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방의 흡수 및 수송

- 식물과 동물에서  트라이아실글리세롤로 저장 - 탄수화물 열량 4.1 kcal/g, 지질 9.1 kcal/g

- 원형질막, 소포체, 세포구성기관의 구획화 - 지질의 흡수:

소장의 내강  파괴(담즙산, 효소)

공액성 담즙산은 지질에 녹는 스테로이드나 타우린 또는 글리신부분으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 미셀은 지방에 녹는 비타민, 콜레스테롤 흡수 운반체로 기능

- 지질의 행선지

 간, 혈액, 지방조직  혈액이 운송체계

1. 지질의 수송과 유미입자

- 합성된 트라이아실글리세롤, 섭취된 콜레스테롤, 새로 합성된 인지질들, 특수단백질

- 상피세포의 소포체에 집합

 에멀존화 되어 유미입자에 배출

- 반경 200nm, 80~90% 트라이아실글리세롤, 6-10% 인지질, 2-3% 콜레스테롤,

0.2-0.5% 단백질

- 장의 유선에서 림프계를 통과

 왼쪽 동맥으로 배출

유미입자의 형성

- 유미입자  지방조직으로 옮겨감

- 공복 시  유미입자  골격근육, 심장근육 - 트라이아실글리세롤 파괴  자유지방산

- 소장 내강에서 흡수된 지방산

 소장 내막에서 트라이글리셀합성

 유미입자형성  지방조직으로 운반

2. 지방조직

- 격렬한 운동, 빠른 감응의 스트레스 조건

 동물의 혈액  아드레날린 - 지방세포의 수용체에 부착

- 지방산의 가수분해효소의 활성화 - 트라이아실글리세롤 분해

- 혈액을 통하여  혈청알부민과 결합

 안정한 FFA-알부민 복합체

혈청알부민 - 혈장단백질의 50% 차지

- 분자량 69,000D

- 혈액에서 삼투압조절

- 지방산이 한 번 혈청알부민에 부착되면 얻어진 FFA-알부민복합체는 용해도가 매우 높고,

비독성이 되며, 쉽게 간으로 운반되어 지방산의 활용이 가능하게 됨

- 간으로 운반

지방산의 산화과정

1. 막횡단 수송

- 간: β-산화과정은 중요한 대사경로

 관련효소들은 간의 내부막, 마이토콘드리아에 위치 - 지방산의 붕괴되어 아세틸 CoA가 생성될 때 TCA회로의

효소들에 의해 산화되어 CO2와 H2O가 얻어짐 - 카니틴

 아실카니틴 형태로 간의 내부막과 다른 조직의 마이토콘드리아 침투가능

- 간질에서 아실CoA로 변환

- 마이토콘드리아 바깥쪽 아실CoA

카니틴아실CoA이동효소 내부로 이동

2. 지방산의 활성화

- 연속적으로 2탄소씩 제거 - 지방산의 활성화효소

 아실CoA 합성효소 관여

- 중간체 아실아데닐산 경유

 싸이오에스터 생성

3.

β

–산화과정의 반응

- 아실CoA탈수소효소  FAD

- 에노일 CoA수화효소  이중결합 수화로 3-L-하이드록시아실CoA를 만듦

- β-하이드록시아실CoA의 산화과정에는

L-(+)β-하이드록시아실CoA탈수소효소 관여

 NAD+

- 싸이올가수분해효소: 싸이올성 절단에 의한 Cα-Cβ결합의 분해

- 식물의 씨앗: β-산화체계는 글라이옥시솜이라 부르는 마이크로체에서만 특유하게 존재

4.

β

–산화과정의 에너지발생

- 한 분자의 ATP소요

- 팔미트산  1개의 ATP + 8개의 아세틸CoA - 7몰의 FADH2, NADH

- FADH2: 한 쌍의 전자를 호흡사슬의 전자전달 플라보단백질에 전달, 전자쌍 O2에  1.5ATP - NADH  2.5ATP

- 2 탄소제거  4ATP 분자생성

5. 불포화지방산의 산화

- 두 개의 새로운 효소:

