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ay .2004 Jun.

Jul.

Aug.

Sep.

Oct.

Nov.

Dec.

Jan .2005 Feb.

Mar.

Apr.

May Jun.

Jul.

Frequency (%)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Jul. 2004 Aug.

Sep.

Oct.

Nov.

Dec.

Jan .2005 Feb.

Mar.

Apr.

May Jun.

Jul.

Aug.

Total length (mm)

Fre quency (%)

0 100

~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100

Ⅳ. 고찰

2004년 5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월별채집및 주별채집을 하여 서식지에 따른 검정망둑, T. obscurus의 생식주기, 산란리듬, 포란수 그리고 월별전장분포를 비 교·조사하였다.

검정망둑의 난소는 좌우 대칭형으로 한쌍이 부레를 사이에 두고 있는 형태로 복강 등쪽의 척추골을 따라 위치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경골어류의 난소는 생 식 수란관의 구조에 따라 나상형(gymnovarian condition)과 낭상형(cystovarian condition)으로 구분하며(Hoar, 1957), 낭상형은 다시 난소의 조직학적 특성에 따 라 낭상형Ⅰ과 낭상형Ⅱ로 구분된다(Takano, 1989). 검정망둑의 난소는 난소강이 난소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있는 낭상형Ⅱ에 속한다. 경골어류의 정소는 조직학 적 구조로 소엽형(Lobule type)과 세관형(tubule type)으로 구분한다(Billard et al., 1982). 세관형의 정소를 가지는 어류로는 불볼락, Sebastes thompsoni (Lee et al., 1998),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 (Lee et al., 2000), 별망둑, Chasmichthys gulosus (Kim et al., 2004)등이 있고 소엽형의 정소를 가지는 어 류로는 자리돔, Chromis notatus (Lee and Lee, 1987)과 쏠종개, Plotosus lineatus (Heo, 2002)등이 있다. 검정망둑 정소의 조직상은 엽상형으로 각각 분리 되어있는 소엽형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전세계 담수와 기수역 그리고 연안등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망둑어류는 전체 경골어류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환경에 대한 적응 력이 우수하지만, 대부분 계절적인 산란을 한다(Nelson, 1984). 일장과 수온은 이 러한 산란시기의 생식활성을 제어하는 요인으로서 깊이 관여하고 있다(Miller,

증가에 의해 결정되고 산란 종료시기는 고수온과 일장이 관여 된다고 생각되나 수온과 일장의 변화가 검정망둑의 생식소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앞으로 많은 연 구가 이루어져야 될것으로 사료된다.

경골어류의 난형성은 성중추(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와 관련된 내분비계 호 르몬의 분비 촉진 또는 억제에 의해 조절된다(Peter et al., 1991). 그리고 성숙과 산란리듬은 광주기와 월주기에 따라 멜라토닌의 분비 활성이 일어나 GnRH와 GTH의 분비에 간접적인 작용을 한다(Nial et al., 2001; Takemura et al., 2004).

산란리듬 파악을 위해 산란시기동안 달주기(신월, 상현, 보름, 하현)에 따라 주별 채집한 결과, 관광을 목적으로 한 야간조명이 설치 운영되고 있는 기수지역에서 는 모든 위상에서 산란한 개체가 관찰된 반면, 조명시설이 없는 조수웅덩이지역 에서는 하현에만 산란한 개체들이 채집되었다. 따라서, 검정망둑의 산란은 달주 기의 리듬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되며 두 지역의 차이는 조명시설에 의한 달주기 교란현상으로 추측된다.

망둑어류의 포란수는 종에 따라 다양하여 Eviota lacrimae는 100개 이하의 알 을 포란하고(Sunobe and Nakazono, 1995), Awaous guamensis는 500,000 이상의 알을 포란하고 있으며(Ha and Kinzie, 1996), Rhinogobius brunneus는 151∼

2,209개(Song and Baek, 2005), Acentrogobius pflaumi는 3,618∼9,733개의 알을 포란한다(Baeck et al., 2004). 또한 포란수는 체중과 전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는 경향을 보이고(Song and Baek, 2005), 같은 종이라도 서식처에 따라 포란 하는 알의 수가 다르다(Bouchereau and Guelorget, 1997). 이 연구에서 기수지역 보다 조수웅덩이지역에 서식하는 검정망둑이 더 많은 알을 포란하고 있었는데 (P<0.05), 이는 서식처에 따른 검정망둑의 번식전략의 하나라 생각된다.

