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무 소진(Job burnout)은 ‘업무와 관련하여 대인 접촉이 잦은 직무들에 종사하는 직무 담당자가 장시간 스트레스적 요인에 노출됨으로서 겪게 되는 부정적인 심리적 현상’으로(Maclach & Schaufeli,1993),1970년대 중반,미 국에서 고객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감정적,업무로 인한 대인 관계 적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경험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등장하였다.이후 직 무소진은 고객 서비스업뿐만이 아니라 전체 직무로부터 경험하게 되는 직무 에 대한 만성적인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증상으로 정의하였다 (Maslachetal.,2001).직무 소진에 대한 연구자들의 정의는 <표 2-1>과 같 다.

연구자 정의

정과 업무를 위해 겉으로 표현해야 할 감정의 괴리 사이에서 정서적 고갈 현 상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비인격화(depersonalization)는 고객,동료,조직 으로부터 심리적으로 이탈되어 부정적,혹은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개인 성취감 감소(reduced personalaccomplishment)는 직무와 관련 된 성취감의 부족으로 자신에게 부정적 평가를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직무 소진의 세 가지 차원에 관한 메타분석에서 정서적 고갈과 비인격화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나,개인 성취감 감소와 관 련해서는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Lee& Ashforth,1996),개인 성취감을 자기효능감(self-efficacy)과 같은 구성원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정 서적 고갈,비인격화와는 다른 성격의 항목으로 분류하는 관점도 존재하며 (Cordes & Dougherty,1993),오늘날의 연구들은 감정고갈과 비인격화만을 다차원적 직무소진의 하위 항목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Lee & Ashforth, 1996; Cordes & Dougherty,1993; Leiter,1993; Bakker, Nachreiner &

Schaufeli,2001).

또한 직무 소진의 개념을 적용시킬 수 있는 직업들에 관한 논의로는 직 무 소진은 간호사,교사,사회사업 등 직접 대면 접촉이 많은 직업들로 적용 범위를 한정적이라는 주장과 함께(Maslach & Jackson,1981b),반대로 직접 접촉이 많은 서비스 직종 종사자들에게 한정되지 않고 다른 직종들에게도 일 반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개념이라는 논의도 있다(Pine& Aronson,1988). 최근의 연구 흐름은 차원성 문제에서는 다차원 입장을,그리고 적용 범위 문 제에서는 대인 접촉이 많은 직업을 넘어서 일반직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신강현,2003).

직무소진은 직무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직 무 스트레스는 환경적 조건,직무 긴장 등 직무 스트레스원(job stressor)에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생리적․행동적 반응이라고 정의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들은 적응을 통해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 할 수 있지만 직무 소진된 구성원들은 소진 전의 정상 상태로 복귀 할

수 있게 하는 적응 시스템이 작동 할 수 없기 때문에 정상 상태로의 복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Schaufeli& Enzmann,1998),직무 소진은 조직 구성원들 의 정신 건강과 신체 건강 등 직업 건강을 측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박형인 외,201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