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질대사 요인의 개선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8)

유산소운동의 지질개선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김보정 등(2021) 은 유산소 운동을 통해 이상혈증군의 혈액성분(TG, LDL-C, HDL-C)을 개선 하는데 건강보조제를 섭취하지 않아도 동일한 조건에서 유산소운동만으로 유의 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건강보조제섭취가 일정수준 효과는 있지만 유산소운동과 병행했을 때 큰 효과차이가 없음을 밝혔다. 이는 지질대사 요인을 개선하는데, 약 물요법만으로 기대하기 힘든 정도의 수준을 유산소운동을 통해 기대해볼 수 있다 는 것을 반증 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김찬회 등(2014)은 같은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3회 빈도로 30분씩 시행한 것과 60분씩 시행했을 때 지질대사 요인에 60분씩 운동한 집단이 긍정적인 개선효과가 컸다고 밝히면서 30분 운동을 시행 한다면 적절한 식이요법이나 12주 이상의 장기간 혹은 주3회 이상 실시한다면 유의한 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의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 비만인들의 지질대사 요인을 개선하는데 있어 유산소 운동은 분명히 효과가 있지 만 그 기간, 시간, 빈도, 강도, 형태 등의 차이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 규칙적으로 꾸준히 유산소운동이 이루어져야 기대수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이유로 비만과 관련된 질환이나 예후를 개선하는 연 구에서는 일회성 혹은 단기간의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규칙적이고 장기간으로 꾸준한 운동을 습관화하는 것이 건강하게 비만 해소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전재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Ⅵ. 결 론

본 연구는 비만여성군을 대상으로 운동그룹(n=12)과 통제그룹(n=12)으로 구 분하여 10주간의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을 통해 신체적 스트레스와 지질대사 요인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개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비 만을 해소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운동효과를 제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 으며,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비만여성의 신체적 스트레스 α-amylase를 긍정 적으로 유의하게 변화시킨 반면(p<.001), 통제그룹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p>.05), 이에 따라 신체적 스트레스 개선에 효과가 나타났다(p<.05).

둘째,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비만여성의 지질대사 요인 LDL-C, HDL-C, TG를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변화시킨 반면(p<.001, p<.01, p<.001) 통제그룹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p>.05), 이에 따라 지질대사 요인 개선에 효과가 나타났다 (p<.001, p<.05, p<.001).

따라서 비만여성에게 10주간의 유산소운동은 신체적 스트레스와 지질대사 요인 을 긍정적으로 변화 시키는 개선효과가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비만을 해소하 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으로써 가치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김보정, 서영환(2021). 오메가-3섭취와 유산소운동이 이상지질혈증군의 지질관련 혈액성분과 혈관나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9(3), 305-308.

김찬회, 이한웅(2014). 유산소운동 지속시간에 따른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혈중 지질, 식이 및 대사조절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3(2), 193-203.

김희경(2006). 연령집단에 따른 중년성인여성의 피로와 영향요인 비교 분석. 여성건강 간호학회지, 12(4), 276-281.

대한노인건강협회(2015). 노인운동의학 가이드라인. 서울: 한미의학.

대한비만학회(2012). 비만치료 지침. 서울: 대한비만학회 진료지침위원회.

배노연(2018). 비만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서영환(2020). 점핑운동에 참여하는 중년비만여성들의 생활습관병 위험요인과 외적 스트레스 α-아밀라아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9(1), 707-713.

유재희, 조현숙(2009). 복합운동과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체구성, 건강상태 지각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비교=마른비만대상자를 중심으로. 보건 교육건강증진학회지, 26(4), 91-103.

윤수미(2019). 고강도 Davinci Bodyboard운동이 중년여성의 체형변화, 활성산소 및 α-아밀라아제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상호, 김상헌, 우정민, 송경은, 정성훈, 장성만, 이승재(2008).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생물학적 표지자로서의 타액 알파 아밀라아제의 유용성. 생물치료정신학, 14(1), 132-141.

장경태, 김민정, 김선영(2002). 저·중강도 운동프로그램이 중․노년 고혈압 여성의 혈압,

전아영(2019). 골프운동 참여가 중년여성들의 α-아밀라아제와 대사증후군 관련 인자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성태(1998). 국민 건강을 위한 유산소운동의 활성화. 대한스포츠융합학회지, 2(1), 1-4.

정재훈, 최윤선, 김선미, 최선영, 김정은, 김이연, 김은영, 이희열, 정지훈, 진로사 (2014). 한국 성인에서 신체활동상태와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대한임상 노인학회지, 15(1), 35-44.

조양현, 황예선, 오수일(2009). 8주간의 유산소운동이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혈중 지질 및 간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 755-764.

최명숙, 천숙희(2007). 여대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 내제화, 체형만족도, 분노 및 식이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3(4), 327-335.

통계청(2017). 국내보건통계, 2016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2021). 국내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만성질환 비만 유병률.

ACSM(2005). ACSM’s guideline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7th),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ACSM(2009).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Medicine &

Science.

Asikainen, T. M., Kukkonen-Harjula, K., Miilunpalo, S(2004). Exercise for Health for Early Postmenopausal Wome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Sports medicine, 34(11), 753-778.

Bliddal, H., Leeds, A. R., Stigsgaard, L., Astrup, A., Christensen, R(2011).

Weight loss as treatment for knee osteoarthritis symptoms in obese patients: 1-year results from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70(10), 1798-1803.

Booth, F. W., Gordon, S. E., Carson C. J., Hamilton, M. T(2000). Waging war on modern chronic diseases: Primary prevention through exercise

biolog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8(2), 774-787.

Isabela Maia da Cruz Fernandes, Rafael Zambelli Pinto, Paulo Ferreira, Fábio Santos Lira(2018). Low back pain, obesity, and inflammatory markers:

exercise as potential treatment.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14(2), 168-174.

Lazzer, S., Lafortuna, C., Busti, C., Galli, R., Tinozzi, T., Agosti F., Sartorio A(2010). Fat oxidation rate during and after a low- or high-intensity exercise in severely obese Caucasian adolescent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8(2), 338-391.

Mase, T., Miyawaki, C., Kouda, K., Fujita, Y., Ohara, K., Nakamura, H(2013).

Relationship of a desire of thinness and eating behavior among Japanese underweight female students. Eating and Weight Disorders, 18(2), 125-132.

Martin, W. H(1996). Effects of acute and chronic exercise on fat metabolism.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24(1), 203-231.

Pieper-Bigelow C, Strocchi A, Levitt MD. (1990). Does serum amylase come from and where does it go?. Gastroenterol Clin North Am; 19:7.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2017). The State of Obesity: Better Policies for a Healthier America. http://www.stateofobesity.org

Turnbull, C. D., Wang, S. H., Manuel, A. R., Keenan, B. T., McIntyre, A.

G., Schwab, R. J., Stradling, J. R(2017). Relationships between MRI fat distributions and sleep apnea and obesity hypoventilation syndrom e in very obese patients. Sleep and Breathing, doi:

10.1007/s11325-017-1599-x.

Van Aggel-Leijssen, D. P., Saris, W. H., Homan, M., & Van Baak, M.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