망둑어류는 수명과 산란횟수로 평생 한 번의 산란을 하고 사망하는 일회산란 형(semelparity type)과 일생동안 2회 이상의 산란을 하는 다회산란형(iteroparity type)으로 구분하고 있다(Cole, 1954; Miller, 1979). 다회 산란형은 다시 한 산란

란에 참가하지 못한 개체들은 다음 산란기까지 생존하여 산란한다고 보고되었다 (Gill et al., 1996). Kaneko 등은(1986) 검정망둑은 한 산란시기에 다회산란을 하 며 대부분이 한 번의 산란기를 보낸 후 사망한다고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 생 식소의 괴사는 주 산란시기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기수역 개체군의 전장이 산란시기 이후부터 감소한 반면, 조수웅덩지역의 검정망둑은 전장 111mm 이상의 개체들이 2004년에 비해 11.4∼57.9%의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검정망둑은 abbreviate 다회산란형으로 산란기를 거친 대 부분의 개체들은 높은 번식노력에 의해 사망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조수웅덩이 지역의 전장차이는 2004년 7, 8월에 고수온의 영향으로 산란에 참가하지 못한 개 체들이 이듬해의 산란기까지 생존하여 산란에 참가했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검정망둑의 산란은 외부환경요인들과 밀접하게 연 관되어 산란시기의 개시와 종료의 신호로서 수온의 증가와 일장의 감소 또는 고 수온이 작용한다고 생각되고 산란시기의 산란리듬은 달주기와 관련이 있다고 생 각된다. 또한 고수온등의 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해 생식소발달이 억제되면, 다음 의 산란시기까지 생존하여 산란에 참여한다고 생각되나, 연령형질에 의한 정확한 연령사정과 사육실험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야외조 사와 실험실내 사육실험을 병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Ⅴ. 요약

이 연구는 서식처에 따른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의 생식주기와 산란리 듬을 비교하기위해 기수지역에서 2004년 5월부터 2005년 8월까지 683마리, 조수 웅덩이지역에서 2004년 7월부터 2005년 8월까지 348마리를 채집하였다. 기수지역 의 수온은 11.0∼21.6℃이었다. 조수웅덩이지역의 수온은 2004년 7∼8월에 30.1∼

29.2℃의 범위였으나, 2005년의 수온변화는 기수지역과 유사하여 11.1∼24.5℃로 조사되었다. 기수지역 암컷의 GSI는 수온과 일장이 상승하는 시기에 증가하여 두해 모두 5∼8월에 6.59±0.75이상의 높은 값을 유지하였고 수온과 일장이 하강 하는 시기에 감소하였다. 조수웅덩이지역 암컷의 GSI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여 4∼7월에 6.92±0.79이상의 높은 값을 유지하였으나, 2004년 7월 고수온(30.1℃) 시 기에는 1.67±0.53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기수지역 검정망둑의 생식주기는 미성숙 기(11∼3월), 성숙기(3∼5월), 완숙 및 산란기(5∼8월), 퇴행기(8∼11월)로 조사되 었다. 그리고 조수웅덩이지역 검정망둑의 생식주기는 미성숙기(9∼2월), 성숙기(3 월), 완숙 및 산란기(3∼7월), 퇴행기(7∼8월)로 조사되었다. 달주기에 따른 산란 리듬을 조사한 결과, 야간조명 시설이 있는 기수지역의 검정망둑은 암컷 GSI변 화나 산란이 달주기와 관련이 없었으나 조수웅덩이지역의 검정망둑은 암컷 GSI 가 보름과 하현사이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산란한 개체가 하현시기에만 관 찰되었다. 기수지역과 조수웅덩이 지역의 포란수는 각각 1,214∼12,109와 2,427∼

13,892의 범위였고 포란수는 조수웅덩이지역이 기수지역보다 높았다(P<0.05). 그 리고 두 지역 모두 전장과 체중이 증가할수록 포란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기수지역에서 전장 111 mm 이상인 개체들은 산란시기에만 관찰된 반면 조수웅 덩이지역에서는 2004년 10월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기수지역 과 조수웅덩이지역에서 이러한 개체들의 출현빈도는 각각 0∼12%와 11.4∼57.9%

Ⅵ. 참고문헌

Baeck G.W., J.W. Kim and S.H. Huh. 2004. Maturation and spawning of striped goby (Acentrogobius pflaumi) (Teleostei; Gobiidae) collected in the Gwangyang Bay, Korea. J. Kor. Fish. Soc., 37(3): 226-231.

Billard, R., A. Fostier, C. Weil and B. Breton. 1982. Endocrine control of spermatogenesis in teleost fish. Can. J. Fish. Aquaculture Sci., 39: 65-79.

Bouchereau, J.L. and O. Guelorget. 1997. Comparison of three gobiidae (teleostei) life history strategies over their geographical range.

Oceanologica Acta. 21(3): 503-517.

