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49)

본 연구는 기독교 무용 참가자들의 성격 5요인이 자기 성취감과 종교적 안 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독교 무용 참가에 따른 성격 5요인 을 분석하고 또 성격 5요인이 자기 성취감과 종교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인 관계와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 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전남 동부권 지역에 거주하는 기독교 무용에 참가하는 중 년 이상의 대상자로 제한하였으나 후속 연구의 경우 지역에 대한 확장과 대 상을 전 연령층으로 확장하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기독교 무용에 관련한 보 다 심층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 결과 성격 5요인이 자기 성취감과 종교적 안녕감에 일부 상 관관계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작 성격 5요인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부족해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는 기독교 무용 참가자들의 성격 5요인이 자기 성취감과 종 교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완전히 제한하지 못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그 관계의 인 과성에 대하여 좀 더 깊이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26

-참 고 문 헌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권석만(2015), 현대 성격심리학 – 이론적 이해와 실천적 활용, 학지사.

김말복(1987).「무용예술론」, 도서출판 금광, 서울, 1987, p.72 김매자(1995).「한국무용사」, 삼신각, 서울, 1995, pp. 14-15

김은정(2005). 기독교 관점에서 무용치료의 전망.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김재은(1994) ‘우리의 청소년 : 그들은 누구인가?’, 서울:형설출판사, p.56 김찬규(2015). 기독교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성.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 천 Vol. 0 No. 46

김철섭(2007). 기독교인의 내외통제성 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영적 안 녕감의 차이.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김혜영(2018). 기독교 무용과 삶의 질 및 영성에 관한 관계성 연구. 석사학 위 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노해진(2001). 성인여성의 여가무용활동을 통한 자기 성취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다음 백과사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데살로니가전서 5:23)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시편 149:3)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시편 150:4-6)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전도서 3:4)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시편 30:11)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히브리서 4:12)

마이클 그린(1994). 박영호편. 현대전도학.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박미라(2013).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

감의 매개 효과.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순자(2004). ‘21세기의 기독교적 무용의 접근’, 금광출판사.

박정순(2002). 사육·재배 현장체험을 통한 자기성취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지아, 유성경(2003). 적응 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 애착 간의 관계. 한 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455-456.

박현주(2004). 한국 기독교 무용의 전망. 미간행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효정(2005). 선교무용의 영성. 석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안은경(2011). 영과 진리로 드리는 예배 무용. 일오삼출판사. 서울. pp. 36〜37 우리말 큰 사전(1992). 1.0(제4권). 서울 : 스포트뱅크코리아.

우현희(2014). Big 5 성격 요인에 따른 행복의 정의해석 차이가 경험재 소비 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위키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

유태용, 이도형(1997), 다양한 직군에서의 성격의 5요인과 직무수행간의 관 계, 기업경영연구, 5: 69-94.

유태용, 이기범, Michael C. Ashton(2004). 한국판 HEXACO 성격검사의 구 성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 18, no. 3, pp.

61-75 (15 pages)

윤보라(2013). 기독교 무용 경험이 무용 인식과 무용 공연 관람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윤여경(1996). 여가활동·자아실현·정신건강 간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윤연희(2012). 성인 여성의 5요인 성격특성, 대인관계 성향 및 심리적 안녕 감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웹스터 영한대사전(2000). 조병익. 서울 : 유한.

이미성(2012). 예배 무용의 영성과 몸 찬양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석사학위 논문. 광신대학교 대학원.

28

-이은경(2011). 내재적 종교성향과 성격 강점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 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정인(2009). 기독교 무용의 인식변화 분석.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13.

이지선, 김민영, 서은국(2004). 한국인의 행복과 복.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Vol. 18 No. 3

이혜영(2012). 춤과 영성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성혜(2012). 신경증적 경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적 안녕감 의 매개 효과. 석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전유오(1995). 인류학을 통해 본 기독교 문화와 무용예배의 가치. 서울 : 무용 한국 53호 수록.

