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책적 활용 방안 연구

문서에서 KRIHS 2019 (페이지 30-34)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Life-Oriented River Management and Its Policy Applications

연구책임 조만석

연구진 김창현

면수 128

• (방법론) 요인분석법과 사례지역 대주민 설문조사 를 통해 만족도 조사 평가영역(최소친수기반, 안전·

청결성, 친수활동 지원 정도) 및 평가영역별 세부항 목 체계 제시

평가지표체계를 사례지역에 시범 적용한 결과, 국가 하천-지방하천 간 성과지표 차이 및 평가영역별 차이 를 확인하여 제안된 성과지표의 변별력 및 활용성 등 을 검토

•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간 및 각 하천별로 주민의 만족도(편익)가 서로 다른 것으로 식별되어, 본 평 가지표체계를 성과관리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

• 특히 ‘방문유인 제공’, ‘친수활동지원 시설관리’ 지표 등에서 하천 간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국가사업이 진행된 국가 하천의 만족도 지표 평가결과가 대체 로 지방 하천에 비해 높음을 확인

정책제안

(주민친화적 하천사업 성과 모니터링) 주민만족도 성 과지표의 정기적 조사·분석 및 시계열 자료 확보·축적 으로 하천관리 성과의 기간 간 비교, 사례 공유, 대국 민 홍보에 활용

(국가재정투자근거로 활용) 주민만족도 성과지표 체 계 및 조사 내용은 하천사업 재정평가의 참고자료이 자, 사업 간 우선순위 결정, 계획 수립·집행 근거자료 로 활용 가능

(성과지표 도입을 위한 제도 개선) 하천기본계획 수립 지침 등에 만족도 조사를 지정하고, 정례화 및 조사 방 법 등을 명시하여 일관성·신뢰성 높은 성과측정 체계 구축 도모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농촌계획체계 정비방향

인구감소시대 농촌지역의 유휴토지 관리방안 연구

저소득층 거주 민간임대주택 개량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저출산 시대에 대응한 양육친화적 주거정책 연구

주거권 실현을 위한 중앙과 지방의 역할 분담 방안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주택 역전세 현황과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정책 개선 방안:

전세보증보험제도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중장기 부동산시장 전망과 안정적 시장관리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Ⅱ)

지역 및 계층별 수요를 고려한 공공주택 공급·관리정책 추진방향

주택·토지 4

분야별 주요 연구

연구배경 및 목적

농촌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농촌 주민의 삶의 질 개선 을 위해 농촌공간의 체계적 관리 필요

• 현재 농촌지역은 인구감소와 귀농귀촌으로 인한 인 구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 간 인구편차가 심 화되는 추세

• 또한 마을 과소화 등 농촌의 공동화와 공공서비스 부족으로 인해 주민 삶의 질 저하 우려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비 도시지역에 도시계획적 관리기법을 적용하고 있으 나 도시·군기본계획상 농촌지역의 공간계획은 사실 상 부재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등은 공간계획적 성격이 부족하고, 개별사업과의 연계성이 부족 따라서 현행 농촌계획에 대한 실태를 점검하여 농촌 계획의 계획체계, 내용 및 절차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시계획과의 연계를 통해 농촌계획의 실효성을 제고 할 필요

이 연구는 농촌계획의 실태를 분석하여 농촌계획의 위계를 재정립하고, 도시계획과의 연계성을 제고하는 데 목적

주요내용

농촌공간의 체계적 관리와 농촌주민의 삶의 질 개선 을 위해 현행 농촌계획 실태를 분석

• 현재 농업·농촌·식품산업기본법, 농어업인 삶의 질 특별법, 농어촌정비법, 농어촌마을 리모델링 특 별법, 농지법의 5개 법률에서 26개의 농촌계획을 규정

기본

19-30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농촌계획체계 정비방향

Policy Directions for Rural Land Use Planning System

연구책임 김승종

연구진

김동근, 최명식, 조정희, 이승복, 임동일, 최혁재, 문 채, 박윤호, 이기평

면수 109

농촌계획은 계획의 체계, 내용, 수립절차 및 도시계획 과의 관계에서 위계·연계가 부족

• (체계) 계획 간 위계가 불분명하고 계획 내용과 수 립권자가 부합하지 않음

• (내용) 농촌공간관리에 관한 내용이 미흡하고 토지 이용계획이 부재

• (절차) 계획수립 실적이 저조하고 수립지침 및 고시 절차 등 부재

• (관리) 농촌지역의 공간관리를 위한 관리수단 부재

• (도시계획과의 관계) 도시계획과의 관계가 법적으 로 불분명하고 내용·수단상 연계 부족

정책제안

(기본방향) 농촌계획의 계획체계 단순화, 계획내용의 종합화, 계획절차의 투명화, 관리수단의 제도화, 계획 연계의 구체화

(계획체계) 개별적인 계획을 단순화하고 계획 간 위계 를 정비

(계획내용) 농촌지역의 공간구조를 설정하고, 토지이 용계획 등을 마련

(계획절차) 계획고시 및 계획평가 등 계획수립절차의 투명성을 제고

(관리수단) 농촌형 용도지구 등 관리수단을 마련 (국토계획과의 연계) 국토도시계획과의 연계 근거를 마련

연구배경 및 목적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30년에 5,216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2040년 에는 5,109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됨

