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통 식생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1. 전통 식생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방법 및 과정

가.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절차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해 <표 Ⅲ-1>과 같은 순서와 내용으로 연구를 추진하였다.

<표 Ⅲ-1>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절차

나. 학습자의 요구 및 지역사회의 요구 분석

제주 전통 식생활에 대한 학습자의 실태는 제주시내 B초등학교 6학년 1개반 29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전통음식의 인식 정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였고 지 역사회의 요구는 제주 전통음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표본 집단 아동의 제주 전통 식생활 문화에 대한 경험 및 이해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Ⅲ-2>와 같다.

<표 Ⅲ-2> 표본 집단 아동의 제주 전통 식생활 문화 이해 정도

아동들은 제주도의 전통음식을 한 개 이상은 모두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세 개 이상 기록한 어린이가 25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86.2%로 대부분의 아 동들이 제주의 전통음식을 세 가지 이상 알고 있다.

아동들이 제시한 전통음식명을 빈도순으로 나열해보면 빙떡이 가장 많았고 옥돔구이·국, 갈치조림, 자리물회·성게국, 전복죽, 갈치호박국 순으로 나타났 다. 아동들이 많이 알고 있는 전통음식은 가정의 일상적인 식단에 자주 오르거 나 집안의 대소사에서 지금도 쉽게 볼 수 있는 음식들이다.

전체 아동 중 빙떡을 먹어 본 경험을 가지고 있는 아동은 24명(82.8%)으로 빙떡을 먹어본 장소로는 집안의 대소사 시에 먹어본 응답자가 14명으로 58.3%

의 어린이들이 제사나 명절, 잔치 등의 대소사 시에 먹어본 경험을 가지고 있었 다. 지역 전통문화 축제 때 가족들과 먹어 본 어린이도 3명이나 되었다. 하지만 집에서 만들어 먹어 보았다는 경우는 1명밖에 되지 않았다. 이것은 제주도의 전 통음식인 빙떡이 일상식에서 사라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빙떡을 먹어 본 아동들을 대상으로 빙떡의 맛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 ‘맛 이 있다’라고 대답한 경우가 4명, ‘맛이 없었다’ 라고 응답한 아동들이 절반 이 상인 13명(54.1%)의 응답자가 나왔다. 특히 빙떡을 먹어 본 어린이들의 반응을 보면 ‘맛이 있었다’ 보다는 ‘맛이 없다’, ‘심심하였다’, ‘거칠거칠하였다’, ‘팥으로 만든 경우는 특히 맛이 없다’고 응답한 어린이가 많았다.

조문수(2002)는 ‘제주 지역주민들이 선호하는 음식’, ‘개발가능성이 높은 음식’,

‘가정에서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제주 지역주민 들은 전복죽, 생선회, 해물뚝배기, 옥돔구이, 물회, 성게미역국, 국 순으로 음 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제주 전통 음식 중 흑돼지 요리, 옥 돔구이, 물회, 갈치호박국, 전복죽, 빙떡, 해물뚝배기, 성게미역국, 국, 생선회 가 전통음식으로 개발할 때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가정에서 주로 조 리해서 먹는 음식은 고등어구이, 갈치조림, 고등어조림, 갈치구이, 물회, 옥돔구 이, 갈치호박국, 해물뚝배기, 성게미역국 등으로 주재료를 시장 등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위의 결과를 보면 제주시내 초등학교 표본 집단 어린이들과 제주도민들이 선 호하는 전통 음식의 종류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음

식이 아직까지도 간간이 일상생활에서 지역 축제를 통하여 홍보가 되고 있으며 관광도시의 특성상 전통음식의 상업화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의 목표 설정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서는 전통 식생활 교육의 목표를 별도로 제시하지 않고 6학년 음식 만들기 단원과 통합하여 “후식, 다과류, 김치류 등의 간단한 전 통 음식이나 또는 지역 향토 음식을 조사하거나 직접 만들어 봄으로써 음식을 통 한 생활문화를 이해하고 우수한 우리 음식문화에 대한 긍지를 갖도록 한다.”라고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하여 명시된 목표 체계와 내용 체계를 전 통 식생활 교육과 관련하여 지식, 기능, 태도의 세 개 영역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추출하고 보완하여 제주의 전통 식생활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였다(표 Ⅲ-3).

<표 Ⅲ-3>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의 목표

영 역 목 표

지식

▪제주 전통 식생활에 영향을 끼친 환경적, 역사적 배경을 알 수 있다.

▪전통 식생활의 개념을 이해하고 제주 전통 식생활 풍습 및 특징을 알 수 있다.

▪제주 전통 음식의 특징을 알고 식생활 문화의 우수성을 파악할 수 있다.

▪제주의 전통 음식의 종류와 만드는 방법을 알 수 있다.

