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접미사 유형에 따른 강세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62)

다음 후보형(32c)는 PARSE-를 위반하지만 MAX()를 위반하지 않는다. 이에 반 해 최적형(32a)는 PARSE-를 가장 잘 만족시키지만 MAX()를 위반한다. 이러한 사실은 PARSE-제약이 MAX()제약보다 상위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정당화한다.

그리고 후보형(a,d)의 비교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 그리고 DEP() 제약이 MAX()보다 상위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ONFIN(Σ ́)제약과 ONSET 제약 간에는 순위가 정해지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 으며, 제약 NONFIN(Σ ́)와 ALIGNMENT 제약간의 위계 순서는 (32)을 통해서는 직 접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 그리고 ALIGN(Suffixα,L, Ft, L), DEP(), PARSE-간의 제약순서는 알파유형 파생어의 강세를 통해서 확인하기가 어렵다.

물론 -ade, -aire, -eer, -ese, -esque,-ette, -ise등도 알파유형 접미사이기 때문에 이들 접미사가 첨가된 파생어에서의 강세 위치도 동일한 제약순서에 의해서 설명된다.

어간인 serene에 접미사 -ade가 결합된 sere(naː)de를 예로 들어보면 아래 도표 (33) 와 같다.

(33)

/sere:n+a:deSuffixα/ NONFIN

(

) ONSET

ALIGN(Suffixα

,L, Ft, L)

DEP

() PARSE- MAX ()

☞a. [(se.re.)(ná:)d]Prwd *(n b. [(se.rn.).(á:)d]Prwd

c. [se.(ríy.na)d]Prwd **!* riyn

후보형 (33b)는 ONSET제약을 위반하였으며, 후보형 (33c)는 후보형 (33a)보다 ALIGN(Suffixα,L, Ft, L)를 더 위반하기 때문에 (33a)가 최적형이 된다.

다음으로 베타유형 파생어의 강세분석에서는 제약들 간의 위계순서가 어떠한 가를 알아보자. 이 유형 파생어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ALIGNMENT제약은

ALIGN(Suffixβ,R,Ft,R)이다. 알파유형 파생어의 강세에서와 마찬가지로 ONSET제약이 ALIGNMENT 제약보다 상위에 있다. 그러나 베타유형 파생어에서는 알파유형 파생어와는 달리 ALIGNMENT 제약과 NONFIN(∑ ́)간의 위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표 (35)에 나타내었다.

(34) 베타유형 파생어에서의 강세의 제약위계 NONFIN(∑ ́)》ALIGN (Suffixβ, R, Ft, R) DEP()》PARSE-

(35)

/sa:tan+icSuffixβ/ ONSET NONFIN (

)

ALIGN(Suffix

β,R, Ft, R)

DEP

() PARSE- MAX ()

☞a. [sa.(tá.ni)c]Prwd *(c

b. [(sa.ta.)(níc)]Prwd *!

c. [(sa.tn.)(íc)]Prwd *!

d. [(sa.ta.)(níy)c]Prwd *(c *!

e. [(sey.ta)(niy)c]Prwd *(c *!

f. [(sa.(téy.)nic]Prwd **!*)nic

(31)와 (34)를 제약순서를 합치면 다음과 같다.

(36) 충실성 제약들 간의 위계 DEP()》PARSE-》MAX()

후보형 (35a, b)의 비교를 통해서 최적형 선택은 NONFIN(∑ ́)》ALIGN (Suffixβ, R, Ft, R)제약순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이 두 제약간의

위계순서가 바뀌게 되면 후보형(35a)보다는 (35c)가 최적형으로 선택되게 된다. 그 리고 제약순서 DEP()》PARSE-의 정당성은 후보형(35d)나 (35e)가 (35a)의 비교에 서 최적형으로 선택되지 못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37)

/divi:n+itySuffixν/ NONFIN

(Σ ́) ONSET ALIGN(Suffix

ν,L, Ft, R)

DEP

() PARSE- MAX ()

☞a. [di.(ví.ni)ty]Prwd *i) **

b. [di.(vín)i.ty]Prwd *!

c. [(di.vn.)(i.ty)]Prwd *!

d. [(di.v i.)(ni.ty)]Prwd *!

e. [di.(vay.)(ní.ty)]Prwd *!

f. [(di.vi.)(níy.)ty]Prwd *iy) *!

g. [di.(váy.)ni.ty]Prwd *)n ***!

