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박지 용량 분석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30-134)

4.4 주요 항만의 필요 정박지 용량 분석

4.4.7 정박지 용량 분석 결과

우리나라 주요 항만의 정박지에 대하여 필요 정박지 용량 분석 결과를 정리해 보면 Table 41 및 Fig. 55와 같다.

필요 정박지 용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울산항은 2014년에 39.27km2로 가장 높으며, 동해항이 3.29km2(2014년 기준)로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6개 항만 모두 필요 정박지 용량이 년도에 따라서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볼 때, 향후 정박지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는 항만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 만

년 도 포항항 울산항 부산항 광양항 대산항 동해항

2005 11.55 24.04 23.77 21.01 5.10 0.90 2010 13.16 27.30 28.97 25.64 9.26 1.47 2014 15.50 39.27 30.98 30.40 12.13 3.29

Table 41 Summary of necessary occupancy volume of anchorage

(단위: km2)

Fig. 55 The comparison of necessary occupancy volume of anchorage

정박지 용량 분석을 통해 도출된 2014년의 필요 정박지 용량과 실제 정박지 면적을 비교하면 Table 42 및 Fig. 56과 같다.

항 만

용 량 포항항 울산항 부산항 광양항 대산항 동해항

필요 정박지 용량 (km2) 15.50 39.27 30.98 30.40 12.13 3.29 현재 정박지 용량 (km2) 32.55 34.36 45.17 52.28 18.63 4.89 현재 용량 대비 필요

정박지 용량 비율 (%) 47.62 114.29 68.59 58.14 65.11 67.28 Table 42 The comparison of necessary occupancy volume and current

anchorage area

Fig. 56 The comparison analysis of necessary occupancy volume and current anchorage area

분석 결과, 울산항의 경우 실제 정박지 면적 대비 필요 정박지 용량 비율이 114.29%로 정박지가 수용할 수 있는 규모 이상의 선박이 정박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향후 정박지 이용선박 증가 또는 대기시간 증가, 정박지 입항선박 규모가 커질 경우 추가적인 정박지 지정이 필요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산항, 울산항, 광양항, 대산항, 포항항의 필요 정박지 용량은 실제 정박지 면적의 약 47%∼68% 수준으로 2014년까지는 충분한 수준의 정박지가 확보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향후 정박지 입항선박의 척수 및 총톤수 증가와 대기시간 등이 증가할 경우, 추가적인 정박지 지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5장 정박지 용량 설계기준 수립

정박지 용량은 정박지를 이용하는 선박의 척수, 규모, 대기시간 및 해당 수역의 환경조건에 따라서 결정되며, 정박지 이용 선박의 규모는 다시 항만의 물동량, 입항선박 척수, 선석 규모 등에 따라 결정되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만의 현황과 제4장에서 제시한 필요 정박지 용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설계기준으로 제시한다면, 본 연구의 목적인 정박지 용량 설계기준 제시를 통한 항만개발 시의 정박지 용량 적정성 검토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박지 용량 설계기준 제시를 위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기반으로 변수(변인) 간의 함수관계를 밝히고, 이러한 함수관계를 이용하여 관심의 대상인 변수 값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계분석기법인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정박지 용량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회귀분석 절차는 Fig. 57과 같으며, 그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 57 Research procedures for regression analysis

회귀분석의 연구수행 절차는 첫 번째로 변수를 정의하고 조사하는 단계(Variables definition and research)이다. 즉, 제4장에서 도출한 필요 정박지 용량과 이와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변수를 정의하고, 정의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는 정의한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이다. 이는 한 변수가 커지거나 혹은 작아질 때, 다른 변수의 변화 정도와 방향을 살펴봄으로써 변수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상관관계가 낮은 변수는 분석에서 제외함으로써, 회귀분석 실시 이전에 오류를 차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정박지 용량 설계기준을 도출하고, 이 모델에 대한 유의성 검증(Verification)을 통해, 설계기준으로서 적합한 경우 실제 항만에 이를 적용(Application)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정박지 용량기준 제시를 위한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미래 항만 상황에 따른 필요 정박지 용량을 제시하여,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30-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