기능 ▪제주의 전통 음식을 알맞은 재료를 준비하여 조리 순서에 맞게 만들 수 있다.

태도

▪우리 전통 음식에 대한 소중함을 가질 수 있다.

▪자신의 식생활 태도를 반성하며, 제주 전통 식생활에 관심과 애착을 가질 수 있 다.

라. 개발된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의 학습 내용 체계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 전통 식생활의 이해’,

‘전통 음식의 만들기’, ‘전통 음식의 발전’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역별 학습 내용 체계를 작성하였다(표 Ⅲ-4).

종류 음식명

밥/죽류 전복죽

국류 갈치호박국, 국

반찬류 해물뚝배기, 고등어조림, 옥돔구이

회류 자리물회

별미음식류 빙떡

<

표 Ⅲ-4>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의 내용 체계

영 역 내 용

전통 식생활의 이해

◦제주 전통 식생활의 이해

전통 식생활의 개념

▪제주 전통 식생활의

자연적, 역사적 배경

제주 전통 식생활 풍습

◦ 제주 전통음식의 특징과 우수성

제주 전통 음식의 종류

제주 전통음식의 특징 및 우수성

전통 음식 조리하기

◦제주의 전통 음식 만들기

밥류/죽류

국류

반찬류

별미음식류

회류

전통 음식의 발전

◦제주 전통 식생활과 발전 방안

▪자신의 식습관 반성 및 다짐 ▪

건강과 제주 전통 식생활

▪제주 전통음식의 홍보

마. 제주 전통 음식 만들기 조리 식품의 선정

본 연구에서는 조문수의 연구 결과와 수업 적용 표본 집단에서의 실태 조사 를 바탕으로 일상식에서 현재에도 제주도민들이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가끔씩 애용하고 있는 음식들 중에서 비교적 쉽고, 흥미 있게 실습할 수 있으면서도 학 생들의 입맛에 맞는 식품을 종류별로 선정하였다(표 Ⅲ-5).

제주의 전통음식이기는 하나 우리 조상들이 집안 대소사시나 제례시에나 먹 을 수 있었던 백미밥은 현재에도 일상식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고 한국의 전통 음식에 더 가깝다고 여겨져 체험학습 주제에서 제외시켰다.

<

표 Ⅲ-5> 제주 전통 음식 만들기 조리 실습 선정 식품

바.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의 구성

2. 제주 전통 식생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결과

전통 식생활 내용 체계에 따라 실제 차시별 학습 전개 계획을 세 개의 영역으 로 구분하고 ‘제주 전통 식생활의 이해’ 와 ‘전통음식의 발전’ 영역에서는 1차시를 40분으로 하여 3개의 학습 주제로 구성하였고, ‘전통 음식 조리하기’ 영역에서는 8 개의 음식 가짓수를 각각 120분을 학습시간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과정안의 체계는 주제, 본시 학습 목표, 예습과제 지시, 학습단계(문제인식, 문 제해결계획, 문제해결, 평가의 적용), 학습요소, 시간, 자료 및 유의점으로 구성하 였다.

구성된 교수-학습과정안 및 학습과정안과 관련하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지는 부록에 수록하여 교수-학습 시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지는 수업의 내용과 흐름에 따라 개인별 학습지와 모둠별 학습지를 작성하 였다. 음식 만들기가 개인이 모든 과정을 일일이 전부다 하는 것보다는 협동학습 측면에서 서로 전통음식 만드는 순서와 방법을 알고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짧 은 시간에 일의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개인 활동으로 인한 사고의 단절 및 교류의 위축보다는 모둠별로 한가지의 음식을 선택하여 만들 수 있음으로 하 여 협동학습 측면에서의 장점을 추구하였다.

나. 교수-학습과정안의 전개상의 유의점

첫째, ‘전통 음식 조리하기’ 과정안은 120분으로 학습시간을 구성하였는데, 이것 은 초등학교 1차시가 40분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안할 때 3차시에 해당하는 분량이 다. 교수-학습과정안의 흐름상 학습문제를 파악하고 모둠별 학습 설계를 하는 부 분과 실제 조리 실습을 하는 부분은 분절하여 각기 다른 차시에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즉 학습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조리용구 및 재료의 준비, 자료의 조사, 역할분담에 따른 예습과제의 해결에는 개인별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수업의 전개 흐름상 학교 현장에서 실과 수업시간에 ‘전통음식 조리하기’

영역의 음식을 모두 조리 해 볼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2~3개의 음식을 선택하여 만들어 보거나, 학습자의 기호도에 따라 모둠별로 음 식명을 달리하여 한 수업에서 여러 개의 음식을 동시에 체험해 볼 수 있는 방법 을 고려해 볼 수 있다.

Ⅳ. 전통 식생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