인구감소시대에는 특히 농촌지역의 유휴토지 증가가 예상됨. 즉, 빈집 및 빈 건축물 증가, 유휴농지 증가 등 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토지이용의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구 감소에 대응하면서 농촌지역의 유휴토 지를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함 이 연구에서는 유휴토지에 대한 문헌 검토와 유휴토 지 관리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함 농촌지역의 인구감소에 따른 빈집 및 빈 건축물, 유휴 농지 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농촌지역에서 발생 하는 유휴토지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내용

외국인을 포함한 인구추계 방법론을 적용하여 2040 년까지의 농촌인구를 전망한 결과, 2020년까지는 농 촌인구가 증가하다 감소하기 시작하여 2040년에는 926만 명 수준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사전적 의미에서 유휴(遊休)는 “이용 가능한 자원이나 시설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묵힘”을 의미하므로, 유휴토 지는 “이용되지 않고 묵혀 둔 상태의 토지, 또는 이용 되고 있으나 효율적 이용이 현저히 낮은 상태의 토지”

를 말함

유휴농지는 1990-2018년 동안 총 211,545㏊ 발생했 음. 이는 매년 약 7,835㏊ 발생한 것이고, 경작지의 약 0.4%를 차지하는 수치임. 또한 빈집 조사가 시작된 1995년 전국 빈집은 약 37만 호에서 2015년에는 약 3 배 증가하여 총 주택수의 약 6.5%에 해당하는 107만 호가 되었음

기본

19-15 인구감소시대 농촌지역의 유휴토지 관리방안 연구

Improvement Measures for Managing Idle Land of Rural Areas in the Depopulation Era

연구책임 최 수

연구진

이형찬, 안승만, 안다연, 이동우, 김은경

면수 201

선진국(프랑스, 일본)의 경우 유휴토지 관리체계가 양 호하게 정비되어 있음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휴토지 관 리방안 및 제도개선 방안 마련에 참고하였으며, 유휴 토지 관련 문제점 및 현황은 유휴토지 관리 실태 부분 에 반영하였음

정책제안

(유휴농지 관리방향) ① 유휴농지의 해소 및 발생 억 제를 위한 행정적 대응체제 구축 필요, ② 최대한 농업 적 용도로 활용, ③ 자연생태계 복원 또는 농업관련 시 설용지로 활용, ④ 농지의 다원적 활용 지향 등 (유휴농지 관리방안) ① 농지이용 실태조사 강화와 유 휴농지 관리의 내실화 추진, ② 농지 처분 명령 및 위반 시 이행강제금 부과 강화, ③ 농지은행 활성화 등 안정 적 농지이용체계 구축, ④ 장기 자경농업인 혜택 강화 등 실제경작자 중심 농지이용체계 구축, ⑤ 임차인 규 정 보완 및 농지 임대차 범위 확대 필요, ⑥ 농지의 다 원적 활용을 지향하는 농지이용체계 구축 필요 등 (빈집 관리방안) ① 중앙과 지방 정부의 역할 재정립,

② 거점적.집약적 거주 유도, ③ 빈집 조사 및 정보제 공시스템 구축, ④ 실효성 있는 농촌지역의 농촌 빈집 관리를 위한 ‘정부의 지원체계 재정립’, ⑤ 소유자의 자 발적 정비 유도 등

Chapter. 3 주요 연구성과 Annual Report 2019

KRIHS

62 63

연구배경 및 목적

노후주택 거주가구 특성과 주택개량사업 지원 대상을 비교해서 저소득 임차가구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 요성 환기

민간임대주택 개량사업을 둘러싼 복잡한 이해관계가 공공의 주택개량사업 실시를 어떻게 어렵게 만드는지 파악하고 활성화를 위한 핵심 쟁점 도출

민간임대주택 개량사업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해서 민 간임대주택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쟁점별 정 책방안 제시

주요내용

민간임대주택 공공성 강화 방안 중에서 노후주택 개 량에 주목

• 저성장 시대에 신규 주택공급보다는 기존 주택재고 관리의 중요성 증대

노후주택 거주가구와 주택개량사업 지원대상을 비교 하여 정책 사각지대 발굴

• 도시 내 노후주택은 주로 저소득 임차가구가 거주 하지만, 중앙정부 및 서울시의 주택개량 사업은 주 택소유주 위주로 편중

민간임대주택 개량사업의 구조 분석을 통해 활성화의 핵심쟁점 도출

• (복잡한 이해관계 조율) 소유와 이용의 분리에 따라 정부(임차인의 주거안정 보장)와 임대인(개량에 따 른 임대료 인상) 사이에 이해관계 충돌 발생

