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민의 마을숲 보전사업 참여의도

마을주민의 마을숲에 대한 태도, 주관적 판단력, 책임감, 지식이 마을숲 보전에 대한 주민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 석을 실시하였다. stepwise법에 의한 회귀분석으로 3가지 모형을 설정하 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모형에서는 태도와 주관적 판단력만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고 있었다. 이 모형의 분산설명력은 54.0%이므로 다른 요소가 주민의 마을숲 보전의도에 영항을 끼칠 수 있음을 알 수 있 다. 태도의 주관적 판단력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역 주민의 태도가 주관적 판단력에 비해 3배 이상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두 번째 모형에서 책임감과 주관적 판단력, 일반적 전통지식이 유의한 설명력을 갖고 있었으며 마을숲 보전의도에 대한 분산설명력은 56.7%로 나타났다. 태도, 주관적 판단력, 책임감, 지식의 세부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세 번째 모형에서는 책임감01, 책임 감02, 책임감03, 주관적 판단력04, 일반적 전통지식이 독립변인으로 의도 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의 분산설명력은 59.4%로 나타났다.

표 22. 마을숲 보전사업 참여의도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의 stepwise법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인 B SE t p-value

모형1

(상수) 0.446 0.296 1.507 0.135

A(종합) 0.642 0.088 7.273 0.000

L(종합) 0.208 0.091 2.281 0.025

모형2

(상수) 0.340 0.291 1.168 0.245

R(종합) 0.616 0.087 7.110 0.000

L(종합) 0.233 0.089 2.614 0.010

KB 0.291 0.113 2.570 0.012

모형3

(상수) 0.972 0.221 4.402 0.000

R1 0.197 0.051 3.874 0.000

R2 0.206 0.056 3.685 0.000

R3 0.180 0.060 2.990 0.003

L4 0.143 0.045 3.154 0.002

KB 0.276 0.114 2.421 0.017

모형1 R2=,540, Adj R2=.531, F=62.790(p=.000) 모형2 R2=.567, Adj R2=.555, F=46.253(p=.000) 모형3 R2=.594, Adj R2=.574, F=30.154(p=.000)

※ A:태도, L:주관적판단력, R:책임감, K:지식 I:마을숲에 대한 의도, PB:마을숲 에 대한 보전 참여 행동

5. 마을주민의 보전사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I1 .455 .057 7.938 .000

I3 .154 .064 2.414 .017

모형1 R2=,300, Adj R2=.293, F=46.274(p=.000)

제 2 절 소 결

1. 지리적 위치와 주민의 마을숲에 대한 인식

내륙지역 주민보다 해안지역 주민이 마을숲으로부터 방풍과 같은 혜택 을 더 입고 있으므로 마을숲 보전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숲의 풍수지리적 효용가치가 상대적으로 약한 내륙지역의 경우 마을숲의 보전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는 해안지역이 관광지가 많으므로, 타지 관광객을 불러 모을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조사 결과를 분석한바 내륙지역 주민이 해안지역보다 많은 참여활동을 하고 있는 점 은 역설적인 부분이라 하겠다. 숲으로부터 더 많은 혜택을 받을수록 마 을숲 관리에 더욱 많이 참여한다는 Dolisca 등(2006)의 연구결과와는 다 른 결과이다. 강릉시 초당당의 경우 마을숲내에 초당두부마을이 형성되 어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유입되고 있고 인근 경포대를 찾는 관광객들의 방문 또한 마을숲 주민들의 생활과 생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초당 두부마을에서 식당등의 자영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의 경우 마을숲의 혜택 을 직접적으로 보고 있다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마을숲으로 부터 생태계 서비스의 혜택을 많이 보는 주민들이 마을숲의 보전에 덜 참여한다는 것은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아마도 숲의 소유권을 마을공 동체가 갖지 못하는데서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2. 소실 위험과 마을숲에 대한 주민의 인식

또한 강릉시의 회산동은 회산 심씨의 집성촌으로 이주민에 대한 텃세가 존재한다는 일부의 의견이 있었다. 또한 마을숲이 회산 심씨의 소유이기 때문에 텃세에 대한 반감으로 마을숲에 애착을 줄 수 없다는 소수 의견 도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자영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타 직업군에 비해 주민들의 인식이 높게 측정되는 이유는 초당동 마을숲의 구체적 사례처럼 마을숲 인근에 조성 된 먹거리 타운처럼 경제적 혜택을 누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 식에서 전통지식의 보유수준은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농업분야가 지속적으로 전통지식이 축적된 결과라 판단된다.

