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7)

첫째, 학교 현장에서 지적장애 학생의 체력이 균형 있게 향상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사전에 충분한 연습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로 건강체력 검사에 쉽게 적응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음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비장애 학생과 함께 장애등급을 나뉘어 다양한 연구가 이루 어 져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 의 특성상 다양한 장애 유형을 가지고 있고 학생마다 장애특성이 개별적으로 다양하다 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이와 같은 결과가 다른 장애 학생들에게 모두 적용 될 수 는 없 을 것이다. 따라서 연령대별 다양한 장애유형의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 그램 연구가 이루어 져야 대상을 확대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07). 학생건강 체력평가 확대 시행 계획.

국립특수교육원 (2013a). 정신지체학생 건강 체력종목과 실시방법. 서울 : 한림문화사.

국립특수교육원 (2013b). 지체장애학생 건강 체력종목과 실시방법. 서울 : 한림문화사.

권현진, 정진욱, 양한나, 김연수 (2009). 지적장애 남자아동의 신체활동 분석. 한국체육학 회지, 19(1), 142-145.

김길범 (2008). 신체활동 수준과 식생활 습관별 남자 고등학생의 체력장 성적분석. 창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남순 (2003). 정신지체아동의 직업교육 훈련의 발전 방안. 지적장애연구, 5, 241-261.

김동제 (2009). 검도 참여가 비만 및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1(3), 235-245.

김동환, 이철원, 백재근, 전혜자 (2012). 일회적 중등도 운동이 지적장애인의 작업기억에 의존한 걷기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3), 79-91.

김선영, 정유진 (2008). 16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지적장애 학생의 신체조성 및 심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6(3), 167-182.

김의수, 김광호 (1993).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심폐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지, 1(1), 61-74.

김일명 (2005). 자기신체 조정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운동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7, 211-233.

김정은, 김영심 (2008).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인지과정 특성 비교. 지적장애연구, 10(4), 23-42.

김진기 (2013). PAPS-D 검사를 이용한 지적장애 학생의 건강 체력 수준. 신라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태형, 김경숙 (2010). 지적장애 운동수행 프로파일의 타당화.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8(3), 15-31.

김현수 (2013).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비만청소년들의 체질량, 신체활동 및 이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1), 193-208.

김현준, 고기준 (2003). 장단기 복합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 렙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1), 669-697.

김혜련 (2009). 협력을 통한 비만예방관리체계 구축방안.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라경환 (2004). 정신지체 학생의 거주 유형에 따른 비만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스포 츠 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민범일, 김동춘 (2009). 정신지체 비만 중년여성의 에어로빅 운동이 심혈관 위엄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7(2), 47-62.

민천식 (2003). 정신지체 정의의 역사적 변천과정 특징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 연구, 5, 173-187.

박기용 (2003). 정신지체인과 비만인 및 비만인의 심폐기능과 골밀도 분석. 한국특수체 육학회지, 11(2), 119-131.

박기용, 김성진, 채수덕, 성민재, 김한철 (2011). 성별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수영프로 그램이 학생 건강 체력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3), 17-32.

박민섭 (2011). 뉴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영순 (2003). 비만아동의 놀이 프로그램이 체력, 운동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종설 (2005). 유산소 운동이 정신지체인의 신체조성과 체력변화에 미치는 영향. 인제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찬호 (2009). 유산소 운동과 생활양식 프로그램 병행이 비만 여자 청소년의 비만유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2), 198-205.

백설향 (2008). 신체활동이 소아 비만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 17(2), 55-64.

손상현, 이인경 (2007). 방과 후 등산이 비만 정신지체 학생들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 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5(2), 71-95.

송채훈 (2012). 유산소 운동이 체형분류별 비만지적 장애학생의 혈액성분과 건강관련 체 력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2), 133-148.

안재웅, 김대연, 한민규 (2011). 지적장애 학생의 신체활동 수준이 비만도 및 심폐지구력 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1), 57-67.

오수학 (2006). 학생건강 체력평가 시스템 구축연구 보고서. 인천광역시교육청.

이경훈 (2010). 지적장애인의 생활체육 농구 프로그램 참여가 건강관련 체력 향상에 미 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남희 (2001). 에어로빅 운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순환기능 폐활량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3, 179-197.

이범진 (2011).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심폐체력 분석: 장애유형별 다중비교. 한국특수체 육학회지, 19(2), 103-115.

이병학 (2011). 지적장애 중학생의 뉴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가 물체조작 운동기술에 미 치는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석인 (2000). 근력트레이닝. 서울: 삼호미디어.

이승오 (2017). PAPS-D 프로그램이 중도 지체장애 학생의 건강 체력 및 심폐기능에 미 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세덕 (2007).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연주 (2010). 운동 강도에 따른 걷기 운동이 비만여중생의 신체조성, 체력 및 인슐린 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양구, 오수학 (2009). 학생간강체력평가 프로그램을 통한 비만도와 건강 체력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5(3), 247-256.

이지영 (2011). 성별 및 장애등급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건강 체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4), 149-161.

이재원, 이동철 (2014). 장애학생 체육활동 현황 및 발전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2(2), 13-26.