또한 이 제약 위계는 감마유형의 파생어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감마유형 파생 어에서 강세분석에 관련되는 ALIGNMENT제약은 ALIGN(Suffixv, L, Ft, R)인데, 이 제약은 위에서 논의한 두 유형의 파생어에서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ALIGNMENT 제약과 NONFIN(∑ ́)간의 위계는 직접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베타유형에서와 같이 NONFIN(∑ ́)제약이 ALIGNMENT제약보다 상위에 있다고 가정하면 최적형을 제대로 선택할 수 있다.

(38) 감마유형 파생어에서의 강세의 제약위계

NONFIN(∑ ́), ONSET》ALIGN (Suffixδ, L, PrWd, R), DEP()》PARSE-》 MAX()

(39)

/accompany+mentSuffixδ/ NONFIN

(∑´) ONSET ALIGN(Suffixδ

,L, PrWd, R) DEP

() PARSE- MAX ()

☞a. {[a.(kóm.pa.)ny]Prwdment}CG *

b. {[a.(kóm.pa.)ny.ment]}Prwd·CG * *!***]ment c. {[a.(kóm.pa.)ny.(mén)t]}Prwd·CG * *!***]ment d. {[a.(kóm.(pá.ny)ment]}Prwd·CG * *!***]ment e. {[a.(kóm.pa.)]Prwdny.ment}Prwd·CG * *!*]ny

f. {[(a.km.).(péy.)ny]Prwdment}CG * *!

g. {[(a.km.).(pá.ny)]Prwdment}CG *!

후보형 (39b, c, d, e)는 ALIGN(Suffixδ,L, PrWd, R)를 심각하게 위반하는 반면 (39a, f, g)는 이 ALIGNMENT제약을 만족시킨다. 다음 (39f)는 DEP()를 위반하고 (39g)는 NONFIN(∑´)를 위반하지만, (39a)는 이 두 제약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39a)가 최적형으 로 선택된다. 이러한 최적형의 선택은 제약순서 NONFIN(∑ ́), ONSET》ALIGN (Suffixδ, L, PrWd, R), DEP()》PARSE-》 MAX()에 의해서 가능하다.

도표(39)에서는 ONSET》ALIGN (Suffixδ, L, PrWd, R)에 대한 정당성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접미사가 자음으로 시작되기 때문이며, 지금까지 영어파생 어의 강세분석에서 정당화된 제약위계는 아래 (40)과 같다.

(40) 통합적 제약 위계

NONFIN(∑´), ONSET

ALIGN(Suffixν,L, Ft, R), ALIGN(Suffixα,L, Ft, L), ALIGN(Suffixβ,R, Ft, R), ALIGN(Suffixδ,L, PrWd, R), DEP()

PARSE-

MAX()

SPE처럼 위계없이 수평적인 규칙들을 적용하여 파생어를 분석하여 본다면 각각 의 예에 따라 다른 규칙들을 일관성없이 계속해서 풀어나가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위 (40)에서처럼 제약들을 수평적이 아닌 수직적으로 제약위계를 설정하여 최적형 을 도출해 내는 과정을 통한다면 보다 더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 다는 것이다.

5 장 결

본 논문은 영어 파생어의 강세에 관한 제약기반 이론적 접근을 해 보았다. 먼저 도출어의 강세에 관해 논해 보아야 하므로 강세와 음보에 대해 살펴보았다. 강세는 음절구조의 강약현상으로 강세가 할당되는 부분에 있어서 청각적으로 보다 크게 도드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강도와 길이, 높이로 강세의 음성적 특징을 나타 내는데 이는 학자들마다 견해의 차이를 보인다. 또한 강세는 음보와 음절무게와 함 께 생각해보아 할 것으로 함께 제 2장에서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본 논문의 주제인 영어의 도출어 즉, 파생어에 관해 논해 보았다.

