본미. (2014). 노년기 장애와 지역사회환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4(2), pp.103-132.

김광기, 제갈정, 권용미, 박민수. (2012). 지역사회의 환경적 특성이 개인의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9(5), pp.103-113.

김명일, 이상우, 김혜진. (2013). 서울시 거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연구. 보건사회연구, 33(3), pp.327-360.

김명희, 조영태. (2007). 서울시 노인의 구강통증 여부 및 치과서비스이용의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1), pp.103-114.

김윤희, 조영태. (2008). 지역특성이 취약집단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구학, 31(1), pp.1-26.

김세원. (2009). 지역사회 특성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3수준 다층 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아동복지학, 28, pp.102-135.

김세원, 김선숙. (2012). 지역사회 간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아동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9, pp.127-159.

김욱진. (2013). 지역사회의 참여적 속성이 사회적 고립과 식품미보장 사이의 관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사회보장연구, 29(1), pp.1-32.

김욱진, 김태연. (2013). 지역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과 개인의 건강에 관한 연구: 지역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6, pp.23-47.

김은영. (2012). 청소년의 합법적 약물 남용에 관한 다층적 분석연구: the SSSL model의 적용. 한국경찰연구, 11(2), pp.87-116.

김은정, 강민규. (2011). 도시환경과 개인특성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지역연구, 27(3), pp.27-42.

김진석. (2012). 청소년 신체활동과 지역사회요인의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37, pp.165-185.

김창석, 윤성철, 김혜련, 강영호. (2006). 서울시 동별 상류계층(파워엘리트) 주거 분포와 흡연과의 관련성에 대한 다수준분석. 예방의학회지, 39(1), pp.30-38.

김철신, 한선영, 김철웅. (2013).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태와 구강건강행위의 관련성: 다수준 분석방법의 적용,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7(4), pp.208-215.

김철주. (2014). 다층모형을 이용한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결정 요인 추정: 개인적 특성 효과와 지방정부 정책 효과, 여성연구, 7(2), pp.127-157.

김태형, 권세원, 이윤진. (2013). 서울시민의 개인 및 지역 효과에 의한 건강불평등, 서울 도시연구, 13(3), pp.15-35.

김형용. (2010).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학, 44(2), pp.59-92.

김형용, 최진무. (2014). 서울시 소지역 건강불평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 pp.217-229.

강영주, 정광호. (2012). 한국사회의 소득불평등과 건강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4), pp.265-291.

노병일, 곽현근. (2003). 지역사회빈곤과 사회적 유대가 도시주민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6, pp.180-209.

노병일, 곽현근. (2005). 동네의 맥락적 특성이 주민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동네빈곤, 무질서, 네트워크형성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17, pp.5-31.

성현곤. (2011). 주거지 근린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6(3), pp.235-251.

신민선, 이원재. (2013). 외래서비스 이용과 건강행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3(5), pp.342-353.

신상수, 신영전. (2014).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비판사회정책, 45, pp.230-266.

신상진, 조영태. (2007). 사회적 자본과 자살충동.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3), pp.35-49.

손미아. (2002). 직업, 교육수준 그리고 물질적 결핍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5(1), pp.76-82.

송태민. (2013). 앤더슨 행동모형을 이용한 노년기 외래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스트레스 취약요인의 매개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33(1), pp.547-576.

송태민, 이주열. (2013). 다층모형을 통한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30(1), pp.53-64.

유정진. (2006).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아동학회지, 27(3), pp.169-187.

이경환. (2012).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요소 분석: 한국의 중소 도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7), pp.3237-3243.

이경환. (2013). 지역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8), pp.4019-4027.

이경환, 안건혁. (2008a). 근린 환경이 지역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국국토・도시계획학회지, 43(3), pp.249-261.

이경환, 안건혁. (2008b). 지역 주민의 보행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환경 특성에 관한 실증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4(6), pp.293-302.

이경환. (2013). 지역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요인 분석: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8), pp.4019-4027.

이미화, 김상현. (2014). 지역 환경적 요인이 한국 여성의 유방암 조기검진 수검률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pp.437-449.

이성현, 전경구. (2012).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한 도시기반시설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토계획, 47(4), pp.193-204.

이무송. (2004). 다수준 분석. 예방의학회지, 37(3), pp.212-216.

