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제 5 5 5 5 장 장 장 장. . . . 결 결 결 결 론 론 론 론

급속한 사회와 산업발전으로 이루어온 건축적 발전과 인테리어 분야에서 오브 제의 역할은 미술의 회화에서 뛰어 넘어 건축에서는 조형적요소와 기능을 가진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영역에서 오브제와 관련하여 현대사회 가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하기위한 취지하에 출 발한다.

공간속의 오브제는 본래의 의미와 용도와는 상관없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미 처 경험해 보지 못한 또 다른 물체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실내디자인은 공 적인 성격의 건축보다는 사적인 성격을 지녔다는 점과 상업적 용도의 실내디자 인은 유행적, 소비적 성격으로 실험적인 시도와 모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러한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경향은 시각적 새로움을 갈망하는 현대인에 게 만족감을 주며 미술에서의 오브제와는 달리 예술적 의미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을 지닌 물체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시도의 하나로 공간에 서 순수미술의 오브제적 요소를 공간요구에 맞게 도입하여 독자적인 언어로 사 용하고 있는 것이 실내디자인의 큰 흐름이라 하겠다.

초현실주의 팝아트에서는 오브제의 사회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낯설게 하는 수 법들이 진행되다가 미니멀 아트에 이르러 더 이상 오브제 자체의 의미나 표현 에 오브제의 개념이 한정되지 않고 오브제와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의 관계로 범위가 확장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에서 현대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논의 에서 오브제의 사전적 정의에서와 같이 인간의 오감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물 건, 물체, 객체라는 뜻에서 확장되어 광범위하게 이해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 해 알 수 있었다.

실내 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는 오브제 논의의 개념 확대와 오브제 대상의 변 화와 함께한다. 국내에 들여온 아르마니, 페라가모 등의 세계적 브랜드들도 공

간내부에 놓이는 제품을 위한 실내디자인이 아니라 공간과 상품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보다 더 넓은 시각적 관점으로 브랜드의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 하기 위한 시도로서 공간의 표현을 위한 디자인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인 실체의 테두 리 에서 개념적인 환경인 공간과 그 안에 존재하는 오브제 사이에는 어떤 관계 가 있는지 고찰하고 스타일별 오브제 표현 사례를 조사 하였으며 용도에 따른 오브제의 표현을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 네 가지로 제언 할 수 있다.

첫째,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들은 한 공간이 지향하는 목적을 보다 효과 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오브제 대상이 갖는 성질이 공간에 놓여 질 때 특정행위 를 유발하거나 체험을 발생시키고, 공간에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 는 조형표현을 하고 있다.

둘째,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들은 직접적인 행위를 표현 매체로 삼아 물 리적인 실체로 존재하는 오브제를 관람자의 체험과 연상 즉,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 할 수 있는 인식대상으로서의 정신적인 것을 포함 한 대상, 객체로의 오브제는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물성표현을 하고 있다.

셋째,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들은 오브제와 마주하는 그 행위와 개념을 도입하면서 관찰자에게 감각과 욕구가 유발 되어지는 정신적인 과정과 같은 심 리적인 영향을 만들어 주는 공간표현을 하고 있다.

넷째, 실내공간에서의 오브제 표현은 공간의 디자인 특성에 따라 구조적 오브 제, 기능적 오브제, 장식적 오브제 형태로 구분이 된다. 구조적 오브제는 건축물 의 구조에 영향을 주는 요소, 즉 기둥이나 벽, 천정의 구조적 기능을 하면서 마 감재를 활용하여 조형성을 강조 하였으며, 기능적 오브제는 공간을 구성하는 계 단이나 출입문, 창문 가구 조명기구 등을 객체의 고유 기능에 부합되면서 실내 공간에 조화되는 표현을 하였다. 장식적 오브제는 조각품, 회화 작품, 식물을 이 용한 표현을 하였다.

이를 통해 실내디자인이 내포하는 구조, 기능, 미중 어느 하나를 배제하지 않 으면서 오브제를 논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오브제를 미학적, 건축적, 디자인적으로 연구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 [

[ 참 참 참 참 고 고 고 문 고 문 문 문 헌 헌 헌 헌 ]]]]

1) Fisher, Jeffrey D. Bell, Paul A. Baum, Andrew(1949). Environmental Psychology.

Fort Worth: Holt, Rinehart, and Winston. 1990 2) 실내건축 디자인 각론, 도서출판 기문당

3) 실내디자인 총론. 도서출판국제 1997 pp 391-392 4) 이찬,,배연준, 공간과 오브제 요소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5) 김수정, 이상호,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 논의를 위한 개념적 고찰 / 르꼬르뷔 지에의 오브 제이론을 통한 오브제 논의의 조건 모색

6) 나혜정 주거용 실내에 사용된 장식직물 유형에 관한 연구/ 동덕여대 디자인대학원 2000 석사학위논문

7) 곽상희 주거공간을 위한 도자 장식용품 연구 / 숙명여대 디자인大學院 1996 석사학 위논문

8) 최정운 주거공간의 인테리어소품 적용경향 분석 / 경희대 대학원 2004 석사학위논문 9) 김효정 투명 소재의 중첩을 이용한 인테리어 텍스타일 소품 디자인 / 이화여대 디자인대 학원 2002 석사학위논문

10) 조원영 실내공간의 소품으로서의 화기제작에 관한 연구 / 국민대 대학원 2002 석사학위 논문

11) 김소연 실내 공간을 위한 도자 소품 연구 : 신라 토기의 조형성을 응용하여 /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2001 석사학위논문

12) 김희영 Fashion shop의 실내 이미지와 파사드 이미지의 상호 관계성에 관한 연구 : 실 내이미지가 초기 모더니즘적 디자인인 경우를 중심으로 / 건국대 1999 석사학위논문

13) 김내리,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설정과 표현특성을 통해 본 현상학적 공간 접근에 관한 연 구 / 서울대 2004 석사학위논문

14) 허선미, 빛을 모티브로 한 오브제에 관한 연구 / 조선대 2003 석사학위논문 15) 고서영, 현대미술에 있어서 오브제에 관한 연구 / 조선대 2003 석사학위논문

16) 문지영, 현대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적 요소 도입에 관한 연구 / 홍익대 1996 석사학위 논문

< 학술지 자료 >

1) 이종분· 이수철 한국의 전통적 곡선미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 섬유소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및 패션소품을 중심으로 / 디자인학연구 6,1 2000.11 서울디자인포럼 2) 최정운, 오혜경 실내 소품의 분류와 주거공간에서의 적용 경향 / 2004 한국가정관리학회 지 제22권 제4호 통권 제70호 한국가정관리학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