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59)

본 연구의 결론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지속적 연구가 지속되었으면 하는 내 용에 대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헬스 참가자를 대상으 로 실시되었다. 집단의 표집 대상에 대해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여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는 주요 변인인 자아존중감, 생활만족의 연구 대상자 성별, 연령, 운동기간, 직업 등의 다양할 수 있는 세부요인들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하였으므 로 일반적 특성들을 더욱 확대고려 하여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헬스 참가자의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양적 연구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나 심미적 영역이나 질적 연구를 병행하게 된다면 심층적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권영탁(1996).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의 참여가 주부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김기엽(2013). 여가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김미양(2009).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자의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김영돈(1988). 정신장애자의 생활만족지수에 관한 예비조사. 신경정신의학, 27(5).

김영호(1998). 청소년의 여가성향과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안산지구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김지아(1993).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미간 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백현(2005). 헬스클럽의 마케팅 믹스 요인이 소비자 만족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번영순, 장희정(1992). 건강증진 개념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 간호학회지 22(3) : 362〜372

선우진(2001). 태권도 수련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조사 연구. 국 내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성동진(1985). 트레이닝 방법을 위한 운동처방론. 서울 : 진명출판사.

손봉암(1983). 육체미교본. 서울 : 예지사

손진건(2005).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활동실태와 생활만족 분석.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송인섭(1989). 인간의 자아개념 연구. 서울: 학지사

400-422.

이수정(2004). 규칙적 운동이 건강인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 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임번장(1985). 직장인의 여가와 사회교육. 제 3차 사회교육 심포지움. 여가와 사회 교육 한국지역 사회후원회.

임종수(2006). 중년여성의 헬스클럽 참여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 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정현지(1991). 자아존중감에 따른 자기확신감의 변화와 차이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Baumeister, R, F. & Tice, D. M. (1985). Self-esteem and responses to success and failure* Subsequent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cf Personality, 53(3): 450-467.

Baumeister, R. F. (1994). Self-esteem.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4:83-97.

Bigot. (1974). The relevance of American life satisfaction indices for research on British subjects before after retirement. Age and Aging, 3, 113-121.

Brockne. J. (1998). Self-esteem at work: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Lexington, Lexington Books.

Bucher, C. A. (1975). Foundation of Physical Education, New York: The C.

V. Mosby.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CA: W .H. Freem, survivors : An application of the exercise and self-esteem model. Journal of Sports & Exercise Psychology, 19, 347-358

Kalish, R. A(1975). Late Adulthood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Cold Publishing Company.

McCann, I. L. & Holm es, D. S (1984). Influence of aerobic ex er cise on

depr ession. JP ers Sci P sy chol, 46 (5), 1142- 1147.

Neugarten, B. L., Havighurst, R. S.,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Rogers, D. (1985). Adolescents and Youth. (5th ed.). N.J. : Prentice-Hall.

Rosenberg. (1965). General Self-Esteem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 621-635.

Sachs, M. L. (1984).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sport. I. L. : Human Kmetics Press Champaign.

Sonstroem, R. J. (1978). Physical Estimation and Attraction Scales: Rationale and research. Med. Sports Exere, 10, 97-102

Wells, L. E. & Marwell, G. (1976). Self-esteem: It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Sage Library of Social Research. 20. Beverly Hills, Calif. : Sage Publications.

부 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5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