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3)

현재 우리니라 엘리트 스포츠를 육성하는 학교들은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일단 선수들의 장래를 위해 학습권 보장이 시급하며, 부상 선수들의 시합출 전 제한을 규제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부분에 연구들이 추후에 중 도 포기에 관련된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야 한다. 학생선수로서 성공을 하거 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지는 못하며, 중도 포기는 하나의 현상으로서 중도 포기를 불가피하게 하는 요인이 존재한다. 이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까 지 중도에 포기하는 선수가 없는 운동부를 육성하기 위해 학생선수들이 겪 는 여러 가지 갈등 및 고민들을 종목별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중․고․대학교 탁구선수들의 생활을 이해하고 그 생활 속에서 가장 큰 갈등이라고 생각되는 중도 포기의 원인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G’광역시 지역의 중․고․대학생 탁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지역과 모든 종목의 선수들에게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의 선수들과 다양한 종목의 선 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중․고․대학생 탁구선수들의 중도 포기 한 사례에 한정하였 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사례들을 적용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실업팀과 대학팀의 확보를 통하여 중․고․대학생 탁구선수들에게 보 다 넓은 진로의 문을 열어주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상조, 박재현, 강민수(1994). 체육연구방법. 서울: 도서출판, 21.

고문수, 김무영. (2011). 학교운동부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발전 과제. 한국초등체 육학회지, 17, 117-128.

교육인적자원부(1997). 학교중도탈락자 예방종합대책. 교육월보, 181.

김경철(2013). 고등학교 영재의 자발적 영재교육 중도포기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동아, 임수원, 이혁기(2012). 비인기 종목 초등학교 엘리트 학생선수 수급 문제와 과제.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8(2), 27-36.

김무영(2006). 스포츠교육 수업 운영에서의 체육교사 사고과정 이해.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김범준(2005). 대학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요인과 탈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범준(2016). 대학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및 스트레스 대처의 중재효과 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김선윤(2010). 테니스 선수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김재구(2010). 한국선수들의 하계올림픽대회 메달획득 경향분석. 코칭능력개발지, 12(2), 197-203

김지호(2017).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운동중도탈락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김정명(1999). 청소년 인권의 사각지대. 체육특기생. 청소년과학연구, 6(2), 21-40.

김충기. (2002). 제 2 부 현대 사회의 청소년 교육: 직업세계의 변화 전망과 대학생 의 진로지도. 청소년과 효문화 (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 265-299.

김태홍(2017). 농구선수들의 중도포기 및 엔터테이너 전환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김현진(2016). 대학생 운동선수의 운동포기 후 성장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미 간행 석사학위 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한체육회(2019). http://g1.sports.or.kr/stat/, 체육정보 등록현황.

대한탁구협회(2019). http://koreatta.sports.or.kr/info/info_03_01.jsp, 탁구규정.

류태호(2000). 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 울대학교 대학원.

류태호, 김상범, 이주욱, 이규일, 임용석, 배증윤, 박창완(2009). 중도탈락. 학생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박도경(2014). 중학교 진학과정에서 나타나는 탁구학생선수의 중도탈락 요인. 석사 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도경, 박현권, 전원재(2016). 초등 탁구선수의 중학교 진학과정에서 나타나는 중도 탈락요인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4, 579-590.

박지영(2006). sport 선수의 운동이탈 요인과 대학생활에 관한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송영선(2011). 체급경기 선수들의 체중조절에 따른 스트레스가 운동정서와 운동탈진 및 운동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 학원.

안정호(2009). 사회복지시설 청소년 운동선수의 운동중도포기요인.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오윤경(2004). 고등학교 탁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척도 개발. 석사학위논문. 창원대 학교 대학원.

오윤경(2008).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 구조와 위계적중요도. 박사학위논문, 창원대 학교 대학원.

유동영(2002).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선수생활과 진로 및 수업 참여에 대한 실태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명진(2013). 고교럭비선수들의 진로장벽과 운동스트레스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윤인애, 윤용진(2011). 대학 야구 선수들의 탈진 후 중도포기 과정에 대한 심층분 석. 한국웰니스학회지, 6(2), 169-179.

이규일, 허창혁, 류태호(2011). 중,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중도탈락 원인 특성 및 개선 방안. 체육과학연구, 22(3), 2189-2202.

이덕성, 박말분, 석강훈(2006). 탁구동호인들의 탁구참여정도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8, 603-615.

이석배(2013). 유도선수의 은퇴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재창, 박미진, 김진희(200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상담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2), 111-127.

이한국(2015). 엘리트 탁구선수의 자기관리가 자신감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이한슬(2019). 엘리트운동선수의 은퇴기대에 따른 사회심리적위기감이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수원, 이정래(2002).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중도탈락과 학교생활적응상의 문제점 및 대책.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5(2), 231-246

임용석(2005). 운동특기생 중도탈락 이후 사회적응과정.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 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용석, 류태호, 이규일(2010). 중도탈락 학생운동선수의 상실 과정. 교육인류학연구, 13(3), 37-69.

임용석, 한만석, 김준성(2014). 학생선수의 중도 탈락 경로 분석. 체육과학연구, 25(3), 450-466.

장재훈(2010). 대학 축구선수의 조기 은퇴 원인과 우등생으로써의 변화 연구. 한국 체육교육학회지, 15(3), 19-33.

정범철(2019). 초· 중· 고등학교 육상선수의 사회지원, 운동소진 및 중도탈락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