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류산업의 특성

주류산업의 특성은 크게 2가지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공급체인의 규제의 측면이다. 주류의 공급에서 소비단계에 이르기까지 주세법과 주세 사무처리규정에 의하여 공급자 및 수입업자는 반드시 도매상(슈 퍼체인본부 포함)에게만 공급하여야 하며 도매상은 반드시 소매상에게만 공급하 고 소매상(업소포함)은 반드시 소비자에게만 판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자 상호간, 도매상 상호간, 소매상 상호간의 거래가 불법일 뿐만 아니라 공 급자가 소매상이나 소비자에게 공급이 불가능하고 도매상 역시 소비자에게 판매

가 금지되어 있다. 이러한 one-step rule은 각 이해당사자간의 이해를 충족시키 는 순기능이 있는 반면 경제성, 효율성 측면과 시장원리에 반하는 역기능이 동시 에 있다. 정부로서는 부가가치세, 소비세 등을 가장 효율적으로 징수할 수 있으 며, 공급자는 도매상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물류비 등을 최소화하며 소매상은 재고 부담없이 고객관리의 know-how를 활용하여 이윤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전국에는 약 17,000여개의 도매상이 있으며 보건복지부, 문화관광부, 경찰 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1999년 6월말 현재 전국적으로 유흥음식점 17,991개, 단란 주점 23,632개, 일반음식점 524,219개로 나타나 있다. 또한 주류를 판매할 수 있 는 일반 소매점은 전국에 약 30여 만개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국내주 류는 약 4만여개의 유흥주점 및 50여만개의 일반음식점 그리고 30여 만개의 일 반소매상에서 소비자에게 팔린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제도상의 변화측면이다.

1990년 정부는 유통면허를 개방하여 수입주류의 수입개방과 더불어 유통업자 의 수가 증가되는 등 커다란 유통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그 동안 맥주, 소 주, 양주 등 3개 업종의 제조자로부터 모두 추천을 받아 가능했던 도매상 면허를 94년부터 1개 업종 제조자로부터 추천을 받아도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하여 도 매업 면허가 쉽게 이루어져 현재 전국에 1,700여 개의 도매상이 있다. 이러한 구 제완화로 고액의 프리미엄에 거래되던 도매상 면허거래의 부작용도 없어지게 되 었다. 이러한 규제완화는 그 동안 공급업체와 도매상간의 계열화로 소비자의 주 류선택을 제한 받던 상황에서 벗어나게 하고 사실상 공급업체와 도매상간의 계 열관계가 없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수많은 영세 유통업체 를 양산하는 부작용도 초래하게 되었다.

우리 나라 주류 수요체계를 분석한 논문에 의하면 과거 우리 나라 주류산업의 특성으로 (1) 왜곡된 시장구조, (2) 단순화된 소비습관, (3) 유통성장의 한계 등을 열거하고 있다. 비록 그 동안 몇 차례의 관련 법규의 개정이 있었지만 아직도 규 제 일변도의 정책으로 소비자 중심보다는 공급자측 보호의 측면이 강하다. 그 결 과 고급주류시장에서 외국의 고가주류에 대응할 수 있는 국내주류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안방시장을 모두 외국 주류업체에게 내어주고 만 것이다. 고도주 시장 에서 소주와 위스키는 그 가격차이가 무려 22배로 전혀 경쟁이 되지 않지만 스 카치위스키협회를 앞세운 외국 공급업자들의 압력으로 현재 소주와 위스키는 동

일한 72%의 주세율을 부담하고 있다. 대부분의 OECD국가들은 나름대로의 자국 산 고급주를 보유하여 자국 주류시장을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일본은 산 토리, 닛카 등의 일본 위스키를 캐나다는 Canadian Whisky, 미국은 Bourbon Whiskey를 국내 소비 뿐만 아니라 수출까지 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나라의 주류산업에 대한 여러 가지 제도도 이제 규제중심으로 인한 기득 권 보호차원에서 과감하게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고품질의 경쟁력이 있 는 국산주류의 성장여건을 조성하여 값비싼 외국주류의 확산에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국내 주류 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여러 가지 제도와 정책을 정비하 여야 된다고 보여진다.

고급 주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외국 고급 주류 수입이 크게 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주류업계의 대응 방향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15). 첫째는, 수요증가에 부응하는 주류 고급화와 국제시장에서 인정 받을 수 있는 브랜드 개발이다. 둘째는, 구조조정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과제이다, 특정 주류에 전문화를 특화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세계적인 주류 메이 커들과 경쟁하고 기술개발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누릴 수 있 을 정도의 대형화가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류유통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 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16).

첫째, 제조업체에 대해서는 밀어내기식 판매경쟁 및 비인기 신제품 개발에 대 해 수요에 맞는 공급 및 무모한 신제품개발 지양을 요구하고 있다. 도매업체에 대해서는 과대한 경비지출 및 외상매출에 대해 단위업소별 철저한 원가관리에 의한 자금 지원(자금시설)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소매업체에 있어서는 과다한 가격인하 및 자료감소에 대해 자료 100%양성화 및 가격협정을 통한 미연방지를 요구하고 있으며, 국세청(일반세무서)에 대해서는 업소에 대한 과세를 각 도에서 현실에 맞게 연구개발함으로써 업소들의 탈세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15) 박시룡, 4/4분기 국내외 경기전망과 주류산업, 대한주류공업협회, 2002.9 p.9.

16) 정헌배, 우리나라 주류 유통산업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세계경영연구원, 1998, p.105.

최명규, 2003년 경제흐름과 주류산업의 대응방안, 대한주류공업협회, 2003.3, p6-10.

응답하고 있다.

둘째, 주류산업은 지역색이 강한 국내산업이라는 사고방식이 뿌리 깊다는 점이 다. 이에 반해 여타 제조업의 경우에는 해외시장까지 파고들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수출과 해외생산에 주력하게 되는 것이 상식이다.

셋째, 한국적 특수성에 의존한 경영체질을 변화시키는 일이다. 안정된 시장, 충 성스런 소비자, 확고한 거래선도 더 이상 보장된 것이 아니다. 이제부터는 정부 나 은행의 보호, 동업자간의 암묵적 행동을 전제로 경영을 할 수 없으니 만큼 철 저한 경쟁원리와 정글의 법칙에 의해 근본적인 체질개혁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넷째, 효과적인 유통관리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매출을 증대시켜야 한다.

다양한 기눙한 유통채널 및 그 구성원들을 점검하여 효율적인 유통채널과 유통 업체를 선정하여 거기에 마케팅 노력을 집중시키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자신의 브랜드 자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불황기에 주류기 업은 호황기 때보다 더 적극적으로 브랜드 파워 구축 및 강화를 위해 투자와 노 력을 지속하여야 한다. 불황기라고 브랜드관리에 소극적으로 대처한다면 소비자 들은 그러한 브랜드를 외면하게 되고 적극적으로 자기들에게 다가오는 경쟁제품 을 선호하고 불황이 끝난 후에도 그 경쟁제품을 기억하게 될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