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art Ⅴ. 농식품 진출전략

5. 참고문헌

1. 전문가 인터뷰

가. 전문가 인터뷰 개요

인터뷰 배경 및 조사 목적

- 현지의 식품 및 수출입 관련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현지와 농식품 수입과 관련된 내용을 파악 하였다. 최근 식품 트렌드, 유통 현황, 수출입 절차, 통관, 검역, 인증 등 국내 데스크 리서치로는 알아내기 힘든 정보들을 조사하고 이전 자료들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인터뷰 주요 조사 내용 - 인터뷰 대상자 소개 - 농식품 시장 현황 - 현지 식품 트렌드 - 현지의 유통 및 소비 동향

- 한국산 유통 동향 및 경쟁국 동향 파악 - 식품 수입절차

- 통관 및 검역 - 수입 식품위생제도 - 수출입 동향 등

현지 전문가 인터뷰리스트

구분 조사 업체 수

수입업체 2

통관 물류업체 4

현지 유통매장 3

현지 외식업체 1

현지 교민 신문사 1

나. 전문가 인터뷰 세부 내용 1) 한국 식품 판매 동향

현지에서 한국산의 품질이 좋은 것은 알고 있으나 가격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그보다 저렴한 유럽이나 중국 제품을 고르는 경우가 많다.

- 한국 식품의 현지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가격을 낮추어야 한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한국 농식품은 가격은 현지인들의 경제 수준에서 누구나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 동일 품목의 경우 중국산과 한국산 농식품 가격 차이는 4~6배 정도 차이 난다. 한국산 농식품의 품질이나 안전성, 맛 등이 우수하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대중화시키기 위해서는 가격을 낮추어야 할 것이다.

- 한국산 농식품의 경우 25~30% 정도의 마진을 붙여서 판매하고 있으며 유럽이나 중국산의 경우 16~20% 마진을 붙여 판매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한국산 딸기, 귤, 배 등의 품목을 선호하며 유럽이나 한국에서 수입되는 농식품을 가장 선호한다.

- 매년 초과 수확으로 인하여 폐기되는 농식품을 활용한다면 현지의 외국산 제품들과 가격 경쟁력에 있어서 좀 더 유리한 형태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내륙국가의 특성상 어느 정도 저장 기간이 긴 품목을 공략하는 것이 좋다. 채소 등은 보관 기간이 짧으므로 한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보관 기간이 긴 과일 종류 수출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현지에서 한국 농식품에 대한 이미지가 매우 좋으며 품질도 좋고 맛도 좋다고 인식하고 있다.

- 현지인들은 한국산이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아주 좋은 것이라는 이미지는 아직 부족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 정기적인 한국 농식품 관련 행사를 통해 한국 식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2) 농식품 유통 현황

현지 농식품의 경우 계약을 통해 제품이 매장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산지에서 제품을 선별하여 매일 납품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한국산 제품의 경우 산지에서 수확된 제품을 계약을 통해 직접 들어오지만, 중국을 통해 들어오는 제3국 제품의 경우 중간 유통 업체를 거쳐서 몽골로 들여오고 있다.

- 한국 수산 식품의 경우 제품에 따라 냉장 또는 냉동 컨테이너에 선적하여 운송하기 때문에 가까운 중국에서 수입하는 것보다 제품을 더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다.

몽골에서 규모가 있는 매장들은 자체적으로 통관하여 수입하고, 그 수가 많지 않아 유망하지 않으며 오프라인의 경우 재래시장에 있는 소매상들을 상대로 판매하거나 온라인 마켓 및 배달을 통한 판매가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 중국산의 경우 품질은 믿을 수 없으나 가격적으로 매우 저렴하고 지리적으로 가까워 운송 거리가 짧다 보니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들어오고 있다.

- 특히 겨울에 판매되는 채소의 70~80%는 중국산이 차지하고 있으며 상추, 청경채, 무, 호박, 토마토, 오이 등이 주요 수입품목이다.

- 현지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낮으며 농식품뿐만 아니라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 품질, 안전성, 위해성에 대해서는 전혀 믿고 있지 않지만, 농식품을 포함한 한국 제품들은 그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 유럽산의 경우 폴란드와 벨기에에서 사과, 배, 포도 등이 주요 수입품목이며 아프리카에서는 귤과 오렌지를 주로 수입하고 있다.

- 현지 농식품 대비 수입 농식품의 판매 비중은 4:6 정도이며 계절별로 보자면 여름이나 가을에는 현지산이 많이 팔리고 겨울과 봄에는 수입산 판매 비중이 높다.

- 현지에 한국 식품을 대량으로 구입하여 유통하는 별도의 회사가 있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3) 물류 현황

항공을 제외한 모든 경로는 무조건 중국을 통과하여 수송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중국에서의 각종 상황 변화나 정책 변화에도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 물류비 절감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전체 물류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중국 구간에서의 가격을 낮추는 형태로 가능하다.

