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앙 대칭선에서의 전단응력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71)

4.4 해저면 전단 응력(bed shear stress)

4.4.2 중앙 대칭선에서의 전단응력

y / D = 0, z / D = 0 에서의 x 방향의 선은 대칭 선이라고 본 연구에서 불린다. 특히 모노파일 기초 -2D < x < -0.5D 애서의 전단 응력 계수는 (Roulund et al., 2005)의 모노파일 기초에 대한 실험 결과와 비교되고 그림 4.24 에서 나와 있다. 실험 조건은 Re = 1.7×105, δ/D = 1 및 부드럽고 강체 해저이다.

FIGURE 4.24: Comparisons of shear stress coefficients along y/D = 0, z/D = 0

해저면 전단 응력 계수 τ τ/

τ

는 전단 응력의 x 성분을 기반으로 하며 다른 구성 요소는 이 영역(대칭선)에서 무시할 수 있다. 전단 응력은 해저면의 속도 gradient 에 의존하기 때문에, 대칭 선을 따른 분리 점은 전단 응력이 0 인 곳이다.

이것은 대략 x/D = 0.89 에서 발생한다. 이 점을 초과 한 음의 값은 backflow 를 상징하는 것은 분명하다. 대략 x / D = -0.85 까지 본 연구의 CFD 시뮤레이션 결과는 (Roulund et al., 2005)의 실험 결과와 유사하다. -0.85 < x/D < -0.5 사이에서 본 연구의 전단 응력 계수는 실험 결과에 비하여 반 정도 작다.

레이놀즈 수 크기에 따라 해저의 전단 응력 값이 변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 고자

시뮤레이션 했다.

case 레이놀즈 수 τ max τ 1 9.2×105 0.62 2 4.6×106 0.88 3 1.4×107 0.99

TABLE 4.1: Comparisons of maximum shear stress coefficients between different Reynolds numbers

FIGURE 4.25: Comparisons of shear stress coefficients at different Reynolds number

메쉬 격자 질량을 보증함으로 이하여 레이놀즈 수를 1×105 까지 줄이지 못 했다.

그림 4.25 을 통하여 높은 레이놀즈 수 경우에는 레이놀즈 수가 늘어날수록 해저 전단 응력의 최대 값이 크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6 각형 중력식 기초 및 8 각형 중력식 기초(그림 5.26)의 결과는 말굽형 보텍스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 함을 보여준다. 기초의 샤프한 앞 에지가 대칭 선에 위치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6 각형 중력식 기초에 비하여 8 각형 중력식 기초 앞쪽의

말굽형 보텍스 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6 각형 중력식 기초에 비하여 8 각형 중력식 기초 앞쪽의 해저 전단 응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FIGURE 4.26: Shear stress coefficients along the symmetry line, Hexagonal &

Octagonal GBF

그림 4.27 은 말굽형 보텍스가 기초 앞의 해저에서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것을 보여주는 4.3.1 절의 원형 중력식 기초 주위의 와류 구조와 일치한다. 이 그림은 가장 깊은 보텍스가 다른 기초보다 훨씬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현상에 대한 연구나 설명이 없다. 더 깊이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4.27: Shear stress amplification along the symmetry line, circular GBF

표 4.2 는 τ max

τ 에 대한 결과를 요약한다. 모노파일 기초(원통식 기초)보다 중력식 기초 앞의 해저 전단 응력이 더 적으며, 6 각형 중력식 기초는 중력식 기초 중에 제일 작은 것이 나타난다.

Foundations τ max τ Hexagonal 0.29

Octagonal 0.62 Circular 1.56 Monopile 0.88

TABLE 4.2: Comparisons of maximum shear stress coefficients between different foundations

제 5 장 결론

4 가지 바닥 고정형 풍력 터빈 기초(원통식 또는 모노타일, 원형 중력식, 6 걱형 중력식 및 8 각형 중력식) 주위의 경계층 유동이 CFD 시뮬레이션으로 연구되었다.

기초 앞에서의 downflow 와 backflow 가 연구되었다. 모노파일 앞쪽에는 넓은 범위의 downflow 가 존재하여 해저까지 이른다. 이것은 질량 보존으로 인해 해저면 근처의 기초 앞에서 backflow 를 유발한다. 중력식 기초의 하단 슬래브는 해저 부근의 downflow 를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 주변의 압력 분포는 y/D = 0 에서 x-z 평면에서 등치선과 기초 주변의 3D 공간에서 등가면으로 연구되었다. 기초 앞에 양(+)의 수직 압력 구배 dp/dz > 0 이 존재하였다. 더 큰 부피를 갖는 모노파일은 다른 기초보다 압력 구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지 기초 주변의 보텍스 구조, 특히 기초 주변의 해저 위에 생긴 말굽 모양의 보텍스는 구조를 계산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모노파일 기초 주변에 1 가지의 말굽형 보텍스가 기초 주변의 해저 위에서 생겼다. 6 각형 중력식 기초 및 8 각형 중력식 기초 주변에서 2 가지의 말굽형 보텍스가 생겼다. 하나는 하단 슬래브에서, 하나는 해저 위에서 생겼다. 또한 8 각형 중력식 기초 뒤쪽 부분의 보텍스가 대칭 형태가 아니고 -y 방향으로 편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형 중력식 기초의 경우, 말굽 모양의 보텍스는 3 부분으로 나뉘었다. 하나는 하단 슬래브에서, 2 개는 해저 위에서 생겼다.