1. 시스-

Δ

3-에노일CoA이성화효소 2. 2,4-다이에노일CoA환원효소

- 팔미토레오일  이중결합 한 개를 가짐 - β–산화 3회 후

- 시스

Δ

3-에노일CoA이성화효소

 트렌스

Δ

3을 시스

Δ

3형으로 전환시키면 에노일 CoA 기질  β–산화

리노레오일CoA 

Δ

9

Δ

12 - 정상적인 β-산화 3회전

- 시스-

Δ

3-에노일이성화효소

 트렌스-

Δ

2-이중결합이 얻어짐 - 다른 β-산화로 시스-

Δ

4의이중결합

- 탈수소화효소  2,4-다이에노일중간체

 트렌스-

Δ

3-에노일CoA 중간체를 거쳐 시스-

Δ

3-에노일이성화효소에 의해서

 트렌스

Δ

2에노일 CoA  β-산화

- 최종 프로피오닐 CoA

- 프로피오닐 CoA카복실화효소

- 얻어진 (S)메틸말로닐 CoA는 라세미화효소에 의해서 (R)-메틸말로닐 CoA가 얻어짐

- 메틸말로닐CoA전환효소에 의해서 석시닐 CoA가 얻어짐

- 보조효소 5’-데옥시아데노실코발아민

6. 케톤체의 형성

- 간과 콩팥의 마이토콘드리아에서 특유의 연계된 반응에서 얻어짐

- D-α-하이드록시뷰틸산, 아세토아세트산, 아세톤

- 간에 3-옥소: CoA이동효소 부족

 붉은색 근육, 뇌, 콩팥, 효소존재 대사기능

- 지방산  트라이이실글리세롤,

간 여분은 고밀도지질단백질(HDL) 콜레스테롤, 인지질, 초저밀도지질백질(VLDL)  입자형성

 혈액체계로  목표조직인 근육, 지방조직으로 운송  지방산 사용, VLDL입자는 HDL로

혈액순환계를 통하여 간으로 돌아가 여분의 트라이아실글리세롤 보충

- 자유지방산  마이토콘드리아  β-산화, TCA  CO2, H2O

- 자유지방산  마이토콘드리아  케톤체

 근육, 뇌, 심장근육  CO2, H2O로 연소

지방산의 합성

1. 포화지방산의 합성

- 동물의 체내에서 탄수화물로부터 지방산의 합성

- NADPH의 에너지

 오탄당인산화경로에 필요한 60%공급

- 피류브산(세포질)  마이토콘드리아(탈카복시화)

 옥살아세트산 + 2아세틸CoA

 시트르산합성효소  세포질로 절단

 아세틸CoA

- 아실운반단백질(ACP)  세란잔기에 인산판토티인 그룹이 부착  거대CoA

- 간에서 분자량 540,000D

- 8개의 단백질이 공유결합 및 소수성 연결 - 에노일 ACP환원효소  방해제

트리클로산(triclosan)

 0.3%, 치약, 비누, 피부용 크림에 사용

- 뷰티릴ACP + 말로닐ACP  C6 β-케토아실ACP - 축합  환원  탈수  환원

2. 불포화지방산의 합성

- 간에서 스테아릴CoA 합성되면

 올레일 CoA를 만들게 됨

- 지방산아실CoA 불포화효소(desaturase), 혼합기능산화효소(mixed function oxidase) - 산소분자에 의한 산화로 이중결합 도입

- 사이안이온에 의해서 방해되고, 이때

사이아나이드는 민감한 인자에 부착되며, 이 인자는 철-단백질환원제를 불포화효소에 연결시킴

3.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합성

- 글리세롤-3-인산 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인산 - 2개의 지방산아실CoA + L-글리세롤-3-인산

 다이아실글리세롤-3-인산  포스파티드산

4. 세포막 인지질의 합성

- 세포막구성

 글리세로인지질과 스핑고인지질 - CDP에 의한 활성화

- 포스파티딜세린  탈카복실화

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지방산대사의 조절

- 주로 간에서  합성은 세포질에서, β-산화는 마이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남

- 트라이아실글리세롤의 운송  유미입자와 VLDL, 지방산은 알부민복합체, 케톤체의 형태로 운반

- 인슐린이나 글루카곤

 지질대사경로에 반대로 조절

 트라이아실글리세롤 합성화

 지방산가수분해효소 불활성화 - 홀몬에 민감한 트라이아실글리세롤

지방산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조절

 cAMP농도에 따른 인산화와 탈인산화가 서로 관여

- AMP-의존 단백질인산화효소

 아세틸CoA카복실화효소인산화

 불활성화

- ATP농도 높아지면

 인산화효소 불활성화

 아세틸CoA카복실화효소 활성화

콜레스테롤의 대사

1.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 초기의 하이드록시메틸글루타릴CoA

 메발론산

- HMG-CoA환원효소  속도결정단계

2. 콜레스테롤합성의 조절

- 합성의 조절

 고지혈증치료제의 개발

- HMG-CoA환원효소의 방해제

 로바스타틴

- 효소의 유전자 발현의 조절 - 효소의 합성의 정도가 높음

- 스테롤조절결합단백질(SREBP)

 가수분해조각

 bHLH의 전사활성인자로 알려짐

3. 콜레스테롤과 심장병

- 혈액 속에 LDL형태의 콜레스테롤의 증가

 심장병의 주원인

- 심근경색(myocardial infraction), 뇌졸중(stroke)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터 및 대식세포의 응고  혈관벽에 정착  근육세포의 경화

- 동물성 지방질 섭취가 원인(콜레스테롤) - 높은 HDL(고밀도지질단백질)의 농도 유지

 콜레스테롤 간으로 수송  담즙으로 제거

문서에서 지질구조, 대사 및 세포막의 기능 (페이지 31-8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