이정아, 이진석, 박종헌. (2012). 노인의 대사증후군 인지 및 신체활동 실천 요인. 보건 교육・건강증진학회지, 29(5), pp.61-75.

이재열. (2007). 제1장 다층모형분석. 사회과학의 고급계량분석 원리와 실제(pp.13-64) 에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정민수, 조병희. (2011). 지역사회역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보건 교육・건강증진학회지, 28(4), pp.1-14.

최대성, 조영태. (2013). 서울시 대기오염 수준이 고령자의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다수준 분석법을 사용하여. 한국인구학, 36(2), pp.69-88.

최태규, 김흥순. (2013). 도시의 물리적 속성이 개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8(1), pp.191-203.

최영은, 이강숙. (2013). 입원 중증 손상 환자의 사망과 전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3(3), pp.233-243.

Ahn, Y. H., Ham, O. K., Kim, S. H., & Park, C. G. (2012). Multilevel Analysis of Health C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Medical Aid Benefici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e, 42(7), pp.928-935.

An, S., Lee, J., & Sohn, D. (2014).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in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Health in Incheon, Kore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3(1), pp.171-178.

Cho, Y., Park, G. S., & Echevarria-Cruz, S. (2005). Perceive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the health of adult Koreans. Social Science & Medicine, 60(6), pp.1285-1297.

Diez-Roux, A. V. (2000). Multilevel analysis in public health research.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1(1), pp.171-192.

Deeks, J. J., Dinnes, J., D’amico, R., Sowden, A. J., Sakarovitch, C., & Song, F., et al. (2003). Evaluating non-randomised intervention studie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7(27), pp.1-179.

Duncan, G. J., & Raudenbush, S. W. (1999). Assesing the effects of context in studies of child and youth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34(1), pp.29-41.

Effective Public Health Practice Project. (2010). Effective Public Health Practice Project Quality Assessment Tool for Quantitative Studies Retrieved May 1, 2012, from:

http://www.ephpp.ca/PDF/Quality%20Assessment%20Tool_2010_2.pdf.

Fujisawa, Y., Hamano, T., & Takegawa, S. (2009). Social capital and perceived health in Japan: an ecological and multilevel analysis. Social science & medicine, 69(4), pp.500-505.

Han, S. (2013). Compositional and contextual associations of social capital and self-rated health in Seoul, South Korea: a multilevel analysis of longitudinal evidence. Social Science & Medicine, 80, pp.113-120.

Han, S, H., & Lee, H-S. (2013). Individual, household and administrative area levels of social capital and their associations with mental health: A multilevel analysis of cross-sectional ev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9(7), pp.716-723.

Heck, R., & Thomas, S. (2009). An introduction to multilevel modeling techniques.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Hemingway, P., & Brereton, N. (2009). What is a systematic review? 2nd Ed.

Hayward Medical Communications, London.

Heo, J. H., Oh, J, H., & Kim, J. K., et al. (2012). Poverty in the Midst of Plenty:

Unmet Needs and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South Korea, Plos one, 7(11): e51004. doi:10.1371/journal.pone.0051004.

Jackson, N., Denny, S., & Ameratunga, S. (2014). Social and socio-demographic neighborhood effects on adolescent alcohol use: A systematic review of multi-level studies, Social Science & Medicine, 115, pp.10-20.

Jang, H., Lim, J. T., Oh, J., Lee, S. Y., Kim, Y. I., & Lee, J. S. (2012). Factors affecting public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on mental illness: analysis of contextual effect by multi-level analysi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5(2), pp.90-97.

Jung, M. S., & Viswanath, K. (2013). Does community capacity influence self-rated health? Multilevel contextual effects in Seoul, Korea. Social Science & Medicine, 77, pp.60-69.

Kim, H. S., Lee, M. J., Kim, H. J., Lee, K. S., Chang, S. H., & Kim, V. N., et al. (2013). Factors Affecting Diabetic Screening Behavior of Korean Adults:

A Multilevel Analysis. Asian Nursing Research. 7, pp.67-73.

Kim, M. H., Subramanian, S. V., Ichiro K., & Kim, C-Y. (2007).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fatal injuries and socioeconomic position at individual and area levels:

a multilevel study. Journal of Epidemiol Community Health. 61, pp.135-140.

