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7)

본 연구를 통하여 호주 화상수업은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표본 집단이 19명에 불과하고 한 학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목표에 맞게 영어에 흥미를 가지고 타문화를 이해하며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실천해야 할 것이 다. 이런 의미에서 호주 화상수업 같은 온라인 국제교류 프로그램은 계속 늘어 날 전망이다. 실시간 온라인 화상 수업은 다른 문화를 가진 학생들과 교류하면 서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 이지만 학교 자체 적으로 개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학교급에 따른 수업모형이나 표 준모델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호주 화상수업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그에 따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교육청을 중심으로 성과발표회나 워크숍이 조금씩 진 행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광고용이나 단기성 수업으로 그칠게 아니라 학생들 을 위한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꾸준한 연구 활동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온라인 화상 수업모형과 운영절차에 따른 개발도 필요하다. 더 나아가 화상 수 업을 넘어 실제로 화상수업을 함께 한 호주 친구들을 만나기도 하는 등 꾸준히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이 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계보경, 김재옥, 배윤주. (2012).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원격화상 교 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중등 교육과정. 전라남도 교육청.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보고서.

김미량. (1998). 웹활용 수업 확산의 장애요인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교육공학 연구

, 14(3), 55-73.

김미진. (2016). 온라인 국제교류 수업을 통한 중학생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목 표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 울.

김성완. (2012). 이러닝 2.0과 교육. 양서원, 경기도

김성일, 윤미선. (2004).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디자인.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16(1), 39-66.

김소연. (1999).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의 접속횟수와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소영. (2014). 국제수업교류활동의 교육적 효과와 발전방향: 초등영어 교육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인천.

김영주. (2005). 웹 기반 학습의 효과 저해 요인 및 원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영주. (2017). 원격 화상영어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 상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라북도.

김영환, 정희태, 박수홍외. (2003). 원격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서울.

김윤명. (2010). ‘이러닝 산업 발전법’의 개선 방안 연구.

정보법학,

14(3), 51-82.

김정렬. (2008). e-Learning과 영어교육. 한국문화사, 서울.

김정렬, 조혜정. (2007). e-Learning기반 초등 영어 수준별 과제 구성의 적용 및 효과,

영어교육연구

, 19(3), 159-186.

김주혜. (2007). 이러닝 구성요서에 근거한 영어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 연구:

불안감을 중심으로.

영어교육연구

, 19(2), 183-213.

김주혜. (2012). 성공적인 이러닝 영어 수업을 위한 교수전략 연구.

외국어교

, 19(3), 101-130.

김혜숙. (2004).

교육예산 성과목표체계 개발연구(II)

. 교육인적자원부.

김혜영. (2010). CALL 연구관점에서 본 국가 이러닝 영어교육사업 고찰.

현대 영어교육

, 11(3), 79-105.

박미애. (2014).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국제교류 프로젝트 적용 가능성 및 그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인천.

박상훈. (2015). 온라인 국제교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박상훈, 배윤주, 김은아외. (2015).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길라잡이. 한국교 육학술정보원.

박양규. (2000). 사이버 교육과 재래 교육의 효율성 비교 - 가시적 비용을 중 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4(1), 399-418.

박혜영. (2003).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발전 방향. 동국대학 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혜정. (2007). 대학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구.

배윤주, 김재옥. 계보경. (2012).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원격화상 교수 ․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구보고 KR 2012-10, 한국교육학술 정보원.

백영균, 이순영. (2000).하이퍼미디어 학습환경에서 개념도 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 38(4), 123-147.

산업자원부. (2003). e-러닝 백서. 한국사이버교육학회. 산업자원부 산업자원부. (2004). e-러닝 산업발전법. 산업자원부

손자영. (2007).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 요인 분석 및 상관 관계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손창훈. (2008). 원격 화상교육이 초등학생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 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송상호, 신종호. (2002).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이버 학습 역량 탐색.

교육정보 미디어연구,

8(1), 49-78.

송윤숙, 이경화. (2015). 원격화상협력학습이 한국, 호주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Global Creative Leader

, 5(1), 85-103.

신종호, 박인우, 김동일. (2005). e-러닝에서의 학업성취도 영향 요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안지혜. (2014). 원격화상교육을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 영어수업의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청북도

에듀넷. (2017). http://www.edunet.net/nedu/smrtsvc/listSmrtEdu TrnngForm.do?menu_id=386

염수경, 정행 (2009). e-learning국제교류협력 프로젝트를 통한 초등학생들의 영어학습 사례연구: Flying Time Capsule Project.

영어교육연구

, 21(3), 263-284.

오영범, 이창두. (2012). 원격화상시스템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수업만족도와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 10(8), 317-326.

이동심. (2001). 웹 기반 가상대학 원격교육의 효과 영향요인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청남도.

이러닝 백서. (2004). 산업자원부, 한국전자거래진흥원. 경기도.

이러닝(전자학습)산업 발전 및 이러닝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2004).

이상영, 송상호외. (2004). 국가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e-러닝법 제정 방향 연 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소영. (2005). 이러닝 영어교과목의 운영 실태 및 효과 분석.

외국어교육

, 12(4), 299-315.

이수경. (2001). e-Learning 정책 제도 및 운영 실태.

산업교육연구,

8(1), 109-123.

이인숙. (2002). e- 러닝 : 사이버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문음사, 서울.

