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차 지역에너지계획 추진실적

(1) 제4차 지역에너지계획 개요 및 시행계획 o 계획수립의 개요

¡ 범위

‑ 공간적 범위 : 인천광역시 전 행정구역

‑ 시간적 범위 : 기준년도 - 2012년

: 이용계획 – 2014년 ~ 2018년(5년)

¡ 계획의 주요내용

‑ 지역에너지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Ÿ 지역단위의 경제·사회·지리적 특성 분석

Ÿ 지역에너지 수급분석 및 전망, 잠재량 분석 연구 Ÿ 지역단위의 정보 Data Base 및 분석모형 구축 Ÿ 지역에너지문제 분석기법의 정형화

‑ 지역에너지 수급구조 분석

Ÿ 지역단위의 에너지수급 통계수집 및 작성 Ÿ 에너지 수요형태의 부문별 특성연구 Ÿ 지역단위의 에너지 Balance 표 작성

Ÿ 에너지공급체계 및 수급구조 현황에 대한 평가 Ÿ 3차 지역에너지계획의 평가

‑ 지역에너지 수급전망과 정책과제 발굴 Ÿ 에너지원별, 부문별 수요전망

Ÿ 지역단위의 에너지수요분석 모형의 개발

‑ 지역단위의 정책과제 도출 및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정책연구 Ÿ 정책 우선순위 및 제약요인 등에 대한 평가

Ÿ 지역단위의 최적 에너지시스템 개발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 Ÿ 지역 안의 온실가스 총량집계 및 저감방안 마련

Ÿ 집단에너지 공급을 위한 대책

(2) 주요 사업 및 목표 정리

o 주택지원사업(그린홈 100만호 지원사업)

¡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주택(Green Home)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원을 주택에 설치할 경우 설치비의 일부를 정부가 보조 지원하는 사업으로 주택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그린빌리지사업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마을단위(10가구이상 아파트 등 공 동주택 포함)에 신재생에너지원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비의 일부를 보조 지원 하는 사업임

o 시민햇빛발전 사업

¡ 2005년부터 실시된 발전차액지원 제도는 2008년 500MW를 한도로 폐지됨.

이후 2009년 50MW, 2010년 70MW, 2011년 80MW 등 대폭 하향 조정된 상한 용량으로 제도 유지되고 있으며 발전차액지원 제도를 폐지하고 정부가 새로 도입한 제도가 의무할당제도 또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임

o 인천광역시 해양에너지사업

<그림 Ⅰ-1> 해양에너지 메카 조성사업 조감도

¡ 에코아일랜드 사업

‑ 친환경에너지를 사용하는 지속가능한 섬인 에코아일랜드 조성사업은 중앙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부응하고 탄소배출이 없는 지속가능한 발 전 모델로서 섬 하나를 100% 청정에너지가 사용되는 『미래의 섬 ECO-ISLAND』로 조성하기 위해 2018년 8월 지역 5개 발전사 [한국남동 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포스코 에너지]와 양해각서를 체결함

¡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

‑ 대초지도 해상 및 덕적도 외해에 민간자본 3조원을 유치하여 발전용량 600MWh (300MW×2단지)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음

‑ 현재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매년 1,629GWh의 전 력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o 해양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 개발

¡ 산ㆍ관ㆍ학 협력촉진과 연계강화를 통해 신산업창출 선도하고자 해양바이오 에너지 생산기술개발을 국토해양부 인천시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이 2010년 부터 2019년까지 사업비 504억원(국비 490억 시비 14억)을 투입하여 연구 사업을 추진하였음

o 폐자원의 에너지화 사업

¡ 신성장 동력사업을 중심으로 3대 역점사업(소각여열열병합, 음폐수 활용 열병 합, 소화조 바이오가스 열병합발전) 및 신재생에너지(소화조 효율개선을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 증대, 태양광 발전사업, 하수열 히트펌프도입)을 추진

¡ 소각여열 활용 열병합 발전 사업

‑ 송도사업소를 대상으로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인천광역시 폐기물처리기본계 획에 반영

‑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지역난방에 공급함에 있어 열공급 압력 조 절용 감압 밸브 기능을 터빈발전설비로 변경하여 추가 전력생산에 이용

‑ 송도사업소를 대상으로 하며 사업비 62.4억원이 소요될 예정으로 ESCO 투

¡ 음폐수 활용 열병합발전사업

‑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고농도 소화조에서 바이오 가스화 시켜 열병합 발전설비 연료로 사용함

‑ 에너지화 물량은 연간 30천톤으로 이를 이용하여 열병합발전 전력생산기준 으로 연간 1,752MWh 이상 생산이 가능함

¡ 소화조 바이오가스 활용 열병합 발전사업

‑ 하수처리 소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하여 열병합 발전사업 을 추진함으로써 에너지 생산에 기여