Breitburg, D. 1987.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the abundance of nest sites:

factors affecting sexual selection. Ecology, 68: 1844-1855

Caputo, V., G. Candi, M. La Mesa and E. Arneri. 2000. Pattern of gonad maturation and the question of semelparity in the paedomorphic goby Aphia minuta. J. Fish Biol., 58: 656-669.

Cole, L.C. 1954. The population consequences of life history phenomena. Quar.

Rev. Biol., 29: 103-137.

Fujita T., W. Hamaura, A. Takemura and K. Takano. 1997.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annual reproductive cycle and tidal spawning 고ythm in the female porcupine fish diodon holocanthus. Fisheries Sci., 63(5):

715-720.

Gibson, R.N. 1992. Tidally-synchronized behaviour in marine fishes. In:

and spawning in the spiny rabbitfish Siganus spinus (Linnaeus) around the Ryukyus. Fisheries Sci., 67: 888-893.

Heo, S.I. 2002. Studies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stripe-eel catfish, Plotosus lineatus(Thunberg). MS. Thesis, Cheju Nat′l. Univ., 27pp. (in Korean)

Hoar, W.S. 1957. The gonad and reproduction. In: Brown, M. E. (ed.), The physiology of fishes. Academic press. New York, pp. 287-321.

Hoque M.M., A. Takemura, M. Matsuyama, S. Matuura and K. Takano. 1999.

Lunar spawning in Siganus canaliculatus. J Fish Biol., 55: 1213-1222.

Kaneko, T. and I. Hanyu. 1985.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Chichibu-goby Tridentiger obscurus. Bull. Japanese Soc. Sci. Fisher., 51(10): 1645-1650.

Kaneko, T., K. Aida and I. Hanyu. 1986. Changes in ovarian activity and fine structure of pituitary gonadotrophs during spawning cycle of the Chichibu-goby Tridentiger obscurus. Bull. Japanese Soc. Sci. Fisher., 52(11): 1923-1928.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Published by Kyo-Hak Publishing Co., Ltd., 442 pp.

Kim, S.Y., C.B. Park, J.W. Kang, Y.C. Choi, S. Rho, H.J. Bawk, H.B. Kim and Y.D. Lee. 2004.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gluttonous goby Chasmichthys gulosus (Guichenot). Korean J. Ichthyol., 16(4): 261-270.

Leatherland, J.F., K.J. Farbridge and T. Boujard. 1992. Lunar and semi-lunar rhythms in fish. In: Rhythms in Fishes (ed. M.A. Ali). Pleunm Press,

gymnauchen. J. Korean Fish. Soc., 33(3): 219-224. (in Korean)

Lee, Y.D. and T.Y. Lee. 1987. Studies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damselfish, Chromis notatus. Bull. Korean Fish. Soc., 20: 506-519. (in Korean)

Lee Y.D., S.H. Park, A. Takemura and K. Takano. 2002.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seasonal reproductive and lunar-related spawning cycles in the female honycomb grouper Epinephelus merra in Okinawan waters.

Fisheries Sci., 68: 872-887.

Lee, Y.J. 1995. On the Gobiid fishes from Cheju Island, Korea. J. Res. Sci.

Educ. Chonju National Univ. Edu., 17: 31-45.

Miller, P.J. 1979. Adaptiveness and implications of small size in teleosts. Zool.

Soc. Lon. Sym., 44: 263-306.

Miller, P.J. 1984. The tokology of gobioid fishes. In Fish Reproduction:

Strategies and Tactics (Potts, G. W. and Wootton, R. J., eds), pp.

118-153 London: Academic Press.

Miller, P.J. 1989. The tokology of gobioid fishes. In Fish Reproduction:

strategies and Tactice (Potts, G.W. and R.J. Wootton,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p. 118-153.

Nelson, J.S. 1984. Fishes of the World (2nd). John Wiley & Sons. 523 pp.

Peter, R.E., V.L. Trudeau and B.D. Sloley. 1991. Brain regulation of reproduction in teleost. Bull. Inst. Zool., Academia Sinsca, Monograph, 16:

89-118.

Rahman M.S., A. Takemura and K. Takano. 2000. Lunar synchronization of testicular development and plasma steroid hormone profiles in the golden rabbitfish. J Fish Biol., 57: 1065-1074.

Perception and possible utilization of moonlight intensity for reproductive ativities in a lunnar-synchronized spawner, the golden rabbitfish. J.

experimental zool., 301A: 844-851.

Takano, K. 1989. Oogenesis and structure of ovary, in "Monographs on aquaculture science vol. 4, Reproductive biology of fish and shellfish: (ed, by Takeshima and Hanyu), Tokyo, pp. 3-3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