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과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ㆍ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향후 연구되어야 할 내용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범위가 G광역시로 한정하였기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대 한 제한적 이해와 해석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대 표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단위의 표본집단의 선정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는 스포츠클럽의 효과성 입증을 위한 연구로서, 관련 변인인 재 미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몰입과 학교행복감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 다. 향후 연구에서는 스포츠클럽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관련 연구변인의 확장과 다각적인 연구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강영하(2012). 행복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초등교육연구, 25(2), 1-21.

곽은창, 박온서(1998).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인식에 관한 주요 사건 기록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5(2), 57-70.

교육과학기술부(2012). 모든 중학교에서「학교스포츠클럽」활동 실시 보도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1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안』.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2007).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국회교육과학기술위원회(2011). 학교체육법 활성화를 위한 입법공청회.

2011년 5월 13일 학교체육법·학교체육진흥법 입법공청회 내부자료.

권성호(2008). 운동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대학원.

김경숙, 김선희, 안혜경(2004). 독일 학교체육과 스포츠클럽 협력현황 및 사 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1, 39-57.

김병준(2002). 알고보면 쉬운 멘탈 트레이닝 : 테니스. 서울: 도서 출판 무 지개사.

김병준, 성창훈(1997).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 심층이해(1) : 스포츠 재미 거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8(2), 43-60.

김선희, 허현미(2008).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 육학회지, 33(1), 347-364.

김윤희(1999).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이유 분석. 한국스포츠교육 학회지,

6(2), 93-110.

김종백, 김태은(2008). 학교행복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2(1), 259-279.

김홍태(2005). 한국형 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 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6(3), 1007-1015.

류주연(2012).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교사-학생 관계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 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영신, 김의철, 김영희, 민병기1999).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 5(1), 57-76.

박재식(1999).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형태와 상회성 발달의 관계.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대학원.

박정민(2007). 재즈댄스 참가정도와 몰입이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정용, 이종영(2001). 청소년의 방과 후 농구 활동 참가와 정신건강의 관 계. 한국 스포츠사회학회지, 14(2), 361-370.

백성수(1999). 체육수업 상황에서의 재미 촉진 및 저해요인.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서정화, 김종백, 송경헌, 권순환, 배영직, 김태은(2006). 학교교육 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

성창훈, 김병준(1996). 청소년 운동선수의 스포츠 참가동기 분석. 한국스포 츠심리학회지, 7(1), 153-171.

손대현(2000). 재미론의 시론적 패러타임. 관광학연구학회지, 24(2), 321-338.

송기현(2009). 생활체육 참여자의 각성추구성향에 따른 운동몰입이 여가만

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송영명(2011). 특목고 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5(3), 647-669.

송현민(2013). 중·고등학교 스포츠클럽 참여동기가 몰입경험 및 운동지속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오제권(2007). 생활체육참여자들의 운동몰입이 운동중독,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정이(2011). 여성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요인,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 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윤홍미, 안신호, 이승혜(1996).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들:재미유발요소에 대 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491-50.

이동섭(2008).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동기 및 스포츠몰입정도가 생활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상진(2004). 헬스 참가자의 참여동기와 운동중독 관계 분석.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부산외국어대학교.

이종영(2000).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 참가에 따른 몰입경험이 폴로어십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3), 161-174.

이필우(2005). 헬스클럽 이용자의 몰입경험이 스포츠재미요인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길수(2011).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초등학생의 행복감과 생활 스트레스비 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대수(2012).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관계가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정용각(2000). 여가행동 및 레크리에이션. 부산외국어대학 출판부.

정철훈(2011).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동기와 학교생활적응. 미간 행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진현주,오세이(2009).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와 스포츠 목표성향이 몰입 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 105-114.

최태광(2010).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몰입이 사회적응과 운동중독에 미치 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민주(2012). 볼링참가자의 따른 몰입경험, 참여만족 및 운동지속행동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선아(2010). 청소년의 방과 후 학교 스포츠 활동 참여재미와 친사회적 행동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한태룡(2005). 스포츠 사회학. 서울 : 무지개사.

현준오(2013). 여자고등학생의 운동몰입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홍애순(2012).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학교행복감, 긍정적 착각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Argyle, M, Martin, M., & Lu, L. (1995). Testing for scress and happiness: The role of social and cognitive factors, In C. D.

Spielberger. & J. G. Sarason (Eds.), Stress and Emotion, 173-187.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1), 191-215.

Brodkin, P., & Weiss, M. R. (1990). Development differences in

Chalip, L, Csikszentmihalyi, M, Kleiber, D, & Larson, R. (1984).

Variation of experience in formal and informal sport.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5, 109-116.

competitive youth swimm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6, 126-140.

Csikszentmihalyi, M.(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former elite figure skaters: Ⅲ. Sources of enjoyment. Journal of Gould, D., Feltz, D., & Weiss, M. R. (1985).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Jackson, S. A (1992). Athletesin flow : A quqlitative investigation of

flow states in elite figure skaters.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22.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competitive swimming. Journal of

Noddings, N. (2008). 행복과 교육[Happiness and education]. (이지헌, 김선,김희봉, 장정훈 역). 서울: 학이당(원전은 2003에 출판).

