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제주도내 중학교 4개교․고등학교 4개교, 제주도내 7개 교

회 중고등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집 조사되었기 때문에 한계가 있으므로 실 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기독 비기독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청소년에게 영향을 주는 부모의 신앙생활 유무와 자녀의 신앙교 육에 대하여 그리고 청소년의 사회활동 유무 등의 관계를 세분화하여 조사하 지 못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세째, 학생조사는 설문지에 의한 자기보고식 검사법으로 한정되었으므로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측정과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독교는 인지능력의 발달과 자아정체감 및 사회성 형성에 중요한 발 달단계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또한 그들이 주위 환경을 통하여 긍정적인 자아정체감과 사회성을 형성하도록 가르 치고 올바른 인격체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아울러 청소년기의 기 독교 교육은 자신이 얼마나 귀중한 존재인가를 깨닫도록 지도하며 더불어의 의식을 가지고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그래서 청소년들이 자신이 소속된 사회공동체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가치관과 책임을 가지고 삶의 현장에서 적극적인 삶을 살도록 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강봉규(1994). 발달심리학. 정훈출판사.

권두승, 조아미(1998). 청소년 세계의 이해. 문음사.

권영신(1999). 기독학생의 신앙성숙도와 신앙고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권이종(1996). 청소년학 개론. 교육과학사.

권이종, 권병진(1999). 청소년 유해환경이론. 교육과학사.

권중돈(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김문조(994). 한국10대 청소년 의식구조. 삼성복지재단.

김상원(2000). 기독교 신앙이 자아개념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김성국(1997). 조직과 인간행동. 명경사.

김성중(1996). 기독청소년의 신앙성숙도와 자아실현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숙경(1989). 외동이와 형제아의 모-자녀관계 및 사회성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김연진(1993). 기독교 대학생의 신앙정도에 따른 이타성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영대(1998). 기독청소년의 신앙성숙도와 자아정체감관의 관계 연구. 석사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영환(1996). 기독교신앙 유무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은경(1990). 교회청소년을 위한 성서 학습지도. 석사학위논문, 장로회 신학

대학 대학원

김정수(1993).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적응력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 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태련, 장휘숙(1996). 발달심리학. 박영사.

김형태(1989).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김혜경(2004). 기독․비기독 고교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제 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용린(1992). 청소년 심리학. 한국청소년연구원(편).

박경수(1993). 청소년 단체활동과 사회성형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승구(1997). 신앙발달의 개념분석을 통한 성숙이론의 연구. 대학원.

박아청(1993). 아이덴티티의 세계. 교육과학사.

박아청(1995). 성격심리학. 교육과학사.

박아청(1995). 아이덴티티의 탐색Ⅱ. 중앙적성출판사.

박연숙(1989). 중학생의 사회성 발달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 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배재현(1984). 자아-아이덴티티와 자기존중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계명대 학교 대학원

변세권(2001). 기독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 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서봉연(1995). 청년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손성욱(2000). 기독청소년과 비기독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 석사학 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손해곤(1992).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과정 및 정체감 위기.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송종두(1981). 청소년이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심재성(1995). 바람직한 청소년상. 백신출판사.

양춘의(1986). 사회학 개론. 진성사.

유선애(2000). 기독청소년의 신앙성숙도와 사회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선영(2001). 기독청소년의 종교성이 자아정체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이은희(1978). 기독교 아동과 비기독교 아동의 사회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춘재(1988). 청년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임옥진(2001). 자아정체감이 혼미한 기독청소년상담에 있어 목회상담과 인 간중심상담의 통합가능성.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 원.

조성호(1998). 외동이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양임(1994). 가정환경과 청소년 자아정체감 형성간의 상관성 연구. 석사학 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옥채(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최정훈(1982). 지각심리학. 을유문화사.

최현아(1998). 기독교신앙과 자아개념과의 상관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총 신대학교 대학원.