이종연, 구양미, 김건석 외 (2014).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성과 및 운영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Journal of Korean Education),

41(4), 149-175.

임걸. (2011).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14(2), 33-45.

임정훈. (2001). 웹기반 교육의 비용효과성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기업교육 과 인재연구

, 3(1), 47-73.

임정훈. (2001). 가상교육ㆍ사이버교육에 관한 개념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17(3), 165-194.

전라남도 교육청. (2017). 농어촌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화상교육 운영 계획, 미래인재과 스마트교육팀, 전남.

전라남도 교육청. (2017). 도서 벽지 학교 및 농어촌교육진흥지역학교 지정 일 람(초등).

전희영, 임현우. (2013). 대만 학생들과의 원격화상수업이 한국 초등학생들의 다문화역량 및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연구

, 25 (3), 365-386.

정동빈, 박종혁. (2006). 비디오 컨퍼런싱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효 과.

영어영문학연구

, 32(2), 267-292.

정은정. (2005). 교수자-학습자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e러닝 수업모형 연구.

e-Learning학술연구

, 4(1), 7-30.

정희정. (2010). 영어학습자의 e-Learning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들:SEM 접 근방법.

영어교육연구

, 22(3), 187-207.

조동완. (2001). 웹 기반 영작문 수업.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56(2), 287-307.

최형심, 천승미. (2011). 이러닝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멀티 미디어 언어교육

, 14(1), 225-248.

한수민. (2011). 초등학교 원격화상 영어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인천.

황은경. (2002).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서울교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Alessi, S. M., & Trollip, W.R.(1991).

Computer-based instruction, methods and development

. Englewood Cliffs, NJ: Prentic Hall.

Belanger, F., & Jordan, D. (Eds). (1999).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of distance learning: Technologies, tools and techniques

. Igi Global.

Bergin, D. A. (1999). Influence on classroom interest.

Educational Psychology

, 34(2), 87-98.

Berge, Z. L. (1995). Group Computer Conferencing: Summary of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CSDE RESEARCH MONOGRAPH

, 1(14), 42-57.

Berge, Z. L. (1999). Interaction on Post-Secondary Web-Based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 39(1), 5-11.

Aldrich, Clark (2004).

Simulations and the Future of Learning

. San

Diego: Pfeiffer.

Haythornthwaite, C., & Kazmer, M. M. (2002). Bringing the Internet home.

The internet in everyday life

, 431-464.

Hidi, S. (1990).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 60(4), 549-571.

Hrastinski, S. (2007). The potential of synchronous communication to

enhance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ICIS) 2007 Proceedings,

Paper

80.

John Dewey. (1913).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 Kessinger Publishing LLC, 2010. Monatana.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s

(3rd ed.). New York,NY: Routledge.

Liaw, S. S. & Huang, H. M. (2000). Enhancing Interactivity in Web-based Instru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Technology

, 40(3), 41-45.

Moore, M. G. & Kearsley, G. (1996).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Myung-sook, A. & Chris, R. (2011). Videoconferencing between Australian and Korean Schools for Intercultral Exchang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29(2), 103-122.

O’Dowd, R. (2000). Intercultral learning via video conferencing a pilot exchange projext.

ReCALL

12(1), 49-61.

Oxford, R. (1999). Anxiety and the language learner: New insights. In J.

Arnold (Ed.),

Affect in language learning

(58-67). Cambridge University Press.

Rosenberg, Marc Jeffrey. (2001).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ew York: McGraw-Hill.

Teng, D. C. E., Chen, N. S., & Leo, T. (2012). Explor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an international online research seminar in the synchronous cyber classroom.

Computers & Education

, 58(3), 918-930.

부록 1

영어 수업에 대한 설문지

다음의 내용은 여러분이 영어수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질문입 니다.

잘 읽고 해당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1. 성별은? ① 남 ② 여

2. 영어는 언제부터 배우기 시작하였나요?

① 유치원 때부터 ②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③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④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⑤기타( )

3. 영어공부는 어떻게 하나요?

① 학습지 ② 학원 ③ 온라인 프로그램 ④ 학교 방과후 프로그램 ⑤ 기타( )

4. 영어를 공부하는 시간(1주일 평균 학습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① 0시간~ 1시간 ② 1시간~ 3시간 ③ 3시간~ 5시간 ④ 5시간 이상 ⑤ 기타( )

5. 다른 나라에 여행을 하거나 방문한 적이 있나요?

① 예 (나라와 기간: )

② 아니요

① 매우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나는 영어수업이 재미있고 기다려진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시간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은 시간낭비라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을 할 때 영어로 이야기하는 것이 재미있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시간에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고 싶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을 할 때 영어로 말하는데 실수 할까봐 걱정이

된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을 할 때 원어민이 하는 말을 못 알아들으면

초조해진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시간에 손들고 대답하는 것이 부담스럽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이 다른 수업보다 더 긴장된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시간에 원어민과 대화하는 것이 두렵지 않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을 하면서 우리나라 문화가 자랑스럽다고 느낀

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을 하면서 영어를 쓰는 친구들을 만나고 싶어

졌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을 하면서 영어를 더 잘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영어수업을 하면서 다른 나라의 문화를 더 알고 이해하

게 되었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앞으로도 다른 나라의 문화를 알고 싶다. ① ② ③ ④ ⑤ 6. 다음을 읽고 해당사항에 표시해 주세요.

- 설문에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부록 2

호주 화상 수업 일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