먼저 파생어의 형태론적 구조를 살펴보았고 그 중에서도 신어를 형성하는데 있어 서 접미사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파생어와 그에 따른 일반적인 영어의 강세 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어간의 강세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접미사와 영향을 미치 지 않는 접미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41) 강세에 따른 접미사의 분류

a. 어간의 강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접미사 -ful (cólorful ← cólor)

-hood (chíldhood ← chíld) -less (éffortless ← éffort) -ment (góverment ← górvern) -ship (schólarship ← schólar)

b. 어간의 강세에 영향을 미치는 접미사(Fudge 1984: 41-43, 52-103) ⅰ. 자동강세 접미사

-ade (lemonáde ← lémon)

-aire (millionáire ← míllion) -ee (absentée ← ábsent) -ese (Japanése ← Japán) -esque (picturésque ← pícture) -oon (festóon← fést)

ⅱ. 전강세 접미사 ⅱ-ⅰ. 전강세 1접미사

-ic (microscópic ← mícroscope) -ion (relátion← reláte)

-ety (varíety ← váry) -ity (tranqúillity ← tránquil)

ⅱ-ⅱ. 전강세 2 접미사 -cide (parasíticide ← párasite) -fy (rárefy← ráre)

-tude (simílitude ← símilar)

ⅲ. 전강세 1/2 접미사

ⅲ-ⅰ. -an (subúrban ← súburb) -al (homicídal ← hómicide) -ive (expénsive ← expénse)

ⅲ-ⅱ. -an (diócesan ← díocese) -al (oríginal ← órigin)

-ive (compétitive ← compéte)

(41a)는 SPE 이후 전통적으로 접미사가 어간에 첨가되어 파생어가 형성될 때 접 미사와 강세할당의 상관관계에서 어간의 강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접미사 (-ful(có.lor.ful 'colorful' ← cólor)), 즉 제2종 접미사(Class 2 suffix)의 예들이다.

(41b)는 SPE 이후 전통적으로 어간의 강세에 영향을 미치는 접미사, 즉 제1종 접 미사(Class 1 suffix)로 (41a)에 비해 불규칙한 강세할당을 보이는 예들이다. (41b,ⅰ) 의 자동강세 접미사 (autostressed suffix)는 어간에 첨가될 대 접사에 강세 (-ade (le.mon.áde 'lemonade' ← lémon))가 할당된다. 그리고 (41b.ⅱ)는 전강세 접미사 (prestressed 1 suffix)는 어간에 첨가될 때, 접미사의 바로 앞 음절에 강세(-ic (mi.cro.scó.pic 'microscopic' ← mícroscope))가 할당된다.

그러나 (41b ⅱ,ⅱ-ⅱ)의 전강세 2접미사 (prestressed 2 suffix)는 어간에 첨가될 때, 접미사로부터 왼쪽으로 두 번째 음절에 강세 (-cide (pa.ra.si.́ti.cide ‘parasiticide'

← párasite))가 할당된다. 한편 (41b, ⅲ)의 전강세 1/2접미사 (prestressed 1/2 suffix) 에서 (ⅲ, ⅲ-ⅰ)은 접미사가 어간에 첨가될 때, 접미사의 바로 앞 음절이 중음절일 경우에 그 음절에 강세 (-an (su.búr.ban ’suburban' ← súburb))가 할당된다. 그러나 (41b ⅲ,ⅲ-ⅱ)는 접미사가 어간에 첨가될 때, 접미사의 바로 앞 음절이 경음절인 경우에 접미사로부터 왼쪽으로 두 번째 음절에 강세 (-an (di.óce.san 'diocesan' ← dí

ocese)가 할당된다.

이를 제3장에서는 영어 강세를 SPE 분석을 통한 분석과 문제점 제기를 해보고 OT등장 배경과 기본 원리들을 살펴보았고, 4장에서는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강세 유형에 따른 접미사를 4가지로 분류해보고 본격적으로 OT 분석을 해 보았다.

그 중에서도 파생어 강세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42) 접미사 부류에 따른 정렬 제약

a. ALIGN(Suffixα, L, F, L): 모든 알파 유형의 접미사의 왼쪽 경계선과 음보 의 왼쪽 경계선은 일치해야 한다.

b. ALIGN(Suffixβ, R, F, R): 모든 베타유형의 접미사의 오른쪽 경계선과 음 보의 오른쪽 경계선은 일치해야 한다.

c. ALIGN(Suffixv, L, F, R): 모든 감마유형의 접미사의 왼쪽 경계선과 음보 의 오른쪽 경계선은 일치해야 한다.

d. ALIGN(Suffixδ, L, PrWd, R): 모든 델타유형의 접미사의 왼쪽 경계선과 운율어의 오른쪽 경계선은 일치해야 한다.

