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존 듀이의 미학에 대한 리처드 슈스터만의 계승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38)

슈스터만은 듀이가 ‘예술작품으로서의 예술’이 아니라 ‘미적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주장한 점에 주목하여, 자신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하는 ‘신체미학(Somaesthetics)’

의 이론적 체계를 수립한다. 말하자면 슈스터만은 예술이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작품’

이 아니라 ‘인간이 삶 속에서 행하고 겪는 역동적 경험’이라고 주장한 듀이의 경험주의 예술론을 신체미학이 지향하는 “개선주의(meliorism)”의 발판으로 삼는다.62) 신체미학 의 개선주의는 개별적인 경험과 행위의 핵심적 장소로서 ‘몸’을 바라보고, 몸의 잘못된 습관이나 경험을 개선하여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글에서는 앞서 살펴본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대한 일반적 논의를 슈스터만이 어떻게 해석 하고, 어떤 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신체미학의 이론적 방향 을 도출하고자 한다.

슈스터만은 듀이의 미학 중 가장 중심적 특징이 ‘육체적 자연주의(somaic naturalis m)’63)에 있다고 말한다. 말하자면, 듀이는 인간을 유기체로 환원하는 것으로 시작해 미 적 경험의 원천을 육체적 리듬에, 즉 “우리가 ‘금수’와 공유하는 ‘기본적인 생명기능’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64)고 주장하는 것이다. 슈스터만은 듀이의 육체적 자연주의에 대 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자연주의는 예술을 진보적 문화든 원시적 문화든 모든 문화에서 표현되는 인간 본성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말하자면 예술은 자연 인(natural human)의 욕구나 충동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 러한 욕구나 충동은 균형이나 형식 혹은 유의미한 표현에 대한 자연적 욕 망, 즉 일종의 고양된 미적 경험에 대한 갈망이다. 이러한 미적 경험은 생 물체(living creature)로서의 인간에게 즐거움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생생 하고 고양된 의미를 부여해준다. 이러한 관념에 의하면 예술은 인간의 본 성이 존속되고 발전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인 것뿐만 아니라 도구적인 것에 도 그 뿌리 깊은 토대를 두고 있다.65)

62) 허정선, op. cit., p. 29.

63) ‘육체적 자연주의’는 슈스터만이 듀이의 자연주의적 토대를 두고 명명한 용어이다.

64) PA, p. 6.

슈스터만에 의하면, 이러한 육체적 자연주의에 기반한 듀이의 미학은 ‘예술의 도구 적 가치’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듀이 또한 예술의 대체될 수 없는 본질적 가치를 옹호 했지만, 그는 미적 경험의 유용한 측면을 강조하면서 이를 주장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 어, 추수의 들녘에서 불리는 노동요는 추수하는 사람들에게 만족스러운 미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 노동요가 지닌 풍취는 추수하는 사람들에게 전해 져 노동을 생동케하고 증진시키며, 노래와 노동이 끝난 이후에도 오랫동안 남는 연대 의 정신을 심어준다. 이와 유사한 유용성이 고급예술작품들에서도 발견된다. 고급예술 작품들은 특별한 미적 경험을 산출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 여 감상자의 지각과 소통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66) 이렇듯 듀이의 미학은 전체 생 물을 생동케 하는 경험, 즉 유기체로서 인간의 삶과 발전에 이바지하는 경험이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듀이는 예술의 특별한 기능과 가치가 어떤 특수화된 특정 목적에 있는 것 이 아니라 생물을 더욱 범세계적인 방식으로 만족시키는 데 있다고 주장 하는 지점까지 나아갔다. 그러한 만족은 다양한 목적들에 기여함으로써,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를 기운생동케하는 우리의 직접적 경험을 증진시 키고 그리하여 우리가 추구하는 상위 목적들에 대한 성취를 북돋아줌으로 써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예술은 도구적으로 가치 있으면서 동시에 그 자 체로 만족스러운 목적이다.67)

슈스터만은 이러한 예술의 도구성에 대한 듀이의 관점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즉 감상자에게 유용한 가치를 제공하는 미적 경험은 감상자로 하여금 만족스러운 관조 속에 머물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경험의 성취를 위해 긴장과 역동의 에너지를 발동하여 또 다른 삶의 경험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렇듯 직접적인 경험이 삶에 발전적 인 결과를 가져다준다는 것은, 미적 경험이 감각적 차원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적인 차원에서 인식적 활동의 활발함을 이끌어낸다는 점을 의미한다.

