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년여성의 외출복 및 헤어스타일

‘날씬해 보이는 이미지’, ‘단정하고 깔끔한 이미지’, ‘청순한 이미 지’, ‘풍만한 이미지’, ‘젊어 보이는 이미지’였다. 측정방법은 5단계 Likert형으로 조사하였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 점, ‘그저 그렇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이었다.

분류 중년여성의 모습

스 커 트 차

바 지 차 림

【 표 6 】 실태조사에 의한 중년여성의 외출복 차림

각 아이템의 착용도에 대한 측정은 3단계로 하였으며, '전혀 착용하지 않 음‘ 1점, ’가끔 착용하는 편‘ 2점, ’자주 착용하는 편‘ 3점이었다. 중 년여성의 외출복차림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의 내용은 연구결과에서 제시하 였다.

중년여성의 외출복에 대한 예비조사는 대형마트, 백화점, 문화센터 등을 방문하여 중년여성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여 동의를 한 대상자를 중심으로 사진촬영을 하고 또한 연구자 지인 40-50대 여성의 외출복 차림의 사진을 촬영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표 6). 조사대상자는 광주광역시 거주 40, 50 대 중년여성이었으며, 조사기간은 2016년 2월 중이었다.

분석 내용은 사진으로 명확하게 분석되는 상하의 겉옷, 이너웨어, 헤어 색, 헤어질감, 가방, 스카프 여부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전체 65 장의 사진 중에서 명확하게 구분이 되는 사진 49장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 다.

1) 인구통계적 특성

인구통계적 특성은 표본이 한 곳에 치우치지 않도록 연령, 사회계층, 직 업을 고려하였다. 연령은 자신의 연령을 직접 기입하게 하였고, 직업, 사회 계층은 해당되는 항목을 선택하게 하였다. 한편 사회계층은 3개 집단 즉 하 류층, 중류층, 상류층을 집단별로 상, 중, 하로 나누어 9개 항목으로 구분 하여 조사대상자가 보다 자신의 사회계층 집단에 가깝게 선택하도록 하였 다.

자료분석에서는 사회계층의 9개 항목을 3집단으로 재분류하였다. 즉 상류 층의 3개 집단과 중류층의 상집단을 상류층으로, 중류층의 중집단을 중류층 으로, 중류층의 하집단과 하류층 3개 집단을 하류층으로 분류하였다.

측정변수 내용 측정

방법 문항 수 문항출처

대인관계성향

Ÿ 지배우월, 동정수용, 사교우호, 과시도취의 4개 영역

5단계 Likert

척도

24 선행연구82) 대인관계시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

Ÿ 대인관계시 신체외모 및 패션이 미치는 중요성

5단계 Likert

척도

10 연구자 (예비조사)

추구이미지

Ÿ 패션이나 외모연출을 통하여 자신이 지향하는 이미지

5단계 Likert

척도

10 선행연구83)

84)

외출시 착용의복 및

헤어스타일

Ÿ 의복의 아이템별로 외출시 착용하는 정도 Ÿ 외출시 헤어스타일

3단계

평점법 20 연구자 (예비조사)

개인특성 Ÿ 연령, 사회계층, 직업 개방형

선택형 3 연구자

【 표 7 】 질문지의 구성

제4절 조사방법 및 연구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