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미은. (2000).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50, pp.179-208.

강민주. (2013). 소셜미디어 사용에 따른 청소년과 성인초기의 자아정체감 및 친밀감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0(6), pp.1-28.

강예원. (2014). 대학생의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과 정신건강과 의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강지혜. (2014). 남녀 중학생의 대인불안과 자기제시동기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고경필, 심미영. (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pp.379-391.

구혜자, 이외선, 홍민주. (2016). 대학생의 SNS중독 경향성,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pp.180-187.

권상희, 우지수. (2005). 블로그(Blog) 미디어 연구. 한국방송학보, 19(2), pp.419-460.

권석만. (2006).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민정. (2011). 스마트 폰에서의 SNS 사용이 온라인, 오프라인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트위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김보경. (2014). 성인애착이 스마트폰 및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타 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pp.391-411.

김은미, 이동후, 임영호, 정일권. (2011). 혁명의 신화와 실제. 서울: 나남.

김성회, 박경희 (2008). 상담일반: 대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9(2), pp.375-389.

김수민. (1987). 사회조직망 내의 대인관계에 대한 아동의 지각.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 학교.

김정화. (2015). SNS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온라인 익명성, 자기애, 우울, 불안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비교.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김종기, 한지연. (2014). 모바일 SNS 사용이 30~40대 기혼여성의 대인관계 강화와 자존 감에 미치는 영향: 사용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23(1), pp.53-71.

김지영. (2015). 사회적지지와 대인관계 문제에서 수치심, 자기침묵 행동의 매개효과. 석사 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나은영. (2012). SNS 중이용자와 경이용자의 현실인식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3), pp.63-84.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http://www.msip.go.kr/에서 2016.5.29. 인출.

박나리. (2015). 자존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박미향. (2014).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자아존중감 및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석사학위논 문, 경성대학교.

박미향, 김정숙, 함경애. (2014).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1(2), pp.189-206.

박소현. (2008).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유진, 김재휘. (2005). 인터넷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지가 커뮤니티 몰입과 동일시 및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9(1), pp.13-25.

박영신, 김의철. (2002).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교육심리연구, 16(4), pp.325-351.

박지선 (2010). 대학생 인터넷 사용과 사회적응 대인 적응과의 관계: 상담에서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pp.369-389.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사람인. (2015.05.18). 자발적 아싸 경험자 63%, 직장 내 대인관계 어려움 느껴.

http://www.saramin.co.kr/zf_user/help/live/view?idx=26980에서 2016.5.7. 인 출.

서거. (2013). 페이스북(Facebook) 이용 중독이 대학생의 사회성 및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서미자. (2009). 부모와의 관계, 대인관계 및 학업성취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이성 교제 중인 대학생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서원진, 김미리혜, 김정호, Ebesutani, C., 조인성. (2015).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pp.497-512.

서희연. (2010). 부모 상담에서 내담 아동 어머니의 대인관계 특성 및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작업 동맹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송혜진. (2011). 스마트폰 이용을 통한 SNS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1(2), pp.31-49.

신노라, 안창일.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자기개념, 효능감, 대처 양식, 사회적지지 수준 과 대인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pp.949-968.

심미경. (1986). 아동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오승석. (2010).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이용 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 학교.

오윤경. (2012).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우공선. (2011).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Mobile 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충족과 중독 연구: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우정연 (2007).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문제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유나. (2016). 관계적 공격성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SNS이용동기의 매개효과. 석사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유영주. (1992). 신가족 관계학. 파주: 교문사.

유은영, 윤치근, 양유정. (2012).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1), pp.274-283.

이선희. (2015). 대학생의 외로움과 SNS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기본심리욕구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석사학위논문, 한영신학대학교.

이영은, 박현주, 허창구. (2016). 내현적‧외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한국심리학회 지: 사회 및 성격, 30(1), pp.63-80.

이옥선. (2000). 척수장애인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와 재활 동기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이인숙, 조주연. (2012). 대학생들의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pp.2623-2633.