- 항공을 통해 당일 또는 다음날 받을 수 있지만, 운송비가 비싸기 때문에 상시 사용은 불가능하다.

4) 수입 통관 시 유의 사항

코로나19로 인해 한국산뿐만 아니라 모든 외국산 수산 식품에 대한 수입 금지조치가 취해진 상황이다. 새우가 들어간 만두 제품에 대하여 몽골 중국 국경에서 통관되지 못하고 다시 한국으로 되돌려진 사례가 있다.

통관 시 매번 달라지고 부정확한 규정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통관 담당 직원들이 3교대 근무를 하는데 담당 직원마다 내세우는 규정과 조건이 다르고 통관 시 추가 서류를 요구하는 사례가 있었다.

- 수입자가 특별 허가서를 보유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해당 농식품이 특별 허가서가 있어야 수입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고 이를 미리 구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각 품목에 대한 각종 서류와 검역, 허가 등이 있어야 하고 담당 공무원에 따라 추가되거나 용인되는 부분들이 모두 다르다.

규정들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취득하고 있어야 한다. 어제까지 가능했던 부분이 다음날이면 규정이 바뀌는 문제들이 항상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정상적이고 빠른 통관을 위해서는 이러한 정보들을 상시 체크하고 있어야 한다.

5) 농식품 관련 몽골 정책 및 소비 동향

최근 몽골 정부에서는 광업에 치중된 국가 경제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해 농업이나 축산업 육성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시아 개발 은행이나 세계은행에서 차관을 들여와 비닐하우스나 온실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을 하고 있다.

해외 관련 기관,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 전수 및 생산력 증대를 위한 노력 또한 지속해오고 있어서 향후 괄목할만한 성장이 기대된다.

6) 수출시장을 확대를 위한 방안이나 제언

코피아 등의 기관을 통해서 몽골 농업 분야 종사자 또는 전문가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견학하고 노하우 전수나 기술 이전 등의 협력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의 신뢰가 나와야 할 것이다.

현지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입 물량을 확보한다면 이는 한국 식품의 인지도와 판매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에서 농식품 원가를 아무리 작게 잡아도 냉장, 냉동 컨테이너 사용으로 인해 현지 도착하게 되면 가격이 높아지기 때문에 물류비를 절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물류비가 비싸므로 원가를 낮추기 위해서 질 낮은 상품들이 수입되어 들어오고 있어 현지인들도 가격이 싼 중국산을 많이 찾고 있다. 따라서 중국산과 차별화를 위해 고품질의 농식품을 들여와야 한다.

수입을 진행할 때마다 모든 품목이 적혀있는 허가서와 검역 작업이 동반되어야 하는 관행을 정부 차원에서 지정 업체에 한하여 한국 식품에 관한 통관 및 검역을 간소화할 수 있는 협약을 맺어야 한다.

한국 농식품에 대한 관세를 낮출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유통을 확대하여 울란바토르뿐만 아니라 지방 도시에서도 한국 농식품을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소비자 설문 조사

가. 소비자 설문 조사 세부 결과 1) 설문조사 방법과 조사 대상 분석

일시 : 2020년 8월 24일~ 9월 27일 내 진행

장소 : 몽골 상공회의소(MNCCI Building, Mahatma Gandhi street,15th khoroo, Khan-Uul district, Ulaanbaatar, 17011, UB Post – 101011001)

이마트 산사르 1호점(Mongolia, Ulaanbaatar, Bayanzurkh district, 1st khoroo, 12th district(13381), Tokyo street-23, Imart Chinggis)

방법 : 몽골 상공회의소와 이마트 방문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대상 설문 조사 실시 응답자 : 100명

응답자 프로필

변수 범주 비율 변수 범주 비율

성별

남자 21%

기혼 여부

기혼 66%

미혼 32%

여자 79%

기타 1%

합계 100% 합계 100%

연령

20대 이하 34%

직업군

자영업 10%

30대 25% 사무직 46%

40대 22% 생산직 4%

50대 13% 판매/서비스직 9%

60대 6% 학생 11%

합계 100% 주부 10%

가구 규모

1인 4% 기타 11%

2인 20% 합계 100%

3인 19%

가구 소득

420천 MNT미만 9%

4인 21% 420천 이상~1백만 MNT 미만 25%

5인 22% 1백만 이상 ~2백만 MNT미만 41%

6인 이상 14% 2백만 MNT 미만 26%

합계 100% 합계 100%

설문 조사 응답자는 남자 21%, 여자 79%로 총 146명으로 이뤄졌다. 이 중 기혼자는 66%, 미혼자는 32%로 대부분 기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는 20대 이하가 34%, 30대와 40대가 각각 25%, 22%로 20~30대가 전체 응답자의 59%를 차지했다. 또한, 응답자의 절반가량인 46%가 사무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1%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한 달 평균 가구 소득은 1백만 투그릭 이상~2백만 투그릭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규모는 4인 가족과 5인 가족이 각각 21%, 22%의 비율을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2인 가족 또한 20%의 비율을 차지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