‑ 2012~2013년 승기사업소를 대상으로 마이크로터빈발전기(MGT) 400kW 의 규모에 역점사업으로서 발전사업이 추진됨

¡ 태양광 발전사업

환경기초시설의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설비 도입으로 2011년 강 화사업소에 62.4kW(소요금액 447백만원, 국비 50%, 시비 50%, 신재생에 너지 지방보급사업)의 태양광이 도입

¡ 히트펌프 도입사업

‑ 하수처리 방류수에서 발생하는 하수의 폐열을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에너지화

‑ 하수처리 최종 방류수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히트펌프 열교환 시스템 을 활용 동절기 보일러보급수 가온용(55℃ 온수공급), 하절기 주변전실 냉 방용 (7℃ 냉수공급)으로 재생에너지 생산

o 과거 계획의 목표

¡ 정책비전 :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하는 저탄소 에너지복지도시”

¡ 기본방향

‑ 지속가능한 녹색에너지도시

‑ 에너지자급 및 다양화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 에너지복지 강화를 통한 시민행복 증진

‑ 지역에너지계획 추진기반 확충 등

¡ 에너지소비 절감 목표

<그림 Ⅰ-2> 최종에너지절감 정책지표

‑ 2011년 인천시 최종에너지소비량 : 10,187천TOE

‑ 에너지소비량 추정 : 2018년 11,050천TOE, 2025년 11,401천TOE

‑ 2018년까지의 정책목표 : 2018년까지 에너지소비량 934천TOE 절감

‑ 2025년까지의 잠정목표 : 2025년까지 에너지소비량 1,461천TOE 절감

구분 2011 2018 2025

년도별 전망치(천TOE) 10,187 11,050 11,401 인구전망 2,851,490 3,088,000 3,400,000 GRDP 전망 47,574,031 53,195,287 55,222,612 자동차 대수 전망 983,508 1,198,023 1,415,714

정책지표 달성시

전망치(천TOE) - 10,116 99,31

절감량(천TOE) - 934 1,461

2011년 대비 절감률(%) - 9.2 14.4

<표 Ⅰ-1> 정책지표에 따른 최종에너지 절감효과

¡ 부문별 에너지 절감 정책지표

<그림 Ⅰ-3> 산업부문소비 정책 지표

‑ 2018년까지 목표대로 절감할 경우 절감되는 에너지소비량은 319천TOE로 2011년 에너지소비 대비 약 8.8%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그림 Ⅰ-4> 수송부문소비 정책 지표

‑ 2018년까지 절감할 경우 절감되는 에너지소비량은 327천TOE로 2011년 에너지소비 대비 약 6.6%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2025년까 지 2011년 에너지소비 대비 약 11.1%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음

<그림 Ⅰ-5> 공공ㆍ기타부문소비 정책 지표

‑ 2018년까지 목표대로 절감할 경우 절감되는 에너지소비량은 20천TOE로 2011년 에너지소비 대비 약 7.8%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2025년까지 2011년 에너지소비 대비 약 12.7%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음

¡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그림 Ⅰ-6> 신재생에너지 연도별 보급률

‑ 태양광을 비롯한 폐기물, 바이오에너지 등의 공급에너지(2011년 276,398TOE) 를 고려하면 2018년 약 4.27%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됨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보급률 2.81% 3.05% 3.3% 4.2% 4.27%

<표 Ⅰ-2> 신재생에너지 보급 계획 지표 설정

o 성과 평가

¡ 과거 계획의 연도별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 되었는지에 대한 정량적 분석

구분

연도별 목표 실제

달성상황 (적용연도)

2011 2018 2025

년도별 전망치(천TOE) 10,187 11,050 11,401 13,575

(2017년)

인구전망 2,851,490 3,088,000 3,400,000 2,956,984

(2018년)

GRDP 전망 47,574,031 53,195,287 55,222,612 88,547,364

(2017년)

자동차 대수 전망 983,508 1,198,023 1,415,714 1,620,746

(2019년)

<표 Ⅰ-3> 정책지표에 따른 최종에너지 절감 정량적 분석

¡ 최종에너지절감 목표에 대한 정량적 분석

‑ 위의 정책지표에 따르면 단위 GRDP당 최종에너지는 2011년 0.214와 2018년 0.190(TOE/백만원), 2025년 0.180(TOE/백만원)의 수치를 목표로 선정하였음

‑ 2017년기준으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GRDP당 최종에너지는 0.153(TOE/

백만원)의 수치임

¡ 단위GRDP당 산업부문소비에 대한 정량적 분석

‑ 단위 GRDP당 산업부문 소비는 2011년 3,687천TOE 기준으로 77.5(TOE/천원)이 며, 2018년 62(TOE/천원), 2025년 53(TOE/천원)의 수치를 목표로 선정함

