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절효과 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8)

특권분노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모화 경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iken, West, & Reno(1991)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표 8>과 같다.

1단계 회귀모형에서 특권분노의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값은 .131으로, 모형의 13.1%(

F

=73.17,

p

<.001)를 설명한다고 볼 수 있다. 2단계, 조절변수인 부모화를 투입한 결과

값은 .173으로 모형 2의 17.3%의 설명량(

F

=50.65,

p

<.001)을 보였다. 모형 2에 서 부모화의 설명량은 모형 1에 비해 4.2%증가 하였다. 마지막으로 특권분노와 부모화 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3단계의 R²값은 .186으로 전체 설명량은 18.6%(

F

=36.67,

p

<.05)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량의 변화(

△R²=

0.12)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권분노는 반응적 공격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

β

=.362,

p

<.001), 또한 부모화가 높을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β

=.208,

p

<.001). 이 때, 특권분노와 부모화의 상호작용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β

=.637,

p

<.05). 다시 말해, 부모화가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특권분노의 영향을 조절하 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그림 7에] 그래프를 제시하였 다.

표 8. 특권분노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모화의 조절효과 (

N

= 458)

단계 예측변인 종속변인 : 반응적 공격성

B β t R²(△R²) F

1단계 특권분노 .628 .362 8.55*** .131 73.17***

2단계

특권분노 .588 .328 7.83*** .173

(.042) 50.65***

부모화 .124 .208 4.95***

3단계

특권분노(A) -.389 -.224 -1.07

.186

(.012) 36.67***

부모화(B) -.009 -.013 -.01 A×B .016 .637 2.71***

*

p

<.05, **

p

<.01, ***

p

<.001

하지만, Hayes(2013)는 위계적 회귀분석은 조절효과가 나타난다는 결과만 보여주고 조절변수(

M

)의 전체영역 중 어느 구간에서 영향을 미치는 조건부 효과가 유의한지에 대해서는 보여주지 않는다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특권분노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모화의 상호작용효과의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Aiken, West, & Reno(1991)가 제안한 방식을 따랐다. 부모화의 평균값과 ±1SD값을 설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점수에서 특권분노가 반응적 공격성에 미 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상호작용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본 연구에서는 PROCESS Macro를 통해 부모화의 조건 값에 따른 단순 기울기 분석의 유의성을 검증 하였다. 상호작용의 유의성과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표 9>과 [그림 7]에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상호작용 효과 탐색을 위해 존슨-네이만 방법(Johnson-Neyman technique) 을 함께 사용하고자 한다. 단순 기울기 분석은 위해 조절변인을 자의적으로 일부 특정값 (M, M±1SD)을 지정하여 살펴본다는 점과 동시에 조절변인의 왜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 다는 제한점이 있다(Hayes, 2013). 존슨-네이만 기법은 통해 특권분노가 반응적 공격성 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화 경험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영역을 구별해줄 수 있다.

먼저 단순 기울기 분석에 따라 살펴본 조절효과는 평균값과 ±1SD 값에서 모두 유의 미하였지만, 그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부모화 수준이 낮은 집단(b=.366,

p

<.001)과 높 은 집단(b=.748,

p

<.001) 모두 조절효과가 유의했지만, 부모화 수준이 높은 경우 반응 적 공격의 경향이 더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권분노 수준이 낮아도 부모화 수준이 높다면 반응적 공격성의 경향을 증가시키는 강화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9> 부모화 정도에 따른 조절효과의 유의성 검증

조절변인 Effect SE t 95%

CI

LLCI ULCI

부모화

-1 SD .366 .105 3.49*** .160 .573

M .557 .073 7.66*** .414 .700

+1 SD .748 .097 7.68*** .557 .939

[그림 7] 특권분노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모화의 조절효과 그래프

이어서, 구체적으로 부모화가 어떠한 조건에서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조건부 효과를 나타내는지 존슨-네이만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표 10>에 제시하였다.

존슨-네이만 기법을 사용해 유의한 영역을 확인한 결과, 부모화 평균점수가 41.05점 이 상인 구간에서는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40 점미만 구간에서는 신뢰구간 0을 포함하기에 조건부 효과가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는 부모화 수준이 낮은 경우(40점미만)에는 특권분노 수준의 증가에 따른 반응적 공격 성의 증가가 유의한 수준에서 일어나지 않으며, 일정한 비율로 유지됨을 뜻한다.

<표 10> 부모화의 평균점수에 따른 조절효과의 유의성 검증

부모화 평균점수

비 표준화된

조절효과

SE t p

95%

CI

LLCI ULCI 38.00 .235 .144 1.630 .104 -.048 .517 39.82 .264 .135 1.965 .500 .000 .529 41.05 .285 .128 2.22 .027 .032 .537 44.10 .335 .114 2.947 .003 .112 558 47.15 .385 .100 3.846 .001 .188 .582 50.20 .435 .088 4.921 .00 .261 .609 53.25 .485 .079 6.117 .00 .329 .641 56.30 .535 .074 7.250 .00 .390 .680 59.35 .585 .073 8.045 .00 .442 .728 62.40 .635 .076 8.334 .00 .486 .785 65.45 .686 .084 8.182 .00 .521 .850 68.50 .734 .094 7.795 .00 .550 .921 71.55 .786 .107 7.335 .00 .575 .996 74.60 .836 .121 6.887 .00 .597 1.074 77.65 .886 .137 6.485 .00 .617 1.154 80.70 .936 .152 6.135 .00 .636 1.236 83.75 .986 .169 5.834 .00 .654 1.318 86.80 1.036 .186 5.574 .00 .671 1.401 89.85 1.086 .203 5.350 .00 .687 1.484 92.90 1.136 .220 5.157 .00 .703 1.569 95.95 1.186 .238 4,988 .00 .719 1.653 99.00 1.237 .256 4.839 .00 .734 1.738

*LLCI, ULCI : 95% 신뢰구간 내에서의 조절효과의 하한값과 상한값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