OT 이론의 중심인 제약에 따른 파생어의 강세 분석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따라 영어의 파생어는 접미사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강세 유형에 분류해 보면 4가지 유형으로 분류 가능하며 그에 따라 여러 제약들을 적용 분석하면 제 4장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전통적인 분류에 따라 이분법적으로 2가지 형태로 접미사를 분류하여 이 접미사가 첨가된 파생어에 강세를 할당하게 되면 최적형이 나오지 않고 좀 더 세 부적으로 강세 유형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한 접미사를 제약위계에 적용하여 풀 어내면 보다 최적으로 영어 파생어의 강세에 관한 것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분류를 제약 기반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풀어낸다면 설득력이 생길 것이며, 예 외의 경우로 분류할 것이 아니라 이를 다른 유형으로 분류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이두철. (2002). 영어의 접미사 유형과 파생어 강세. 어문학연구 211-215. 상명대학 교 어문학연구소.

이용재. (2001). 최적성이론과 영어의 강세 현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재영. (2002). 영어의 접미사 유형과 파생어 강세. 영어영문학, 48, 223-238. 21세 기영어영문학회.

전상범. (2006). 형태론개론. 서울 : 한국문화사

전상범․김진우․정국․김영석. (1997). 최적성이론. 서울: 한신문화사.

조성식 외. (1990). 영어학사전. 서울: 신아사.

조학행․서정민(2009). 강세현상과 제약기반이론. 보고서.

Aronoff, M. (1976)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 Linguistric Inquiry Monograph 1.

Al-Ahmadi Al-Harbi, A. (2005). Nankina Trochees. Umm Al-Qura University. [From ROA 724].

Al-Mohanna, F. (2004). Paradoxical Non-finality: Stress Assignment in Three Arabic Dialects. University of King Saud. [From ROA 735].

Archangeli, D. & K. Suzuki. (1997). The Yokuts Challenge. In Roca, I. (ed.) Derivations and Constraints in Phonology, 197-226.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Beckman, J. (1998). Positional Faithfulness. Doctoral dissertation, Amherst, M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From ROA 234].

Benua, L. (1995). Identity Effects in Morphological Trunc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From ROA 93.6].

Burzio, L. (1994). Principles of English Stres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msky, N & M. Halle.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and Row.

Collie, S. (2007). English Stress Preservation and Stratal Optimality Theor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Edinburgh. [From ROA 965].

Féry, C. (1999). German Word Stress in Optimality Theory. University of Tüingen. [From ROA 301].

Fudge, E. (1984). English Word Stress.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Giegerich, H. (1992). English Phonology: An Introdu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mmond, M. (1999). The Phonology of English: A Prosodic Optimality-theoretic Approac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Hayes, B. (1995). Metrical Stress Theory: Principles and Case Stud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ewitt, M. (1994). Deconstructing Foot Binarity. M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From ROA 12].

Itô, J. & A. Mester. (1995). The Core-periphery Structure of the Lexicon and Constraints on Ranking. Linguistics 18, 181-210.

Kager, R. (1997). Rhythmic Vowel Deletion in Optimality Theory. In Roca, I. (ed.) Derivations and Constraints in Phonology, 463-499.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Kager, R. (1999). Optimality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Kikuchi, S. (1999). A Sympathetic Approach to Stress in Spanish Ipsiradical Sets. MS., Tohok u University. [From http://www.sal.tohoku.ac.jp/~s_kiku/papers/kikuchi2000_stress.pd f]

Kiparsky, P. (1973). Abstract, Opacity and Global Rules. In Fujimura, O. (ed.) Three Dimensions of Linguistic Theory, 57-86. Tykyo: TEC.

Kiparsky, P. (1982). Lexical Phonology and Morphology. In Yang, I-S. (ed.) Linguistics in the Morning Calm, 3-91. Seoul: Hanshin.

Kiparsky, P. (2000). Opacity and Cyclicity. Linguistic Review 17, 351-365.

Kirchner. R. (1996). Synchronic Chain Shifts in Optimality Theory. Linguistic Inquiry 27, 341-350.