학력이 높을수록 마을숲 관리를 위해 인근 국공·사립 수목원과 같은 전 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은 전문기관이 지니고 있 는 전문성과 마을숲 관리에 필요한 기술 및 정보 등의 연관성에 대한 이 해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소득이 많을수록 마을숲을 보전하기 위한 활동에 적극적인 의사를 표했 고 전문기관의 참여도 원했고 책임감도 강했다. 반면에 소득이 낮을수록 전통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해당 마을에서의 거주기간이 긴 주민일수록 마을숲의 보전을 위해 수목 원과 같은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사유지에 대 한 전문기관의 개입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주민들도 있었다.

4. 마을숲 보전사업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을숲을 바라보는 인식 변수 모두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가 설정한 행동모델을 뒷받침해주는 부분이 다. 특히 주민의 마을숲에 대한 책임감은 마을숲의 관리와 보존이 우리 의 문제 이전에 나의 책임이라는 강한 책임의식에 작용하는 것으로서, 참여의도와 가장 밀접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마을숲 관리 주체가 마을자 체가 되어야 한다는 주체의식 또한 참여의도에 관련이 있다. 일반적 전 통지식처럼, 살아오면서 자연친화적인 전통방법론을 습득한 경험을 보유 할수록 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5. 마을주민들의 보전 의식과 보전사업 참여 가능성

마을숲 주민들의 참여의사는 현재 주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의 간단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 활동 범위 내에서 이 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참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교육이나 정책일지라도 주민들의 생활과 동떨어 진다면 외면 받 을 가능성이 있다. 마을숲의 혜택을 많을수록 수시로 모니터링과 소소한 관리에 해당하는 행동에는 적극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관공서나 정책수립 주체는 마을주민들의 모니터링하고 숲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마을숲 관리에 대한 투자나 기부의 도 또한 보전사업 참여 가능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므로 마을숲의 관리 를 위해 주민의 자발적 투자와 기부외에 외부의 투자를 유치해오는 노력 까지 병행된다면 주민의 참여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제 5 장 결 론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본 연구는 생활권 녹색공간의 원형인 마을숲의 효과적인 조성, 관리, 이 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가 되는 마을숲 보전에 참여할 가능성 에 영향을 주는 마을주민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마을숲의 위치가 내륙인지 해안인지에 따라 발생하는 마을숲에 대한 주 민의 마을숲에 대한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 통계 적으로는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강원도 해안지역 주민이 내 륙지역에 비해 마을숲의 존재가치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내 륙지역 주민보다 해안지역 주민이 인식이 강한 점은 최근 해안지역이 관 광지로 많이 이용되며, 관광자원으로서의 역할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라고 생각 된다.

소실위험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소실위험이 낮은 마을이 높은 마을보다 마을숲에 대한 의도와 책임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마을주민의 책임의식 등 마을숲에 대한 인식이 마을숲 보전에 중요 한 관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가설 부분적으 로 채택되었다. 전반적으로 소실위험이 낮은 마을주민들의 인식이 높지 만 소실위험이 높은 마을의 주민들이 현 마을숲 상태에 대해 정부적 차 원에서의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고, 국가차원의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주민의 마을숲에 대한 인식, 지식, 보전의 도 등 인식과 건전한 행동에 대한 관계성을 살펴보면, 주관적 판단력을 제외한 모든 인식항목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농·어촌의 특성 상, 여성이 가사와 생계에 집중하는 반

향을 주며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는 마을숲의 관리와 보존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의 책임이라는 인식이 크며 마을숲 관리 주 체 또한 마을자체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식도 참여의도에 직접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요법과 같은 전통적으로 자연자원을 활용한 경험도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여의도 또한 건전한 행동에 매우 유의한 설명력을 보이고 있는데, 마 을숲의 보전을 위해 불편하더라도 감수하고, 금전적 기부의사까지 있을 경우 건전한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생활과 밀접한 정책과 교 육은 보전 참여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제 2 절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과 제안

본 연구는 마을숲의 효과적인 조성, 관리, 이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

‘도시녹화운동’의 전개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을주민의 인식 분석을 시 도하였다. 지리적 특성과 소실위험에 대한 차이 측정은 향후 강원도 춘 천과 강릉 지역만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적 한계점이 있으므로 향후 추가 적으로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조사과정에서 연구자들에 대한 마을주민들의 신뢰에 대한 태도를

또한 조사과정에서 연구자들에 대한 마을주민들의 신뢰에 대한 태도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