이현주, 김혜경. (2015). 대학생의 SNS 중독 및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6), pp.3944-3953.

장석진. (2007). 애착이론에 근거한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전해옥. (2016).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정서와 대인관계 능력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6), pp.269-277.

정기한, 정지희, 신재액. (2010). 기업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활동이 브랜드 및 구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2010년 통합학술발표논문집, pp.1-8.

정인아. (1993).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련 스트레스에 따른 대인관계 행동.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하웅. (2015.7.14). 창의인재프로젝트 생각의 집: 데이터과학의응용Ⅱ. [텔레비전 방송].

서울: KBS1.

조성현, 서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 pp.239-250.

조은정. (2004).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 효능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주간경향신문. (2015.03.24). 똑똑 “고민 상담하러 왔는데요”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150324 1318071.에서 2016.4.29. 인출.

최다희. (2016). 대학생의 사회연결망과 SNS(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경향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최민경, 김종남. (2010).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문제 사이에서 탄력성의 중재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pp.747-763.

최민재, 김위근. (2013). SNS 모바일 마케팅 서비스의 이용동기, 평가, 선택에 대한 탐색 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5(2), pp.85-110.

최현석, 하정철. (2011). 대학생의 인터넷중독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 학학회지, 22(3), pp.437-448.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2013).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5), pp.1005-1015.

최혜련. (2004). 부모-자녀 갈등 정도와 자아분화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통계청. (2016). 2016년 청소년통계. http://kostat.go.kr/에서 2016.6.16. 인출.

피승정. (2013). SNS 사용행동에 따른 SNS 중독 가능성,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2015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http://www.kisa.or.kr/main.jsp 에서 2016.5.3. 인출.

한나라. (2013). 모바일 페이스북 이용이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인 관계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 교.

홍누리, 안귀여루. (2014).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정서 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6(1), pp.91-104.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 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pp.923-940.

홍신영. (2015). 대학생의 SNS이용특성과 자아정체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Alden, L. E., Wiggins, J. S., & Pincus, A. L. (1990).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 pp.521-536.

Aiken, L. S., West, S. G., &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Argyle, M. (1984).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Behavior. NewYork: Penguin Books.

Barker, V. (2009). Older adolescents’ motivations for social network site use: The influence of gender, group ident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2(2), pp.209-213.

Buhrmester, D., & Furman, W. (1987). The development of companionship and intimacy, Child Development, 58, pp.1101-1113.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pp.99-125.

Donelly, E., & Kuss, D. J. (2016). Depression among users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the role of SNS addiction and increased usage. Journal of Addiction and Preventive Medicine, 1(2), p.107.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2(4), pp.1143–1168.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pp.1016-1024.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3, pp.103-115.

Henry, F. (2007). How do you define a friend? New house New Service. LexisNexis Academic.

Horowitz, I. M., & Vitcus, J. (1986). Theinterpersonalbasisofpsychiatric symtoms.

Clinical Psychology Review, 6, pp.443-469.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B. A., Ureno, G., & Villasenor, V. S. (198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pp.885-892.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Jafri, H. (2015). A Study on Facebook Addi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perience and Coping Strateg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ian Psychology, 2(4), pp.7-14.

Leary, T. (1957). Interpersonal Diagnosis of Personality. New York: Ronald.

Meena, P. S., Soni, R., Jain, M., & Paliwal, S. (2015). Social networking sites addiction and associated psychological problems among young adults: a study from North India. Sri Lanka Journal of Psychiatry, 6(1), pp.14-16.

Raacke, J., & Bonds-Raacke, J. (2008). My Space and Facebook: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11(2), pp.169-174.

Rook, K. S. (1984). The negative side of social interaction: impacto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5), pp.1097-1108.

Sarason, I. G., Levine, H. M., Basham, R. B., & Sarason, B. R. (1983). Assessing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arason, I. G., Levine, H. M., Basham, R. B., & Sarason, B. R. (1983). Assessing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