Kim, S. S., Choi, J., Park, K., Chung, Y., Park, S., & Heo, J. (2014). Association between district-level perceived safety and self-rated health: a multilevel study in Seoul, South Korea. BMJ open, 4(7), e004695.

Kondo. N., Sembajwe. G., Kawachi, I., van Dam, R, M., Subramanian, S, V., &

Yamagata, Z. (2009). Income inequality, mortality, and self rated health:

meta-analysis of multilevel studies, British Medical Journal, 339, pp.1178-1181.

Kreft, I. G. (1996). Are multilevel techniques necessary? An overview, including simulation studies. Unpublished Report, California State Universitym Los Angeles.

Lee, J. S., Lee, W-Y., Noh, M. S., & Khang, Y. H., (2014). Does a geographical context of deprivation affect differences in injury mortality? A multilevel analysis in South Korean adults residing in metropolitan cities. Journal of Epidemiol Community Health, 68, pp.457-465.

Lee, H. Y., Choi, Y. H., Park, H, W., & Lee, S, G., (2012), Changing patterns in the association between regional socio-economic context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 multilevel study in Korean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11: 30.

Macintyre, S., Ellaway, A., & Cummins, S. (2002). Place effects on health: how can we conceptualise, operationalise and measure them?. Social Science & Medicine, 55, pp.125-139.

Mair, C., Diez Roux, A. V., & Galea, S. (2008). Are neighbourhoo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 review of evidence.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2(11), pp.940-946.

Martin, C., & McQueen, D. (Eds). (1989). Readings for a New Public Health.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Mass, C. J. M., & Hox, J. J. (1999). Sample sizes for mutilevel modeling.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9, pp.1181-1186.

Meijer, M., Röhl, J., Bloomfield, K., & Grittner, U. (2012). Do neighborhoods affect individual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multilevel studies. Social science & medicine, 74(8), pp.1204-1212.

Metcalfe, A., Lail, P., Ghali, W, A., & Sauve, R, S. (2011). The association between neighbourhoods and adverse bir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multi-level studies. Pediatric and Perinatal Epidemilogy, 25(3), pp.236-245.

Moineddin, R., Matheson, F. I., & Glazier, R. H. (2007). A simulation study of sample size for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s.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7: 34.

Molarius, A., & S. Janson. (2002). Self-Rated Health, Chronic Diseases, and Symptoms among Middle-age and Elderly Men and Wome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5(4), pp.364-370.

Murayama, H., Fujiwara, Y., & Kawachi, I. (2012). Social Capital and Health: A Review of Prospective Multilevel Studies, Journal of Epidemiology, 22(3), pp.179-187.

Park E. J., Kim H., Kawachi, I., Kim I. H., & Cho, S, I. (2010). Area deprivation, individual socioeconomic position and smoking among women in South korea. Tobacco Control, 19, pp.383-390.

Park, Y. M., & Kim, Y. (2014). A spatially filtered multilevel model to account for spatial dependency: application to self-rated health statu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13(1), p.6.

Sellström, E., & Bremberg, S. (2006). The significance of neighbourhood context to child and adolescent health and well-being: A systematic review of multilevel studi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4, pp.544-554.

Shea, B. J. (2008). Assessing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Newfoundland and Labrador, Canada.

Son, K. Y., Park, S. M., Lee. J. H., & Kim, C. Y. (2014). Difference in adherence to and influencing factors of a healthy lifestyle betwee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in Korea: A multilevel analysis.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15(6), pp.778-788.

Stinton, C., McKeith, I., Taylor, J. P., Lafortune, L., Mioshi, E., & Mak, E., et al. (2015).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lewy body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pp.731-732.

Susser, M. (1973). Thinking in the health sciences concepts and strategies of epidemi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oltz, P. C., Chapa, D. W., Friedmann, E., Son, H., Akintade, B., & Thomas, S.

A. (2012). Effects of interventions on depression in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Heart & Lung: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41(5), pp.469-483.

Yang, H-K., Shin, D-W., Hwang, S-S., Oh, J. H., & Cho, B-L. (2013). Reg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A Multilevel Analysis Using National Dat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28, pp.348-356.

Yen, I. H., & Syme, S. L. (1999). The Social Environment and Health: A Discussion of the Epidemiologic Literature. Annu. Rev. Public Health, 20, pp.287-308.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n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