나는 신생의 자연주의를 수용하기 위해 이원론을 거부하면서 … 모든 경

65) PL, p. 5.

66) PA, p. 9.

67) Ibid.

험, 심지어 추상적인 사고가 신체 의존적이라는 듀이의 견해를 공유한다.

… 듀이는 비록 직접적인 경험이 알 수 없고 말로 나타낼 수 없더라도, 그 것의 존재와 기능은 내성에 의해 인식될 수 있고, 나아가 우리의 모든 사 고에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 나의 주장은 비추론적인 경험과 그것의 인식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것에 있다.68)

이러한 맥락에서 슈스터만은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체화되는(embodied) 경험 의 철학”이며 “경험을 실천하는” 철학이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체화’는 “자연의 섭리에 순응할 때 가장 강렬하게 느껴지는 경험의 질적 특성이다. 이러한 질적 특성이 몸의 감 각적 지각을 통해 생생하게 느껴질 때, 지적 인식을 예리하게 하여”69) 실천의 에너지로 작용하는 것이다. 슈스터만이 강조하는 체화되는 경험은 바로 이러한 미적 경험의 직접 성과 질적 특성에 입각한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에서 비롯된 것이다.

프래그머티즘은 내가 실천하고 있듯이 체화되는(embodied) 경험의 철학이 며 늘 상황 속에 놓여 있는 경험의 철학이다. 프래그머티스트는 선험적 원 리에 의존하거나 필연적 진리를 추구하기보다 경험을 실천한다. 말하자면 프래그머티스트는 현재의 경험의 특질과 이것이 미래의 경험에 미치게 될 결과를 개선할 수 있도록 경험의 의미를 명료히 하려고 애쓴다.70)

슈스터만은 듀이의 체화되는 경험에 관한 연구의 연장선에서 ‘신체’를 중요한 매개 로 한 ‘개선주의’를 주장하고자 한다. 그는 듀이에게서 영향을 받은 예술의 도구적 가 치를 드러내기 위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개선주의적 방법론이 “어떻게 우리 몸의 지각과 기능을 개선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지를 보여주려고 하였 다.”71)

몸과 그것의 비언어적 메시지에 대한 예리한 관심, 그리고 신체적 관심을 높이고 자신의 느낌과 기능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변형하는 신체적 단련들

68) PP, p. 158, p. 163, p. 233.

69) 허정선, op. cit., p. 57.

70) PL, p. 96.

71) Ibid., p. 166.

의 훈련에 의해, 인간은 자기 자신을 새롭게 함으로써 자기인식을 발견하고 확장한다. 자기인식과 자기변형에 대한 이러한 탐구는 거부할 수 있는 미적 매력을 지닌 체화되는 풍요를 증진하는 철학적 삶을 구성할 수 있다.72)

슈스터만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신체미학(Somaesthetics)’을 통해서 보여준 다. 신체미학은 체화를 적극적으로 해내는 신체와 그것의 주요한 가치를 논증함으로써, 그것이 자기인식은 물론 자신의 품성을 개선하여 나아가 사회(문화)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질적으로 체화되는 프래그머티즘적인 선택이 있다. 우리가 신체적 경험 을 불가피하고 귀중한 경험의 차원으로 인식하고, 철학을 궁극적으로 경험 에 대한 탐구 혹은 살아가는 온당한 방법에 대한 탐구로서 간주한다면, 우 리는 실제적인 신체 운동을 통해 우리 자신의 생생한 경험에 대한 구체적 인 검증과 개선을 이루어가는 신체미학을 철학적인 삶의 본질적인 부분으 로 간주할 수 있다.73)

정리하면, 슈스터만의 신체미학은 신체적 경험의 직접성을 중요시하는 듀이의 미학 적 입장을 그대로 유지하는 가운데, 더 넓은 의미에서 ‘자기개선’과 ‘자기변형’을 추구 하는 실천적 내용을 사상에 담고 있다.

다음 장에서는 이러한 슈스터만의 논의를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체적 움직임과 관객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인터렉티브 아트와 신체미학을 연결 하여 인터렉티브 아트의 예술적 가치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72) PP, p. 176.

73) PL, p. 156.

제3장 리처드 슈스터만의 신체미학

제1절 신체미학의 개선주의적 특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