Privette, G., & Bundrick, C. M. (1987). Measurement of experience:

construct and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ience questionnair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5, 315-332.

Scanlan, T. K. & Simons, J. P. (1992). The construct of sport enjoyment. In G. C. Robert(ED.). motivation is sport and Exercise Campaign IL: Human Kinetics, 199-215.

Scanlan, T. K., Stein, G. L., & Ravizza, K. (1989). An in-depth study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1, 65-83.

Sport & Exercise Psychology, 12, 248-263.

Stein, G. I., Kiniecik, J. C., Daniels, J. & Jackson, S. A.(1995).

Psychologicalantecedentsofflow inrecreational spor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125-135.

Lucas, R. E., Doemer, E., & Suh, E. (1996). Discriminant validity of

well-being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616-628.

Wankel, L. M., & Kreisel, P. S. (1985). Factors underlying enjoyment of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Hills, P. Argyle, M. (2002).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61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7), 1073-1082.

youth sports: Sport and age group comparison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7, 51-64.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이 설문은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과 학교행 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설문지입니다.

본 설문지의 질문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질문 내용을 잘 읽으신 후 검사에 동의하시면 한 문항도 빠짐없이 느끼신 대로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리며, 바쁘신 시간에도 불구하고 설문에 답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3년 4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우재동

1. 다음은 귀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것입니다.

1. 귀하의 학년은?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2. 귀하의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종목은?

① 축구 ② 배구 ③ 농구 ④ 티볼

3. 현재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에 일주일에 몇 회 참여하십니까?

① 주 4-5회 ② 주 2-3회 ③ 주 1회

4. 현재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기간은?

① 6개월 이하 ② 7개월 - 1년 미만 ③ 1년이상 - 2년 미만

2. 다음은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를 통한 재미의 정도를 묻는 질문 입니다. 본인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 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항 목 그렇다매 우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않 다

매우 그렇지

않다

일상 탈출

1.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⑤ ④ ③ ② ①

2.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일상에서 해방되는

것 같다 ⑤ ④ ③ ② ①

3.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자유로움을 느낀다 ⑤ ④ ③ ② ① 4.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즐거움을 느낀다 ⑤ ④ ③ ② ①

체력 및 건강

5.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신체적 건강에 도

움이 된다 ⑤ ④ ③ ② ①

6.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정신적 건강에 도

움이 된다 ⑤ ④ ③ ② ①

7.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체력향상에 도움이

된다 ⑤ ④ ③ ② ①

8.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평상시 피로감을

덜 느낀다 ⑤ ④ ③ ② ①

대인 관계

9.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친구를 사귈 수 있다 ⑤ ④ ③ ② ① 10.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친구들과 어울리며

놀 수 있어 좋다 ⑤ ④ ③ ② ①

11.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친구들과 더 친해질

수 있어서 좋다 ⑤ ④ ③ ② ①

12.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사교성이 좋아지는 것

을 느낀다 ⑤ ④ ③ ② ①

승리 및 경쟁

13.스포츠활동 참여는 체육수업에 도움이 된다 ⑤ ④ ③ ② ① 14.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운동능력이 향상

된다 ⑤ ④ ③ ② ①

15.스포츠활동 참여를 통해 게임(시합)이 재

미있다 ⑤ ④ ③ ② ①

16.스포츠활동에서의 경쟁은 즐거움을 준다 ⑤ ④ ③ ② ① 17.스포츠활동에서의 승리는 즐겁다 ⑤ ④ ③ ② ①

3. 다음은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를 통한 운동몰입의 정도를 묻는 질문 입니다. 본인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 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항 목 매 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이다

그렇지 않 다

매우 그렇지

않다

인지적 몰입

1.스포츠활동 시간이 항상 기다려지는 편이다. ⑤ ④ ③ ② ①

2.이 스포츠활동은 나의 삶에 소중한 부분이다 ⑤ ④ ③ ② ①

3. 스포츠활동이나 운동시간을 생각하면 즐

거워진다 ⑤ ④ ③ ② ①

4.이 스포츠활동을 하면 행복감을 느낀다 ⑤ ④ ③ ② ① 5.이 스포츠활동은 가장 하고 싶어 하는 운

동이다 ⑤ ④ ③ ② ①

6.이 스포츠활동을 하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 ⑤ ④ ③ ② ① 7.시간이 더 여유 있다면 스포츠활동을 더

많이 하고 싶다 ⑤ ④ ③ ② ①

행위적 몰입

8.나는 이 스포츠활동의 기술이나 운동방법

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고 노력한다 ⑤ ④ ③ ② ① 9.나는 가끔 이 운동을 멋지게 하는 상상을

종종 해 본다 ⑤ ④ ③ ② ①

10.이 스포츠활동 종목과 관계가 있는 신문 이나 잡지,TV중계가 있을 시 관심 있게 본다

⑤ ④ ③ ② ①

11.나는 이 운동에 빠져 있다 ⑤ ④ ③ ② ① 12.이 스포츠활동 종목의 기술을 다른 곳에서

도 배우고 싶다 ⑤ ④ ③ ② ①

문서에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페이지 50-6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