임명재, 정복자 (2010). 지적장애 학생들의 건강관련체력 측정평가 기준치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8(4), 31-41.

장경태, 이정숙 (2009). 건강한 삶을 위한 운동처방 기초. 서울: 대한미디어.

장은숙 (2011). 라인댄스 운동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건강관련 체력, 혈청 지질 및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전기태, 한민규 (2011). 지적장애인의 건강 체력평가 규준설정. 지적장애연구, 13(4), 271-286.

전혜자 (1998). Reach 모형에 의한 정신지체아 운동기능검사의 난이도 추정. 한국체육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정경희 (2014). PAPS-D에 의한 건강 체력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학생의 기초체력 증진 에 미치는 효과.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정환 (2015). 협력교수를 통한 체육수업이 지적장애 학생의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종해 (2013). 지적장애인의 생활체육 요구유형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지, 54(1), 597-609.

정진욱, 권현진, 김연수, 양한나 (2011). 지적장애 남성아동의 신체활동량 분석. 한국특수 체육학회지, 19(1), 115-123.

최민동 (2005). 체육측정평가. 서울: 신지 서원.

최운영 (2009). 줄 없는 줄넘기 운동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건강관련 체력, 혈중지질, 성 장호르몬 및 대사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하영미 (2005). 장애아동의 비만 실태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학회지, 18(2), 27-42.

한동기 (2008). 특수체육이론과 실제. 서울: 도서출판 무지개사.

한민규 외 (2013). 장애학생 건강 체력평가(PAPS-D) 개발 종합보고서. 충남: 국립특수교 육원.

한민규 외 (2013). 장애학생 건강 체력평가(PAPS-D) 개발 : 지체장애 건강 체력 종목과 실시방법. 충남: 국립특수교육원.

홍영호 (2013). 특수체육활동이 지적장애 비만학생의 신체조성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양자 (2004). 장애인을 위한 특수체육. 서울 : 도서출판 21세기 교육사.

Hillman, C. H., Erickson, K. I., & Kramer, F. (2008). Be smart, exercise your heart:

Exercise effects on brain and cogni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9(1), 58-65.

Horvat, M., Block, M., & Kelly, L. (2007). Developmental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Champaign, IL: Human Kinetics.

Katzmarzyk, P. T., Janssen, I., & Ardern, C. I. (2003). Physical inactivity, excess adiposity and premature mortality. Obes. Rev., 4(4), 257-290.

WHO (2006).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HO Tech Rep Ser. Not.894.

부록1】개인용 기록지

PAPS 건강 체력검사

-중·고등학생-학교 학년 성별 □남 □여

이름 생년월일 검사날짜

요인 종목 결과

체격

신장 cm

체중 kg

심폐지구력 스텝검사

심박수(1분~1분30초): 회 심박수(2분~2분30초): 회 심박수(3분~3분30초): 회

유연성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1차 cm 2차 cm

근력

근지구력 윗몸 말아 올리기 회

순발력 제자리 멀리 뛰기 cm

부록2】

PAPS 건강 체력검사 체크리스트

▶ 측정 시 금기해야할 사항

스텝검사

준비 스텝박스 높이가 정확한가?

중(남, 여) · 고(여) : 45.7cm, 고(남) : 50.8cm

측정

내려가거나 올라가는 동작에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았는가?

시간 간격이 정해진 신호음에 맞추어 올라갔다 내려오는 동작을 반복하는가?

스텝박스 위에 완전히 올라가서 몸을 곧게 펴는가?

스텝검사 종료 후 편안하게 안정을 취하고 있는가?

측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가?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준비 양 발이 측정기 전면에 밀착되도록 앉았는가?

※ 양 발이 측정기 전면에 밀착되도록 앉았는가?

측정

※ 무릎을 구부리지 않았는가?

※ 발이 측정기에서 떨어지지 않았는가?

앞으로 뻗을 때 양손이 겹쳐져 있는가?

※ 허리 반동을 이용하거나 갑작스럽게 상체를 굽히지 않았는가?

굽힌 자세를 2초 이상 유지 하고 있는가?

측정시 머리를 앞으로 굽혔는가?

측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가?

윗몸 말아 올리기

준비

세워진 무릎의 각도가 적절한가(90도)?

양 발과 양 무릎 사이가 주먹 하나 크기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두 었는가?

측정

손이 넓적다리 위를 타고 올라오는가?

※ 실시자의 발을 눌러주지는 않았는가?(무릎 뼈 끝 부분 아래) 매 회 실시마다 머리가 지면에 닿고 올라오는가?

1회/3초 실시간격을 정확히 지키는가?

1회/3초 실시간격을 두 번째 지키지 못하였을 때 측정을 종료 하는 가?

턱과 가슴의 사이가 주먹하나 크기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가?

측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가?

제자리 멀리뛰기

준비 구름판이 미끄럽지 않은가?

측정용 자의 위치가 정확한가?

측정

구름판 위에 준비 선을 정확하게 지켰는가?

모래터 또는 측정 장비 위에서 모둠발로 뛰었는가?

※ 도약 순간 발의 위치가 출발선을 넘지 않았는가?

※ 발 구르기를 두 번 이상 하지 않았는가?

측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