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학생의 성별 학년별 참여 동기에 따른 자기효능감차이비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39)

I. 서 론

1. 중학생의 성별 학년별 참여 동기에 따른 자기효능감차이비교

일반적으로 연구대상의 성별과 학년(또는 나이)은 가장 기본적인 개인차 변인이다. 이 점에서 본 연구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성별과 학년 수준에 따라 무용에 대한 흥미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수업참여 수준이 다른지를 비교하였 다. 이를 위해 중학생의 성별과 학년별로 일원 다변량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각 분석결과는 <표 5>와 <표 6>에 제시되었다.

1) 성별 차이검증 비교결과.

“무용흥미, 자기효능감, 그리고 수업참여 수준은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차 이가 있을 것이다(연구가설 1)”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 다변량 분석이 이루 어졌다. 먼저, 두 집단 간의 공분산행렬이 동일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 한 결과, Box’s M=15.87, F=.741, p=.794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남녀 집단 간의 공분산 행렬이 동일함을 보여준다.

위에서와 같이, 두 집단의 공분산행렬이 동일하기 때문에, 일원 다변량 분석 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주 효과는 Wilks’ Lambda=.971, F(6,320)

=1.56, p=.157, η2=.03, Power=.6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흥미, 자기효능감, 그리고 수업참여 수준이 남녀 집단 사이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시사한다.

<표 5>은 종속변수들에 대한 단변량 F값을 제시한 것이다. 주효과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단변량 F값은 의미가 없지만, 수업흥미의 하위 요인 가운데 관련성 요인은 연구대상에 따라 남녀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무용흥미와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

수준은 남녀 중학생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므로 연구가설 1은 기 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변 수 M SD F

( 1, 325)

P η2 Power

관련성

남힉생 3.14 .62

5.65 .018 .02 .659 여학생 3.30 .61

만족감

남힉생 3.12 .64

2.38 .123 .01 .338 여학생 3.23 .59

주의력

남힉생 3.09 .66

4.27 .039 .01 .540 여학생 3.24 .62

자신감

남힉생 3.21 .70

1.02 .313 .00 .172 여학생 3.29 .70

자기효능감

남힉생 4.05 1.02

3.65 .057 .01 .479 여학생 4.26 1.01

수업참여

남힉생 4.32 1.05

2.38 .124 .01 .337 여학생 4.51 1.11

표 5. 중학생의 성별 간 종속변수의 차이검증 비교결과.

2) 학년별 차이검증 비교 결과.

“무용흥미, 자기효능감, 그리고 수업참여 수준은 중학생의 학년에 따라 차 이가 있을 것이다(연구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 다변량 분석이 실시 되었다. 먼저, 두 집단 간의 공분산행렬의 동일성을 검증한 결과, Box’s M=164.50, F=3.81, p=.001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세 학년 사이에 공변량 행렬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현행 유의수준을 .05에서 .01로 보다 격히 설정하여 그 차이를 검 증 하였다. 일원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 집단에 따른 주효과는 Wilks’ Lambda=.857, F(12,638)=4.25, p=.001, η 2=.07, Power=1.000로 α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어떤 종속변수들에서 세 학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변량 f값이 평가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변수 M SD F

( 2, 324)

P η2 Power post hoc

관련성

1학년 a 3.14 .46

7.06 .001 .04 .928 b>a,c 2학년 b 3.39 .57

3학년 c 3.10 .77

만족감

1학년 a 3.05 .50

7.08 .001 .04 .929 b>a,c 2학년 b 3.34 .55

3학년 c 3.10 .76

주의력

1학년 a 3.03 .52

4.74 .009 .03 .789 b>a 2학년 b 3.29 .60

3학년 c 3.15 .78

자신감

1학년 a 3.17 .61

5.80 .003 .04 .869 b>a,c 2학년 b 3.42 .63

3학년 c 3.13 .83 자기

효능감

1학년 a 3.89 .89

13.55 .001 .08 .998 b>a,c 2학년 b 4.53 .79

3학년 c 3.99 1.25

수업 참여

1학년 a 4.15 .95

6.77 .001 .04 .917 b>a 2학년 b 4.67 .86

3학년 c 4.39 1.35 표 6. 학년별 차이검증 비교결과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6개 종속변수들 모두가 학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각 종속변수의 평균점수를 보면 세 학년 중 2학년의 평 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간 평균점수가 의미가 있을 만큼 통계적 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사후검증(post-hoc)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2학 년 집단이 1학년과 3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흥미의 하위요인들과 자기효능 감, 그리고 수업참여 수준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 라서 연구가설 2(무용흥미, 자기효능감, 그리고 수업참여 수준은 중학생의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일부분 지지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3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