‑ 2017년 기준 산업부문 소비는 5,215천TOE로 단위 GRDP당 산업부문 소 비는 58.9(TOE/천원)의 수치임

‑ 2016년 기준 산업부문 소비는 4,725천TOE로 단위GRDP당 산업부문 소비 는 55.8(TOE/천원)의 수치로 2017년에 3.1(TOE/천원)의 수치가 상승하였음

‑ 2018년 수치는 목표인 2018년 62(TOE/천원) 수치와 비슷한 수치로 예상 되며 이를 통해 꾸준한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둔 것을 알 수 있음

¡ 자동차 1대당 수송부문소비에 대한 정량적 분석

‑ 자동차 1대당 수송부문소비는 2011년 4,419천TOE 기준으로 4.5(TOE/대)이며, 2018년 3.9(TOE/대), 2025년 3.3(TOE/대)의 수치를 목표로 선정함

‑ 2017년 기준 수송부문 소비는 5,794천TOE로 자동차 1대당 수송부문소비 는 3.8(TOE/대)의 수치임

‑ 2017년 자동차 대수는 1,510,319대, 2018년도는 1,577,607대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

‑ 2018년 수치는 목표인 2018년 3.9(TOE/대) 보다 낮은 수치로 예상됨

‑ 최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오염유발이 적은 자동차 제작기술의 발달로 수송 부문의 소비지표는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판단됨

¡ 인구 1인당 가정ㆍ상업부문소비에 대한 정량적 분석

‑ 인구 1인당 가정ㆍ상업부문소비는 2011년 1,899천TOE 기준으로 666(TOE/천인) 이며, 2018년 655(TOE/천인), 2025년 640(TOE/천인)의 수치를 목표로 선정함

‑ 2017년 기준 가정ㆍ상업부문 소비는 2,219천TOE로 인구 1인당 가정ㆍ상 업 부문 수치는 753(TOE/천인)의 수치임

‑ 2017년 인구수는 2,948,542명, 2018년도는 2,954,642명으로 소폭증가하 고 있는 실정임

‑ 2018년 수치는 목표인 2018년 655(TOE/천인) 보다 매우 높은 수치로 예상됨

‑ 최근 인구증가율이 매우 낮은 수치이므로 가정ㆍ상업부문 소비 증가에 비 해 낮은 인구율 증가로 인구 1인당 가정ㆍ상업부문 소비는 증대될 것으로 판단됨

¡ 인구 1인당 공공ㆍ기타부문소비에 대한 정량적 분석

‑ 인구 1인당 공공ㆍ기타부문소비는 2011년 1,899천TOE 기준으로 64(TOE/천인) 이며, 2018년 75(TOE/천인), 2025년 83(TOE/천인)의 수치를 목표로 선정함

‑ 2017년 기준 공공ㆍ기타부문 소비는 347천TOE로 인구 1인당 공공ㆍ기타 부문 수치는 118(TOE/천인)의 수치임

‑ 2018년 수치는 목표인 2018년 75(TOE/천인) 보다 매우 높은 수치로 예상됨

‑ 공공ㆍ기타부문소비는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인구증가대비 소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 최종에너지소비 기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2017년 2.85%임(2017년 1차에 너지소비기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1.65%임)

‑ 신재생에너지 보급 계획 지표에 따른 실제 보급률은 아래와 같음

구분 2014 2015 2016 2017

보급률 3.85% 5.07% 3.71% 2.85%

<표 Ⅰ-4> 신재생에너지 보급 실제 지표

‑ 2014년, 2015년 대비하여 신재생에너지 공급 및 보급의 현황의 급감으로 16년도부터 보급률이 낮아지고 있는 실정

‑ 영흥화력 등에서 화석연료 사용 급증으로 인천지역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

o 정책 목표 달성에 주요 결정 요인 정성적 분석

¡ 인천광역시 해양에너지 사업(에코아일랜드 사업)

‑ 덕적도 일원의 공공건물에 219kW 규모의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하여 운 용하였음

‑ 덕적도 일원에 실시한 에코아일랜드 사업으로 인해 2018년 7월부터 매달 취약계층에게 3,000kWh의 전기기부 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음

‑ 이를 통해 덕적도에 거주하는 취약계층 76가구는 매달 3,000kWh의 전기 를 기부 받게 되어 전기요금 절감에 많은 도움이 됨

¡ 인천광역시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

‑ 풍력에너지는 바람을 이용해서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원리이기 때문에 무제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에너지 원료가 필 요하지 않아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임

‑ 해상풍력발전은 육상풍력발전에서 발생하는 설치장소의 한계, 소음피해 및 설치·운반의 어려움 등 문제점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 따라서, 지역주민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한 주민수용성 확보 후 2026년까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