• (지원조건 부과의 실효성) 개량사업 실시 이후 임대 인이 지원조건을 위반해도 정부가 의무이행을 직접 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수단 미비

수시

19-08 저소득층 거주 민간임대주택 개량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Enhancing Housing Improvement Project for Low-income Households in the Private Rental Market

연구책임 이후빈

연구진 박미선

면수 97

• (사람 중심 관리의 빈틈) 복지사업의 지원대상에 초 점을 맞춘 관리체계는 임차가구가 이사를 가더라도 주택개량효과가 잔존한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함

정책제안

이해관계 조율의 기본 틀로서 상생협약 도입

•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협약을 통해 임차인 의 법적 권리 강화

임대인 참여 유도와 임차인 주거안정을 고려한 지원 조건 조정

• 제한적으로 임대료 인상을 허용하면서 임대기간을 연장하는 방식 검토

지원조건 이행을 관리하기 위한 의무이행 확보 수단 강화

• 단기로 지속적인 사후관리 철저 시행, 장기적 측면 에서는 자력집행권 행사 여부 검토

민간임대주택 품질 제고를 위한 주택 중심 관리이력 제도 구축

• 지원대상의 이주와 상관없이 물리적 개선효과가 존 재하는 한 공적 관리 시행

연구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장기적 관점에서 양육가구의 생애주기 변 화를 고려한 양육친화적 주거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 하고자 함

첫째, ‘양육 친화’와 ‘주거정책’의 개념을 검토하여 양 육친화적 주거정책의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소와 범 위를 정의함

둘째, 저출산 대응 정책과 양육친화적 주거정책의 지 원 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함

셋째, 양육가구의 주거정책 지원 필요성 및 주거지원 현황 분석을 통해 양육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 거정책의 개선점을 도출함

넷째, 삶의 질 향상 관점에서 양육친화적 주거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함

• 정부는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수정)과 함 께 저출산 대응정책을 출산 장려보다 ‘모든 세대가 함께하는 행복한 지속가능 사회’를 비전으로 하고 있음

• 이 연구에서는 저출산 대응 정책의 기조인 안정적 인 삶의 기반 조성 및 촘촘하고 안정한 돌봄 체계를 위한 주거정책을 검토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양육 친화적 주거정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안을 도 출함

주요내용

양육친화적 주거정책의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소를 정의

• (양육친화적 주거정책) 일상적·정서적 측면에서 자 녀에 대한 양육과 보호에 어려움이 없도록 가족들 에게 다양한 주거지원과 양질의 주거 인프라 및 주 거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

기본

19-20 저출산 시대에 대응한 양육친화적 주거정책 연구

A Study on Parenting-friendly Housing Policy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연구책임 김지혜

연구진 이재춘, 이길제, 김정인, 조한진

면수 206

• (구성요소) ① 주거지원 정책: 주택공급, 금융지원, 주거급여 등을 통한 양육 가구 지원 정책, ② 주거인 프라 지원정책: 아이키우기 좋은 주거인프라를 구 축·지원하는 정책, ③ 주거 서비스 지원정책: 아동 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부모와 아동이 지원받게 되 는 주거관련 서비스

양육친화적 주거정책의 구성요소별 지원 현황을 지 역, 주택유형, 아동수, 응답기준 아동연령 등을 고려하 여 분석하고 구성요소별 개선점을 도출

도출된 개선점을 바탕으로 양육가구의 삶의 질 향상 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 발전방안을 제시

정책제안

(주거지원 정책 발전방안) 주거지원 정책의 대상을 아 동이 있는 가구로 확대, 양육에 필요한 주거요소들을 반영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계층 및 세대 혼합을 반영 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주택금융지원제도의 정 책대상 확대 및 금리인하 혜택 제공

(주거인프라 확충방안) 지역현황과 주택유형을 고려 한 주거인프라 공급 확대, 공동주택 내 초등돌봄시설 의무화 추진, 비공동주택에 대한 주거인프라 공급 방 안 마련

(주거서비스 확대방안) 양육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 한 주거서비스 확대, 공공부문의 주거 서비스 체계를 민간으로 확대, 공동체 중심의 양육 서비스 제공 (양육지원 정책의 효율적 연계 및 정보제공 강화 방 안) 부처 간 협력체계 마련, 정보제공 플랫폼 구축, 지 방자치단체의 역할 확대

문서에서 KRIHS 2019 (페이지 30-3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