Ladefoged, P. (1975). A Course in Phonetics.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tch.

Lee, J-Y. (1996). Some Aspects of English Phonology: An Optimality Theoretic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Liberman, M. & A. Prince. (1977). On Stress and Linguistic Rhythm. Linguistic Inquiry 8-2, 249-336.

Łubowicz, A. (2005). Locality of Conjunction. M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From ROA 764].

Lunden, A. (2006). Weight, Final Lengthening and Stress: A Phonetic and Phonological Case Study of Norwegia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From ROA 833].

McCarthy, J. (1999). Sympathy and Phonological Opacity. Phonology 16, 331-399.

[From ROA 252].

McCarthy, J. (2002a). A Sympathy, Cumulativity, and the DUKE-OF-YORK Gambit.

M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From ROA 315].

McCarthy, J. (2002b). A Thematic Guide to Optimality Theory. Cambridge: 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McCarthy, J. (2006a). Candidates and Derivations in Optimality Theory. M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From ROA 823].

McCarthy, J. (2006b). Gen, Eval and Phonological Opacity. Lecture Notes for Indiana Phonology Fest 2006.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McCarthy, J. (2006c). Restraint of Analysi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From ROA 844].

McCarthy, J. (2006d). Slouching Towards Optimality: Coda Reduction in OT-CC. M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From ROA 878].

McCarthy, J. (2007). Hidden Generalizations: Phonological Opacity in Optimality Theory. London: Equinox.

McCarthy, J. (2008). Doing Optimality Theory. Malden, MA, & Oxford: Blackwell.

McCarthy, J. & A. Prince. (1993). Prosodic Morphology: Constraint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and Rutgers University.

[From ROA 482].

McCarthy, J. & A. Prince. (1994). Generalized Alignment. MS.,University of Massachus etts, Amherst, and Rutgers University. [From ROA 7].

Orgun, O. (1995). Correspondence and Identity Constraints in Two-level Optimality Theory. MS., U.C. Berkeley. [From ROA 62].

Pater, J. (1995). On The Nonuniformity of Weight-to-Stress Presentation Effects in English. MS., McGill University. [From ROA 107].

Piñeros, C. (2000). Vowel Weightless and Stress Retraction in Spanish. University of Iowa. [From ROA 427].

Prince, A. & P. Smolensky. (1993).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Rutgers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Prince, A. & P. Smolensky. (2002).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Ms., Rutgers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Revision of Prince & Smolensky (1993)). [From ROA 537].

Revithiadou, A. (1999). Headmost Accent Wins: Head Dominance and Ideal Prosodic Form in Lexical Accent System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IL/Leiden.

[From ROA 388].

Roca, I. & W. Johnson. (1999). A Course in Phonology. Oxford: Blackwell.

Rosenthall, S. (1994). Vowel/Glide Alternation in a Theory of Constraint Interac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From ROA 126].

Scallise, S. (1984) Generative Morphology. Dordrecht : Foris.

Seo, J.-M. (2008). Opacity in the Sound Substitution of Korean-English Interlanguage:

Centering on Palatalized Tense [ʃ’]. English 21 21-3, 271-290.

Seo, J.-M. & H.-H. Jo. (2008). Stress Assignment and Opacity in Batticaloa Creole Portuguese.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14-1, 93-107.

Shaw, J. (2007). Compensatory Lengthening via Mora Preservation in OT-CC. MS., New York University. [From ROA 87].

Siegel, D. (1974) Topics in English Morphology. Gerland. Newyork and London.

Smolensky, P. (1993). Harmony, Markedness, and Phonological Activity. MS., University of Colorado. [From ROA 87].

Smolensky, P. (1995).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Constraint Con of UG. Johns Hopkins University. [From ROA 86].

Strauss, S. 1979. Against boundary distinctions in English morphology. Linguistic Analysis 4, 387-419.

Strauss, S. 1982a. On 'relatedness paradoxes' and related paradoxes. Linguistic Inquiry 13, 694-700.

Strauss, S. 1982b. Lexicalist Phonology of English and German. Dordrecht : Foris.

Zamma, H. (2005). Predicting Varieties: Partial Orderings in English Stress Assignment.

Kobe City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From ROA 712].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6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