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경환, 장영식, 강지원(2008). 2006년도 한국의 사회복지지출추계와 OECD 국가의 가족정책 비교. 서울: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경환, 강지원(2009). OECD 국가들의 가족정책 유형화와 한국에의 함의. 보건복지포럼, 148, pp.110-126.

고은주, 김진욱(2009). 한부모가구의 빈곤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2), pp.219-236.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현황.

김경신, 정민자, 라휘문, 진미정, 박정윤(2007). 통합적 가족정책을 위한 과제 및 가족지표 개발.

서울: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김은정, 이재인(2006). 취약계층 가족에 대한 아동양육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빈곤가 족, 한부모가족, 장애인가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5, pp.253-278.

김현숙, 성명재(2006). 여성노동공급 활성화를 위한 소득세 개편방안 연구.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나 정(2003). 영유아 교육과 보육 발전 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배화옥(2007). OECD 국가간 아동복지수준 비교와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128, pp.73-87,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가족부(2008). 2008 보육통계.

_____________(2009). 2009 한부모가족 지원사업 안내.

손병돈(2007). 가족형태별 사적 이전소득 비교-사별가족과 이혼가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 구, 35, pp.267-290.

송다영(2006). 한부모가족과 여성사회권. 사회복지정책, 27, pp.171-199.

엄미선, 전동일(2006).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지지. 사회복지리뷰, 11, pp.75-108.

윤홍식(2003). 이혼 및 별거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53, pp.51-73.

______(2004).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 소득이전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56(2), pp.5-27.

______(2006a). 부모부성휴가를 통해 본 남성 돌봄 노동 참여 지원정책 비교: 경제협력개발 기구 15개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8(2), pp.223-249.

______(2006b). OECD 21개국의 부모권과 노동권 보장수준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비교연구: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8(3), pp.341-370.

______(2007). 노르딕 4개국 가족정책의 보편성과 상이성: 아동보육과 돌봄 관련 휴가 정책 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2), pp.327-354.

이용우(2006). 여성 한부모가구의 빈곤지위에 미치는 아동의 영향에 관한 국가간 비교연구.

사회보장연구, 22(2), pp.105-131.

장지연, 이정우, 최은영, 김지경(2005).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정연택(2007). 가족정책의 국제비교-동아시아와 남유럽 복지체계비교의 시작에서. 사회복지 연구, 34(2), PP.79-106.

한국고용정보원(2008). 고용보험통계연보.

Esping-Andersen, Duncan Gallie, Anton Hemerijck, John Myles. (2002).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Elizabeth U. Cascio. (2007). Maternal labor supply and the introduction of kindergartens into American Public Schools.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44, pp.140-170.

Kathryn Edin, Laura Lein. (1997). Making Ends Meet: How single mothers survive welfare and low-wage work, Russell Sage Foundation.

Melhuish, E. (2007).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in the U.K.

Presentation to PECERA, Seoul Korea, November.

Nores, M., Belfield, C. R., Barnett, W. S., Schweinhart, L. (2005). Updating the economic impacts of the high/scope Perry Preschool program.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7, pp.245-261.

Sheila B. Kamerman and Alfred J. Kahn (eds.). (1978). Family Policy-Government and families inforteen count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New York: 1978).

Simon Chapple. (2009). Child well-being and sole-parent family structure in the OECD: An analysis.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no, 82.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인터넷서비스, 모의 연령별 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급여 이용자 수. http://edi.work.go.kr.에서 2009. 8. 4. 인출.

국민연금관리공단. 출산크레딧 제도. http://www.nps.or.kr에서 2009. 8. 4. 인출.

통계청. 종사상 지위별 여성 취업자 수. http://www.ngo.go.kr에서 2009. 8. 3. 인출.

통계청. 근로시간별 여성 취업자 수. http://www.ngo.go.kr에서 2009. 8. 3. 인출.

OECD. Family database, 한부모가구 비율과 유자녀 한부모가구 비율, 아동빈곤율, 한부모가 구의 빈곤율, 가구주 근로에 따른 빈곤율. http://www.oecd.org/els/social/family/

database에서 2009. 7. 30. 인출.

OECD. Family database, 가족급여, 육아휴직율, 유아교육보육이용률, 아동양육비체계, 아동 양육비 수준. http://www.oecd.org/els/social/family/database에서 2009. 7. 30. 인출 OECD. Labour Statistics, 여성 고용율과 모의 고용율. http://www.oecd.org에서 2009. 7. 31.

인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