전지열(2006).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에 따른 영적 안녕감의 차이. 석사 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성덕(2010). 성령은사가 영적안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 논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정원식(1997). ‘한국 청년의 심리적 발달 특징’, 청년연구 제1권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p.29

최지숙(2015). 기독교 무용 참여가 중년여성의 신앙성숙도와 생활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한재선(2008). 성서에 나타난 기독교 무용의 유형과 현황 연구. 박사학위 논 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Allport, G. W. : Pattern and Growth in generality, New York : Holt, Rinehart & Winston. 1961, pp. 46-47

Bernerth, J. B., Armenakis, A. A., Feild, H. S., Giles, W. F., Walker, H.

J. (2007), Is generality associated with perceptions of LMX. An empirical study,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Chan, D. & Schmitt, N. (2002), Situational Judgment and Job Performance. Human performance, 15(3), 234-254.

Combs, A. W. and Snygg, D.: Individual Behabior : Approach to Behavior, New York : Harpper & Bros. 1959, p.94

Cooley, Charles H(1967).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 Schocken Books. p. 53

Costa, P. T. Jr., & MaCrae, R. R.(1992) Revised NEO generality Inventory NEO-PI-R) and NEO Five Factor Inventory (NEO-FFI)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David O. Morberg(1974). "Spiritual Wellbeing in Late Life," J. F.

Gubrium(ed.), Late Life:Communities and Environment Policy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35.

Eysenck, H. J.(1970), The Structure of human generality (3rd. ed.).

London: Methuen.

Goldberg, L. R.(1990),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generality: The big 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gener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6)26-42.

Goldberg, L. R.(1993). The structure of phenotypic generality- traits.

American Psychologist, 48(1), 26-34.

Horney K.(1942). Self-Analysis, New York : Norton, p.83

James, W(1910).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rk : Henry Holt. p.9.

John, O. P.(1990), The "Big Five" factor taxonomy: Dimensions of generality in the natural language and in questionaires, In L. A.

Pervin(Ed.), Handbook of generality: theory and research(pp.

66-100), New York: Guilford press.

30

-MaCrae, R. R. & Costa, P. T. Jr(1986) generality, coping, and coping effectiveness in an adult sample. Journal of generality, 54, 385-405.

MaCrae, R. R. & Costa, P. T.(2003). generality in Adulthood: A Five-Factor Theory Perspective. NY: The Guilford Press.

Mead, George H(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77

Mischel, W.(1986). Introduction to generality, 4thEds. New York:Holt, Rinehart and Winston.

Norman, W. T.(1963), “Toward an Adequate Taxonomy of generality Attributes: Replicated Factor Structure in Peer Nomination- 107

-generality Rating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6, 574-583.

Paloutzian, R. F., & Ellison, C. W.(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A. Peplau, D. Perman(Ed).

48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pp. 224-236). New York: John Wiley & Sones.

Pervin, A. L., & John, P. O.(1997), generality: Theory and research.

(7ª ed.). New York: John Wiley& Sons.

Rebecca Banks(1980) "Health and the Spiritual Dimensions: Relations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Journal of School Health 50:195.

Rogers, C.(1951).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oston : Houghton Mifflin. p. 118

Salgado, J. F.(2002), The Big Five generality dimensions and counterproductive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10(1-2), 117-125.

Seligman, M. E.(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2, 3-12.

Sullivan H. S.(1964). The fusion of Psychiatry and Social Science, New York : Norton, p.72-73

Vicky Genia(1996). "I. E., Quest, and Fundamentalism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spirituaul Well-being,"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35 : 56-64.

32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지는 기독교 무용에 참가하는 자들의 성격 5요인이 자기 성취감과 종교적 안녕감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 기 위한 것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에는 옳고 그름이 없으며, 한 문장도 빠짐없 이 솔직하게 대답해 주시면 됩니다.

본 설문의 결과는 연구 자료로만 소중하게 활용할 것이며,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소중한 시간을 내어 성의껏 대답해 주신 여러분의 협조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9년 10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지도교수 : 김 미 숙

연 구 자 : 손 혜 림

※귀하의 개인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의 문항들을 읽고 자신의 생각에 해당되는 부분에 체크(∨)를 하십시오.

