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한국어 조사의 개념과 특성

1.1. 조사의 개념

학교 문법3)에서는 조사를‘체언 뒤에 붙어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 미를 추가하는 의존 형태소’로 정의하고 있다.

『표준 국어대사전』에서는 조사를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로 정의하고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요소인 조사에 대한 정의4)는 아래와 같다.

한국어에서 조사는 하나의 독립된 품사이다. 한국어에서 조사는 낱말이기는 하나 다른 낱말 들과는 달리 독립성을 갖지 못하고 주로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과 결합하여 선행 명사와 다른 문장 성분과의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더해준다. 따라서 영어와는 달리 조사가 붙은 문장에 서 어디에 있더라도 그 성분을 알 수 있기에 문장 안에서의 이동이 자유롭고 간단하게 선행 명 사 뒤에 붙어 다양한 의미를 더해주기도 한다.

고영근·구본관(2008:147)은 조사의 개념을‘단어 또는 그 이상의 단위에 결합하여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하거나 자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의미를 더해 주는 요소’로 정의하고 있다.

주경희(2009:116)에서는 조사를‘체언 등의 앞 말에 붙어, 앞 말에 대한 발 신자의 태도를 나타낸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국어 조사의 개념을 종합해 보면 먼저 조사는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단어에 후

3) 이삼형등(2014),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지학사, pp.163-165.

4) 허용 등(201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개론, 박이정, p.213.

치하거나 다른 조사와 겹쳐서 사용하기도 한다.

(2) 조사가 어미 뒤에 붙는 경우

-> 아무리 먹어도 배가 부르지-가 않아.

-> 우선 먹어-를 보아라.

(3) 다른 조사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이 식물이 고산에서-는 잘 자란다.

(4) 부사 뒤에 조사가 사용되는 경우 ->도대체-가 틀려 먹었어.

둘째, 조사는‘격5)’을 실현하는 요소로서‘격’은 문장 성분을 결정하거나 단어나 문장을 연결하는 문법 기능을 나타내어 구조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격과 서술어와의 의미관계를 나타내는 의미격을 모두 포함한다.

5) 김성준(2013), 특수조사 ‘을/를’의 의미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9-10.

격을 정의하는 방식은 형태, 기능, 의미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형태를 중심으로 격을 정의하는 것이 다. 이는 격의 어원인 라틴어 ‘Casus’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다. 형태를 중심으로 격을 파악하는 방식에서는 원래 서구문법에서 격을 파악하는 방식이었다. 여기서는 격 어미(case ending)와 체언의 어형변화에 의해서 격이 표시됐고 또 형태적 변화에는 하나의 격이 대응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체언의 형태 변화가 없는 언어 들도 많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격을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둘째로 기능을 중심으로 한 격의 정의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명사구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 피는 관점이다. ‘격(格)’이라는 단어 자체의 의미에 가장 부합한 정의 방식으로 문장 성분이 하나의 격으로 정 의되는 것이다. 이 방식에도 문제는 있는데 문장 성분의 설정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3) 그리고 한국어의 부사 격처럼 문장 내부의 기능으로는 정의할 수 없는 격이 있기 때문에 기능만으로도 격을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셋째로 의미를 중심으로 한 격의 정의 방식이다. 이는 서술어와 명사구의 의미적 관계를 통해서 격을 정의하 는 방식이다. Lynos는 문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7가지 격을 제시했지만4) 이 중에서도 ‘Dative(여격)’,

‘Ablative(탈격)’, ‘Agentive(행위격)’, ‘Instrumental(도구격)’ 등은 문법적 기능보다는 의미적 관계를 통한 격 해석 방식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앞서 나눈 세 가지 정의 방식이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것이다. 형태 를 중심으로 했던 격 체계의 시발점에서 기능을 중심으로 한 격 설정의 빈 공간을 매우기 위해 의미 중심의 격 체계가 등장한 것이다. 따라서 언어의 종류나 격의 종류에 따라서 세 가지 방식을 복합적으로 바라봐야 한다.

형식 기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