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학교 지리개념학습을 위한 개념도 작성

나. 지리수업과 개념도

3. 중학교 지리개념학습을 위한 개념도 작성

표현주의 화가들

어떤 종류의 개념도이든 일반적 작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개념도로 표현될 내용 영역, 학습 내용, 또는 교수 자료를 선택한다.

(2) 그 내용 영역에서 중요한 개념을 확인한다. 만일 필요하다면 그 내 용(주제)에 대한 자료를 읽거나 검토한다. 학습 내용을 다 읽고 난 후 중요한 단어 모두를 작성한다.

(3) 가장 중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가지고 시작한다. 종이나 칠판 위에 그 개념 단어를 쓰고, 그 둘레에 원이나 네모를 그린다.

(4) 첫 번째 개념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두 번째 개념을 선택한다. 그것을 종이나 칠판 위에 쓰고 원을 그린다. 두 개념 사이에 선(line)을

그린다.

(5) 두 개념이 관련되는 방식을 생각한다. 예를 들어, 한 개념은 다른 개념의 ‘부분’인가? 두 개념은 유사한가? 한 개념은 논리적으로 두 번째 개념을 초래하는가? 즉, ~의 형태, ~의 부분, ~을 초래한다,

~와 유사, ~의 성격, ~를 위한 증거 등 다양한 형태의 링크 중 어떤 링크인가를 검토한다. 그리고 두 개념간의 관계를 가장 명확 히 기술할 수 있는 링크를 선정한다.

(6) 링크에 이름을 붙인다. ( ~의 형태, ~의 부분, ~와 유사, ~의 원 인 등)

개념

개념

개념

개념

개념

~의 형태

(7) 그 내용 영역으로부터 또 다른 개념을 골라서, 그것을 종이나 칠판 위에 쓰고, 그것에 원을 그린다. 세 번째 개념이 첫 번째 개념과 두 번째 개념 중 어느 것에 관련되는지를 결정한다. 관련되는 각각의 개념 단어들 사이에 선을 그리고, 관계의 형태에 따라 선에 이름을 붙인다.

(8) 학습 내용에 대한 중요한 개념 모두가 개념도에 포함될 때까지 이 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한다.

(9) 개념간의 모든 관계가 이름이 붙여진 선으로 묘사되었는지 확인하 기 위해 개념도를 점검한다.

(10) 개념도가 혼란스러운 것 같지 않은지 전체적인 개념도의 조직을 점검한다. 만일 그렇다면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념도를 다시 수정하는데 이럴 경우 관계를 묘사했던 모든 선을 보유한다.38)

최초의 개념도는 연결어를 항상 사용한 것은 아니며, 마인드맵과 비슷 하다. 실제로 학생들은 초등학교 때 마인드맵을 만들어 본 경우가 많아 개념도를 처음 설명할 때 마인드맵과 비슷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 둘 은 계층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보다 적극적인 관련 설명 이 뒤따른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즉 개념도는 개념간의 상호관계에 대 한 구상과 설명이 강조되며 필요한 경우 피드백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계 층적 구조를 어느 정도 파괴할 수 있는 점에서도 마인드맵과 차이를 보인 다.39) 그러나 개념도를 실제 수업에 사용한 사례를 보면 마인드 맵의 내 용을 개념들로 사용함으로써 개념도와 마인드맵이 똑같이 사용되는 경우 가 흔하다. 이런 점에서 지리 수업 전략으로서의 개념도는 현장 교사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38) 허인숙, 전게서, 48-49.

39) 이경한, 전게서, 5.

나. 개념도를 통한 개념학습의 실제

질문내용 답변내용 응답자

한 수업방법의 모색과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전개가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

다음은 학생들과 수정․보완해 가면서 완성한 꽃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 내용-개념 선정

자원과

과정 내용 구성 차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