한규석(1997).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현희순(1998).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발달과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llport, G. W. (1961).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N. Y : Holt Rinehart and Wintson, Inc.

Bar-tal. D.(1976), Prosocial Behavior: theory and Research, N, Y. : Wiley &

Sons.

Bronson, G. W. (1959). Identity Diffusion in late adolescents. Journal of Abnomal and Social Psychology, 59,p. 414-417.

Crabb, L. J.(1976). Basic Principles of Biblical Counseling. Michigan : Zondervan Publishing House.

Dignan, M. H(1965). Ego Identity and maternal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 476-483.

Eisenberg, N. (1982).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Y :The Academy. Pross

Erickson, E. H.(1968). Identity : youth and crisis. New York : Norton.

Marcia, J. E. (1980). Identity in adolescence. J. Adelson(ed).,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N.Y. :Jhon Wiley, 159-189.

Margaret. A.L. Adolescence, New York : Harper & Row Publishers, Inc., 1985.

Rasmussen, J. E. (1964). The relationship of ego identity to psychosocial effectiveness. Psychological Report, 15, 815-825.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 Houghton Mifflin.

<ABSTRACT>

A Study on the Ego-Identity and Sociability of Christian and Non-Christian Adolescents

1)

Choi, Chang-hwa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ur, Chull-S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gaps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adolescents in ego- identity and soci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ego-identity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teenagers?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sociability between Christian and non- Christian teenagers?

2. What is the relationship of ego-identity to sociabil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00 selected students who attended four boys' and girls' high schools and four middle schools and belonged to seven churches in Jeju-do. After their ego-identity and sociability were tested, the responses from 720 students were analyzed.

1) This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5.

The instrument used to track their ego-identity was Seo Bong-yeon (1975)'s adapted version of Dignan(1965)'s Ego-Identity Scale, and the other was Park Gyeong-su(1993)'s Sociability Inventory that modified the sociability segment of the Central Education Evaluation Committee (1987)'s Emotional Characteristics Inventory.

As for ego-identity, eight subareas were assessed, including security, target orientation, uniqueness, interpersonal role expectations, self- acceptance, self-assertion, sense of self and human relations. Eight items each were allocated to the subareas, and overall, 64 items were included in the scale.

The sociability was tested in six subareas to which five items each were given, including social skills, cooperativeness, spirits of service, self-control, planning and responsibility. Overall, 30 items were assigned to this fact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ir ego- identity and sociability. The instruments turned out to be reliable, as the Cronbach's a of the ego-identity scale was 0.73 and that of the sociability inventory was 0.7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First, concerning ego-identity, the Christian students outdid the non- Christians in target orientation, self-assertion and ego-identity. By gender, the Christian girls were more secure than the Christian boys, and the non-Christian boys excelled the non-Christian girls in sense of self. By school grade, the middle school Christians were better than the high school

Christians at self-acceptance, sense of self and ego-identity, and the non-Christi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perior to the non- Christian high school students in self-acceptance and sense of self, and the latter was more unique than the former.

Second, as to sociability, the Christians were more cooperative than the non-Christians, and the latter excelled the former in social skills, spirit of service and planning. By gender, there was no gap between the Christian boys and Christian girls, and the non-Christian boys were more responsible than the non-Christian girls. By school grade, the middle school Christians had a better sense of responsibility than the high school Christians, and in the event of the non-Christians,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cooperative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ego-identity to sociability among the Christians, their ego-ident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social skills, cooperativeness, self-control, planning, responsibility and sociability. In the case of the non-Christians, their ego-ident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ir social skills, cooperativeness, spirit of service, self-control, planning, responsibility and sociabilit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Christian activities had an impact on developing the positive ego-identity of the adolescents, but that their sociability wasn't affected a lot by the religious activities.

Accordingly, Christianity should educate teenagers to improve their sociability.

