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절 1차 모델의 가상 시뮬레이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9)

Fig. 3-6는 다물체 동역학 해석을 위한 1차 모델의 기구부의 개략도이다. 기구부는 3개의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motor1을 통해 롤(roll) 운동하며 회전 조인트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motor 2는 기구부의 요(yaw) 운동을 담당하며 모터 축과 그와 연결된 구조물의 회전 조인트를 설정하여 구현하였다. 드릴링 깊이조절을 위한 움직임 을 설정하기 위해 motor 3는 이송라인 기준으로 상부부품과 하부부품을 별도로 구분하 고 구속조건을 부여하였다. motor 3의 상부를 이송라인을 기준으로 병진운동 할 수 있도 록 병진 조인트로 설정하여 구현하였다.

기구부는 요 운동에 의해 핸드피스의 각이 변한다. 핸드피스의 각은 인공치근 이식 시 사용될 수 있는 드릴링의 각도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기구부의 시술 시 구동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요 운동을 시뮬레이션 하고 드릴의 각 변화를 데이터화 하여야 한다.

요 운동을 하는 동안에 RCM 고정점의 위치 변화도 함께 추적하였다. 1차 모델의 기구부 해석을 위한 입력조건을 Table 3-5에 정리하였다.

1차 모델은 부품간의 간섭이 없는 상태로 ± 27.685° 의 요 운동을 한다. 1차 모델이 요 운동할 때 핸드피스 드릴의 각 변화를 측정하여 Fig. 3-7에 나타내었다. 요 운동에 대한 RCM 고정점의 위치 변화를 Fig. 3-8에 나타내었다. X축, Y축, Z축의 변위는 모두 0 mm로 RCM 고정점은 위치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설계한 인공치근 이식 시술 보조 로봇은 RCM 고정점을 유지하고 55.37°의 구동범위를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able 3-5 Input condition of first model for multi-body dynamic analysis

Simulation time 4 sec

Input

roll motion : fix yaw motion : ± 27.685

depth motion : fix

Motor 1 part revolute joint

Motor 2 part revolute joint

Motor 3 part translational joint

Measurement angle of drill, position of RCM point

Fig. 3-6 Schematic diagram of first model for multi-body dynamic analysis

Fig. 3-7 Angle of handpiece and drill by yaw motion

(a) Displacement of X-axis direction

(b) Displacement of Y-axis direction

(c) Displacement of Z-axis direction

Fig. 3-8 Displacement of RCM point by yaw motion

제 4 장 시술 보조 로봇의 2차 모델

제1절 2차 모델 기구부의 3D 설계

Fig. 4-1는 인공치근 시술 보조 로봇이다. 1차 모델의 구조를 변경하여 2차 모델을 소형화 설계하였다. 전체적인 높이를 줄여 기구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고, 측면의 Yaw 운동을 담당하던 모터를 기구부 베이스에 위치하게 하여 웜기어를 이용하 여 동일한 운동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드릴링의 깊이를 조절하는 모터를 RCM 고정점과 최대한 근접하게 설계하여 1차 모델보다 시술 시 안정적으로 힘이 전달 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또한 FT 센서를 이용하여 드릴링 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고 로봇이 실시간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설계를 통해 기반을 마련하였다. 3D 설계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2차 모델의 구동 부피와 구동 표면적을 구하였다. 구동 부피는 604.08  이고 구동 표면적은 2,981.08  이다. 2차 모델은 1차 모델에 비해 구동 부피는 약 63.6 % 줄어들었으며 구동 표면적은 약 33.9 %가 줄었다. 2차 모델의 기구부 링크의 길이 변경, 모터 소형화, 인공치근 이식 시술 보조 로봇에 특화된 드릴 시스템 개발을 통해 구강내로 진입이 가능한 기초 모델이 되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