y/D = 0, z/D = 0 선을 따른 해저 전단 응력의 x 성분이 조사되었다. 결과는 전단 응력 계수인

τ τ

/ 로 표현되었다. 말굽형 보텍스 크기도 전단 응력 계수로 측정되었다. 6 각형 중력식 기초는 제일 작은 전잔 응력이 나타났다. 해저 전단 응력과 말굽형 보텍스 크기를 고려하여, 6 각형 중력식 기초 주변의 세굴 문제가 제일 심하지 않다는 결론이다.

참고문헌

Bakker, A. (2006), Lecture 10 - Turbulence Models, Appli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ccessed 10 June 2015,

http://www.bakker.org/dartmouth06/engs150/10-rans.pdf

Cengel, Y. A. and Cimbala, J. M. (2010). Fluid Mechanic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Second Edition, McGraw-Hill.

European Commission (2015), 2030 framework for climate and energy policies, accessed 10 June 2015, http://ec.europa.eu/clima/policies/2030/index_en.htm European Wind Energy Association (2015b), Wind in power - 2014 European

statistics,

accessed 10 June 2015,

http://www.ewea.org/fileadmin/files/library/publications/statistics/EWEA-Annual-Statistics-2014.pdf

Gainer, T. G., Morrison, J. H., Rivers, S. M., Mysko, S. J., and Witkowski, D.

P. (2001), ’Cfd sensitivity analysis of a modern civil transport near buffet-onset conditions’,

http://ntrs.nasa.gov/archive/nasa/casi.ntrs.nasa.gov/20020015798.pdf

Global Wind Energy Council (2015), Global Wind Energy Council homepage, accessed 10 June 2015, http://www.gwec.net/global-Figures/graphs/

Jeong, J. and Hussain, F. (1995), ’On the identification of a vortex’, Journal of

fluid mechanics, 285:69–94.

Jeppsson, J., Larsen, P. E., and Larsson. (2008), ’Technical description lillgrund wind power plant’, Lillgrund Pilot Project. Vattenfall Vindkraft AB.

Kalitzin, G., Medic, G., Iaccarino, G., and Durbin, P. (2005), ’Near-wall

behaviour of rans turbulence models and implications for wall functions’,

Journal of Computational Physics, 204:265–291.

Karimirad, M. (2014), Offshore Energy Structures, Springer.

Lorc, Knowledge (2011), Lorc-webpage, accessed 10 June 2015, http://www.lorc.dk/offshore- wind-farms-map/list

Ong, M. C., Utnes, T., Holmedal, L. E., Myrhaug, D., and B., P.

(2010),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around a circular cylinder close to a flat seabed at high reynolds numbers using a k-s model’, Coastal

Engineering, 57:931–947.

Ong, M. C., Utnes, T., Holmedal, L. E., Myrhaug, D., and Pettersen, B.

(2009),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around a smooth circular cylinder at very high reynolds numbers’, Marine Structures, 22:142–153.

OpenFOAM Ltd (2015), OpenFOAM User Guide, accessed 10 June 2015, http://cfd.direct/openfoam/user-guide/

O’Riordan, N. J. and Clare, D. G. (1990). ’Geotechnical considerations for the installation of gravity base structures, paper otc 6381’, 22nd Offshore

Technology Conference, May 7-10, Houston, pages 309–316.

Pope, S. B. (2000), Turbulent Flo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Roulund, A., Sumer, B. M., Fredsøe, J., and Michelsen, J. (2005), ’Numer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low and scour around a circular pile’, Journal

of Fluid Mechanics, 534:351– 401.

Spalart, P. R. and Allmaras, S. R. (1992), ’A one-equation turbulence model for aerodynamic flows’, In 30th Aerospace Sciences Meeting and Exhibit,

January 6-9, Reno, NV, USA.

Spalart, P. R., Deck, S., Shur, M. L., Squires, K. D., Strelets, M. K., and Travin, A.

(2006), ’A new version of detached-eddy simulation, resistant to ambiguous grid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