부 록

<부록 1> 설 문 지 ...48

<부록 2> 자아정체감 검사지...49

<부록 3> 사회성 검사지 ...51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조사는 청소년들의 신앙유무에 따라 자아정체감과 사회성과의 관 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제시된 문항에 대하여 자신이 어떻게 느 끼고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면 논문의 귀한 자료가 되겠습니다.

본 질문지는 맞고 틀린 답이 없으며 조사연구에만 적용되어 비밀이 보장되니 한 문항도 빠짐없이 성실하게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2004. 1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최창환

아래 문항을 읽고 자기에게 해당되는 항목에 ○표 해 주십시오.

1. 나는 ( 고등 ‧ 중 ) 학생이다.

2. 나는 ( 남자 ‧ 여자 )이다.

3. 나의 종교는 ( 기독교 ‧ 불교 ‧ 천주교 ‧ 기 타 ‧ 무교 )이다.

<부록 2>

자아정체감 검사지

아래의 문장을 읽고 그 문장의 내용이 자신의 생각과 같은 곳에 ○표를 해 주십시오.

번호 문 항 내 용 그렇지 전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항상그렇다 1 장래의 나는 현재와 별로 다르지 않을 것이다.

2 하고 싶은 일이 너무 많기 때문에 마음을 정할 수가 없다.

3 나는 남들이 아무개의 “동생”혹은 아무개의 “아들”이라고 부르 는 것이 싫다

4 나에게는 남들이 하는 일들은 대부분 매우 어리석어 보인다.

5 나는 지금이 나에게 대해서 아무런 유감이 없다.

6 나는 다른 사람에게 『노』라고 대답하기가 어렵다.

7 나는 많은 사람들 틈에 있으면 나 자신을 잃는다,

8 나는 처음 보는 사람들과는 별로 얘기를 많이 하지 않는다.

9 나의 장래 일에 대한 결정을 미리 생각하고 싶지 않다.

10 나는 내가 보는 나와 남들이 보는 내가 아주 비슷하다고 믿는 다.

11 나의 친구들은 내가 언제나 나 자신의 소원하는 바를 의식하고 있는것 같다고 말한다.

12 나는 내가 보잘 것 없는 존재같이 느껴지는 때가 있다.

13 나는 무엇을 하고 싶지 않을 때 주저 없이 그 이유를 말한다.

14 나는 때때로 전혀 나답지 않은 일들을 한다.

15 남의 눈에 띄지 않고 군중 속에 파묻혀 안정되는 것이 편하다.

16 나는 중․고등학교에 들어와서 달라진 것이 없다.

17 나는 형님(언니)을 좋아하지만 형님과 꼭 같아지고 싶지는 않다.

18 내 친구와 가족들은 내가 여러 가지 일들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 지를 잘 모른다.

19 나는 내가 해놓은 일들에 진정한 자부심을 느낀다.

20 반대를 무릅쓰고 싸우는 것보다 내 원칙을 포기하는 것이 더 쉬 운 일이다.

21 우스꽝스러운 작은 일로서도 나는 그만 딴 사람이 된 것처럼 느 껴지는 때가 있다.

22 저녁시간을 혼자 보내야 할 때는 나는 대개 일찍 잔다.

23 나에게 대한 지난 날의 추억은 지금의 나의 모습과 상통하는 바 가 있다.

24 나는 내가 다음에 무엇을 하게 될지 전혀 모르겠다.

25 나는 대개 선생님들이 나에게서 기대하는 바를 잘 알고 있다.

26 나는 지금의 내가 아닌 다른 존재가 되고 싶다.

27 나는 내 스스로 어떤 일을 결정하려고 하는데에 어려움을 느끼 지 않는다.

28 때때로 나는 나에게조차도 생소하게 여겨진다.

29 대부분 사람들은 나의 있는 그대로를 알아준다.

30 중학교 혹은 고등학교시절의 나와 지금의 나는 전혀 같지 않다.

31 나의 삶의 목표는 비교적 명확하다.

32 자기가 한 일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지려고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