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검증

30년

5.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검증

가설 5.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5를 검증하기 위하여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Ⅳ-7>와 같다.

<표Ⅳ-7>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물리환경 조직관련 직무관련 조직 외 개인관련

보 상 -.112 -.360** -.446** -.305** -.236**

신체적 노력 -.134* -.157** -.368** -.319** -.043 상 사 -.229** -.453** -.527** -.374** -.286**

업무자체 만족 -.193* -.373** -.468** -.374** -.215**

후 생 복 지 -.154* -.329** -.410** -.262** -.159**

인 정 -.167** -.334** -.404** -.376** -.263**

동 료 -.293** -.397** -.415** -.279** -.301**

작 업 조 건 -.359** -.403** -.490** -.335** -.322**

*p<.05 **p<.01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위의 <표Ⅳ-7>에서 하위요인 간 에 강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는 일방적인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직무스트레스의 긍정적이고 촉진적인 기능을 완전히 부정하는 결과이 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진다는 해석이 이러한 결과로부 터 추론된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자면,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에서 물리 환경 요인은 직무만족도의 요인 중 작업조건(r=-.359, p<.01)과 가장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경계 및 집단 갈등 요인과 감독 및 평가 요인을 포함하 는 조직관련 요인은 상사요인(r=.453, p<.01)과 가장 강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

이는 상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조직관련 스트레스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 사한다. 직무관련 스트레스 요인 또한 상사요인(r=-.527, p<.01)과 가장 강한 부적 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직무관련 스트레스와 직무특성을 지시하고 직 무분위기를 이끄는 상사요인의 만족이 가장 높은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가정요인과 사회적 지원요인을 포함하는 조직 외 요인에서는 인정요인이 가장 강한 상관을 보였고(r=-.376, p<.01), 상사요인(r=-.374, p<.01), 업무자체요인 (r=-.374, p<.01)과도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가정에서의 지원과 사 회적 인정요인과 같은 심리적이 지지가 조직 외적인 부분의 스트레스와 강한 관 련이 있다는 것을 암시해 주며, 상사에 대한 만족과 업무자체에 대한 만족감 또한 가정요인, 사회적 지원요인과 관련한 조직 외에서 오는 직무스트레스를 크게 경감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또한 개인관련 요인은 통제소재, 욕구 및 가치, 능력 및 경험, 인구 통계적 특성 등과 관련한 직무만족도 하위 요인으로 직무만족 하위요인 중 작업조건 요인 (r=-.322, p<.01)과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이 직무스트레스를 결정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 하여 변인의 크기 순서로 전향적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표Ⅳ-8>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직무만족 회귀분석

독립변수 누가 R

2

△R

2

회귀계수

(B)

표준화 회귀계수

(β)

t

작업조건 .262 .262 -3.321 -.337 -3.473**

상 사 .309 .048 -1.935 -.280 -2.882**

**p<.01

회귀모형은 1단계에서 작업조건 요인이 추출되었고, 2단계에서는 상사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 두 요인을 포함한 회귀모형은 직무스트레스에 약 30%의 설명력 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Ⅳ-8>에 의하면,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중 직무 스트 레스를 예언하는 유의한 변인으로는 작업조건요인(t=-3.473, p<.01)과 상사요인 (t=-2.882, p<.01)이 있었으며, 그 중 작업조건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 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만족도 요인 중에서도 작업조건 요인과 상사 요인이 직무스트레스를 크게 하느냐, 혹은 적게 하느냐를 좌우하는 중요한 척도로서, 작업조건에 대한 만족이 낮을수록, 상사에 대한 만족이 낮을수 록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다음의 <표Ⅳ-9>은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이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인의 크기 순서로 전향적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표Ⅳ-9> 직무만족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회귀분석

독립변수 누가 R

2

△R

2

회귀계수

(B)

표준화 회귀계수

(β)

t

조 직 외 .246 .246 -.082 -.356 -4.116**

직무관련 .308 .062 -.016 -.285 -3.302**

**p<.01

<표Ⅳ-9>에 의하면 조직 외 요인과 직무관련 요인 등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직무만족이 설명되는 양은 약 30%인 것을 알 수 있다. 1단계에서는 조직 외 요인이, 2단계에서는 직무관련 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의 5개 하위 요인 중, 인지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유의한 요인은 조직 외 요인 (t=-4.116, p<.01)과 직무관련 요인(t=-3.302, p<.01)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스트 레스 요인보다 조직 외 요인과 직무관련요인이 직무만족을 크게 하느냐, 적게 하 느냐의 중요한 척도로 평가되어 질 수 있다는 것으로, 가정과 사회적 지원에 의한 조직 외 관련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와 관련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 족은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로써 가설 5는 지지되었고 두 변인간 강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적, 신체적 역기능을 부하 한다는 고전적인 개념의 결과와 일 치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변인으로는 작 업조건 요인과 상사요인이, 인지된 직무만족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 레스 변인으로는 조직 외 요인, 직무관련 요인이 나타났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