1. 귀하의 성별은?

① 남성 ② 여성

2. 귀하의 연령은? ( 세)

3. 귀하의 신앙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모태 신앙 ② 10년 미만 ③ 10년 이상~ 20년 미만 ④ 20년 이상

4. 귀하의 기독교 무용에 참여한 기간은?

① 6개월 이하 ② 6개월~1년 ③ 1년~3년 ④ 3년 이상

5. 귀하의 기독교 무용에 참여한 빈도는?

① 주 1회 ② 주 2회 ③ 주 3회 ④ 주 4회

6. 귀하의 기독교 무용에 참여한 시간은?

① 1시간 미만 ② 1~2시간 ③ 2시간 이상

34 -번

호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매우 그렇다

1 거의 언제나 느긋한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2 나는 모임에서 분위기를 주도하는 인물이다. ① ② ③ ④ ⑤

3 우울함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4 쉽게 불안해진다. ① ② ③ ④ ⑤

5 상식이나 어휘를 많이 아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6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다. ① ② ③ ④ ⑤

7 항상 무엇이든 할 준비가 되어 있다. ① ② ③ ④ ⑤ 8 여러 사람들 사이에서 위축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9 상상력이 풍부하다. ① ② ③ ④ ⑤

10 다른 사람의 기분을 잘 이해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11 세밀한 부분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① ② ③ ④ ⑤

12 걱정을 많이 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13 대화를 먼저 시작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14 훌륭한 아이디어를 낼 때가 많다. ① ② ③ ④ ⑤ 15 따뜻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16 어지러워지면 즉각 청소한다. ① ② ③ ④ ⑤

17 사교모임에서 여러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눈다. ① ② ③ ④ ⑤

18 이해가 빠른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19 다른 사람들을 위해 시간을 잘 낸다. ① ② ③ ④ ⑤

20 질서정연한 것을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⑤

21 마음이 쉽게 심란해진다. ① ② ③ ④ ⑤

22 다른 사람의 시선이 나에게 집중되는 것을

꺼려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23 어려운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24 다른 사람의 감정을 내 것처럼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25 계획한 것을 그대로 실행한다. ① ② ③ ④ ⑤

Ⅰ. 성격 5요인 검사

※다음은 성격 5요인(외향성, 안정성, 원만성, 성실성, 개방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아래의 문항들을 읽고 자신의 생각에 해당되는 부분에 체크(∨)를 하십시오.

호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매우 그렇다

26 말을 많이 하지 않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27 깊은 생각에 잠길 때가 많다. ① ② ③ ④ ⑤

28 화를 잘 내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29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준다. ① ② ③ ④ ⑤

30 주어진 일에 대해서는 가혹하리만큼 열심히 한다. ① ② ③ ④ ⑤

31 기분의 변화가 심하다. ① ② ③ ④ ⑤

32 모임에서 나를 잘 드러내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33 다른 사람들에게 별로 관심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34 상상력이 풍부하다. ① ② ③ ④ ⑤

35 내 물건을 잘 정돈 하지 않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36 사람들과 별로 할 이야기가 없다. ① ② ③ ④ ⑤

37 감정의 기복이 심한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38 쉽게 짜증이 난다. ① ② ③ ④ ⑤

39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① ② ③ ④ ⑤ 40 다른 사람들의 기분을 상하게 행동할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41 자주 우울해진다. ① ② ③ ④ ⑤

42 일을 엉망으로 만들 때가 많다. ① ② ③ ④ ⑤ 43 추상적인 관념에는 별 관심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44 나에게 주의가 집중되는 것이 싫다. ① ② ③ ④ ⑤ 45 물건들을 사용한 후에 제자리에 두는 것을

잘 잊는다. ① ② ③ ④ ⑤

46 다른 사람들의 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47 상상력이 풍부하지 못하다. ① ② ③ ④ ⑤

48 다른 사람의 일에 대해 별로 걱정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49 모르는 사람들과 있을 때는 과묵해진다. ① ② ③ ④ ⑤

50 해야 할 일을 태만히 한다. ① ② ③ ④ 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