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대상자의 구매행동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52)

직접 옷 구매여부에 따른 교육적 실천정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16>에 제시하였다. 나에게 어울리는 옷차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4.198, p<0.001), 직접 옷을 구매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실천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때와 장소 및 상황에 맞는 옷차 림과 우리나라 전통 옷차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 다.

<표 13> 직접 옷 구매여부에 따른 교육적 실천정도

구 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 p

나에게 어울리는

옷차림 직

접 옷 구 매 여 부

있다 671 3.90 .65 4.198***

.000

없다 60 3.52 .75

때와 장소 및 상황에 맞는

옷차림

있다 671 4.10 .57 1.226

없다 60 4.00 .67 .221 우리나라 전통

옷차림

있다 671 3.51 .84 .724

없다 60 3.42 .88 .469

실천도 전체

있다 671 3.82 .56 2.349*

.019

없다 60 3.64 .63

* : p<.05, *** : p<.001

또한 옷 구매 결정자에 따른 교육적 실천정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17>에 제시하였는데, 전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지 만, 나에게 어울리는 옷차림에서는 옷 구매 결정자가 본인인 경우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4.143, p<0.01). 이 는 내 의사대로 의복을 구입한 학생이 부모님께 허락 후 구입한 학생, 부모님께 부

탁해서 구입한 학생, 부모님과 함께 구입한 학생, 부모님이 구입한 학생 보다 옷차 림 단원에 대한 활용정도가 높게 나타난 장주현(200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표 14> 옷 구매 결정자에 따른 교육적 실천정도

구 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F, p

나에게 어울리는

옷차림

구 매

결 정 자

본인a 553 3.94 .64

4.143**

.003

부모님a 99 3.69 .69

형제자매a 3 3.61 .21

친구a 13 3.59 .64

기타a 3 4.23 .45

합계 671 3.90 .65

때와 장소 및 상황에 맞는

옷차림

본인 553 4.10 .56

1.591 .175

부모님 99 4.10 .59

형제자매 3 3.28 .37

친구 13 4.03 .55

기타 3 4.14 .51

합계 671 4.10 .57

우리나라 전통 옷차림

본인 553 3.50 .84

1.390 .236

부모님 99 3.54 .90

형제자매 3 3.29 .85

친구 13 3.35 .64

기타 3 4.58 .52

합계 671 3.51 .84

실천도 전체

본인 553 3.83 .56

1.675 .154

부모님 99 3.77 .58

형제자매 3 3.39 .49

친구 13 3.64 .51

기타 3 4.33 .25

합계 671 3.82 .56

** : p<.01

Scheffe test : a<b<c

나. 옷 구매 시 중요도에 대한 분석 및 실천정도

옷 구매 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표 18>에 제시하였다.

매우 중요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난 요소는 ‘나의 체형’, ‘다른 옷과의 조화’, ‘옷의 디자인’이고, ‘나의 개성’, ‘맞음새’, ‘옷의 가격’은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옷의 상표’, 유행‘은 보통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김선희(2002)의 선 행 연구 결과 의복 선택 기준에서 옷의 스타일, 색/무늬, 사이즈의 맞음새, 가격 순 으로 중요시한다는 것과 김태희(2007)의 선행 연구 결과 의복을 구입할 때 중요하 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디자인, 맞음새, 다른 옷과의 조화, 가격, 상표 순으로 나타 났다는 것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표 15> 옷 구매 시 중요도에 대한 빈도분석

구 분 전혀 중요치

않음 중요치 않음 보통 중요 매우 중요

나의 개성 3 6 137 340 245

(.4) (.8) (18.7) (46.5) (33.5)

나의 체형 3 55 305 368

(.4) (7.5) (41.7) (50.3)

맞음새 2 11 92 326 300

(.3) (1.5) (12.6) (44.6) (41.0) 다른 옷과의

조화

6 68 301 356

(.8) (9.3) (41.2) (48.7)

옷의 디자인 5 59 269 398

(.7) (8.1) (36.8) (54.4)

옷의 가격 2 16 109 315 289

(.3) (2.2) (14.9) (43.1) (39.5)

옷의 상표 40 164 298 173 56

(5.5) (22.4) (40.8) (23.7) (7.7)

유행 36 116 294 225 60

(4.9) (15.9) (40.2) (30.8) (8.2) 빈도(퍼센트)

옷 구매 시 중요도와 교육적 실천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19>에 제시하였는데, 옷 구매 시 중요도의 하위 영역과 교육적 실천정도 사이에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옷 구매 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교육적 실천정도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가 있다.

<표 16> 옷 구매 시 중요도와 교육적 실천정도와의 상관관계

실천도 중요도

나에게 어울리는

옷차림

때와 장소 및 상황에 맞는

옷차림

우리나라 전통 옷차림

실천도 전체

나의개성 .426*** .239*** .177*** .333***

나의 체형 .365*** .270*** .106** .281***

맞음새 .146*** .250*** .105** .192***

다른 옷과 조화 .360*** .296*** .123** .297***

옷의 디자인 .370*** .255*** .133*** .293***

옷의 가격 .126** .161*** .114** .161***

옷의 상표 .177*** .085* .103** .150***

유행 .212*** .083* .115** .168***

* : p<.05, ** : p<.01, *** : p<.00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