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제가로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 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문서에서 장소성 (페이지 52-69)

대구시 약전골목을 중심으로

08103914 이경규

목차

 서론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

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정의

약전골목(대상지)의 개관

약전골목의 장소성의 형성요인

 장소성의 형성요인이 장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 결론

서론

 배경및 목적

지 방 자 치 가 본 격 화 된 이 후 각 지 역 의 문 화 적 특 성 을 강 화 하 여 지 역 특 화 의 전 략 으 로 채 택 .

장 소 는 인 간 의 인 식 체 계 를 통 한 사 회 적 가 치 와 역 사 성 이 상 징 화 된 공 간 .

장 소 성 의 형 성 요 인 을 깨 닫 고 그 에 따 른 경 제 적 가 치 측 정 .

장 소 성 을 고 양 시 키 는 요 인 이 지 역 의 가 치 를 향 상

시 킬 수 있 다 는 근 거 제 시 .

서론

 범위 및 방법

문 헌 연 구 를 통 해 서 얻 어 진 약 전 골 목 의 구 성 요 소 를 토 대 로 장 소 성 형 성 요 인 을 규 명 .

약 전 골 목 의 장 소 성 을 형 성 하 는 요 인 파 악 .

장 소 성 형 성 요 인 이 약 전 골 목 의 선 택 에 미 치 는 영

향 분 석 .

서론

 범위 및 방법(조사대상)

2007, 5월, 한달동안 241명(남성115, 여성 126)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 요 인

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정의(장소의 구성인 자 3가지)

공간 이란 장소를 형성하는 3차원적인 조직, 인간의 활동을 담는 그릇 역할.

인간 은 장소를 만드는 주체로서 공간이라는 물리적 기반 위에 인간의 활동이 기억으로 남게 되면 장소 형성.

시간 은 신간과 공간의 관계에 개입되는 4차원적인

요소로서 소위 과거 , 현재, 미래라는 시간적 틀 속에

서 장소가 존재.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 인

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정의(장소감, 장소성)

• 장소감 사람들이 장소를 경험하고 회상할때 느끼는 감 정으로서 사람과 장소를 묶어주는 요소인 나무, 공원, 벤치, 역사적사건 , 역사적 분위기, 냄새 등.

• 장소성 이란 인간에 의해 일정 기간 체험됨으로서 가치 와 의미가 붙여진 특정 공간을 말하며, 이러한 성질은 다른 장소와 구별하게 한다.

다른장소와 차별화되어 만들어짐으로서 장소성 구현.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350년이 넘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전문한약시장.

우리나라 전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와 한약재를 교역하던 국제 무역의 거점.

약재의 수급과 관련되는 유무형의 다양한 한방문화 전승과 대구광 역시의 대표적 관광자원.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인

일제 강점시기부터 사람들이 모이는 집회장소로서의 역

할.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1978년 이후 약전골목의 특화전략으로서 매년 대구약령

제가 지역문화축제로서 개최.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2000년 부터 110억원 투자로 소공원 조성, 공용주차장 건립, 보차분리시설 설치, 도로포장, 간판정비, 서장대 건 립등. 환경정비와 한방테마거리 조성.

2004년 말 지역특화사업의 하나인 ‘한방특구’로 지정.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약전골목의 장소성의 형성 요인

활동을 통해 장소를 만드는 것 – 한 방축제와 행사, 한약재 상점과 한의 원.

기존의 환경에 대하여 물리적 환경 을 새로이 변화시켜 장소를 만드는 것 – 진입관문인 서장대, 휴식공간

주어진 환경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행위-대구읍성자리, 이용계층, 근대 역사건축물, 업무시설, 근린상가 및 상업시설, 요식업소, 노점상

새로운 장소를 만들기 위해서 의도 적으로 설계하는 행위- 한방테마거 리, 보행위주의 도로와 주차장.

장소성의 형성 요인이 장소 선택에 미치는 영향

• 현상적요인-한방테마거리로서 이미지 강화, 약전 골목 선택 확률 상승

• 역사적 요인-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역사적 요인을 한 단위 증가시키면 약 골목의 선택 확률 상승.

• 토지이용 요인- 약전 골목을 선택할 확률이 가장 떨어짐.

결론

장소성은 사람들의 장소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구 성되어 있고, 여러가지 경제적이나 마케팅적으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정 지역의 장소성 고양은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경 제 활성화에 유용한 전략적 방법 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지역의 장소 마케팅 전략구성에 지역의 장소성 요인

파악과 경제활성화의 효과를 측정 할 수 있을 것이며, 장소

성이 갖고 있는 가치를 산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용

장소마케팅 전략 을 구성할 수 있다.

참고논문과 문헌.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체험과 이미지구현 연구

-재생된 도시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미 영⋅문 정 민*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실내디자인전공 강사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실내디자인전공 교수*

Reference

[1] 김영재, “일상의 재생과 보존”, 건축학회지, Vol.51 no.5, 2007.

[2] 이석환․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Vol.32 no.5, 1997.

[3] 임승빈, 「현대건축사고론」, 시공문화사, 2001.

[4] C. N. Schulz, 김광현 역, 「실존․공간․건축」, 태림문화 , 1985.

[5] C. N. Schulz, 이정국․진경돈 역, 「건축의 의미와 장소성」, Spacetime, 1999.

[6] Yi-Fu Tuan,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Endnote

1) 김창수, “테마파크의 이해”, 대왕사, p.18, 2007.

2) 어정연, “도시수변공간의 공공영역 장소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p.44, 2011.

3) 박민선, “공간상관구조에 나타나는 공간체험형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3, 2008.

4) ibid., p.14

5) 최현철, “기억의 재구성에 의한 건축 공간 인식의 불연속 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8, 2002.

6) 최원령, “미술관 전시공간에서의 관람객 행동에 관한 연 구”,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논문집, Vol.2, p.17, 1986.

7) 김미영, “도시공원의 장소체험과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 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7, 2013.

8) 안우진, “건축의 장소성을 체험하는 공간시퀀스 구조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46, 2003.

9) 권영걸, 「공간16강」, 도서출판 국제, p.75, 2001.

10) 최현철, op. cit., p.19.

11) 김미영, op. cit., p.28.

12) 본 절은 김미영․문정민, “장소성 형성의 공간구현 전략 과 실행요소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2n.6, 2013과 김미영, “도시공원의 장소체험과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을 토대로 작성함 13) 김미영, op. cit., p.34.

14) 나인영, “실내디자인의 장소성(장소-Identity) 표현을 위 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0, 1997.

15)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보문당, p.116, 2007.

16) 김신애,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86, 201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참고논문과 문헌.

문서에서 장소성 (페이지 52-6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