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강대훈(2020). 노인장기요양 재가서비스가 이용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박사학위, 국제신학대학교, 서울.

강소영(2013). 노인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영향요인. 석사학위, 경희대학 교, 서울.

강수진과 최스미(2016). 주간호자가 인지하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와 주간호 자의 삶의 질. 성인간호학회지, 28(4), 367-377. doi:10.7475/kjan.2016.

28.4.367

강은정, 신호성, 박혜자, 조민우와 김나연(2006). EQ-5D를 이용한 건강수준 의 가치 평가.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2(2), 19-43.

고숙정과 신성희(2013). 치매지식,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노인부부의 치매예 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적용. 대한간호학회지, 43(2), 276-286. doi:10.4040/jkan.2013.43.2.276

국립특수교육원(2018).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

국민건강보험공단(2021).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 안내. 원주: 국민건강 보험공단

권선중, 김교헌과 이홍석(2006).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 (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77-190.

권영숙(2019).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 절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2), 105-112. doi:10.15207/JKCS.201 9.10.2.105

권중돈(1994). 한국 치매가족의 부양부담 내용과 사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 위, 연세대학교, 서울.

권중돈(2018).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 보건 사회연구, 38(1), 9-36. doi:10.15709/hswr.2018.38.1.9

김경오(2017). 치매환자 보호자들의 고통, 삶, 그리고 신체활동의 의미 탐색:

포토보이스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6), 11-30. doi:10.23949/kjpe.20

17.11.56.6.2

김광수(2017). 치매노인 가족의 부모요양 문제를 둘러싼 가족 기능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보건복지융합연구, 9(2), 49-59.

김미숙과 한상숙(2006). 양,한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삶의 질, 발병 전 환자와의 관계 및 가족지지 비교. 동서간호학연구지, 12(1), 33-42.

김수희와 김세영(2018). 어머니의 감사성향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 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22(2), 319-33 5. doi:10.21459/kccr.2018.22.2.319

김애리, 김정연과 우경미(2021). 치매 환자의 가족 돌봄 제공자가 인식하는 사회적지지: 개념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2(4), 540-554. doi:10.1 2799/jkachn.2021.32.4.540

김양이와 이연숙(2017).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 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2(4), 217-238. d oi:10.21194/kjgsw.72.4.201712.217

김영욱과 변상해(2020).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삶의 질, 스트레 스,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1(2), 105-119. doi:10.22143/

HSS21.11.2.8

김용희와 안정신(2012).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및 노인 부양가족의 스 트레스, 생활만족도 및 서비스만족도. 노인복지연구, 57, 161-189.

김유진, 이혜미와 이승연(2016). 불면증 환자의 스트레스, 심리적 강인성, 사 회적 지지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24(3), 137-150. doi:

10.17547/kjsr.2016.24.3.137

김은영과 여정희(2012). 재가 장기요양노인 가족수발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3(2), 117-126.

김재엽, 곽주연과 최윤희(2018). 주부양자가 인지한 치매환자의 증상정도가 케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지지 및 가족지지의 보호효과 검 증. 한국노년학, 38(4), 1127-1148. doi:10.31888/JKGS.2018.38.4.1127 김정섭(2014). 한국 고등학생의 종교와 성별에 따른 감사성향의 차이. 동북

아 문화연구, 38, 197-208.

김지현(2021).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경로분 석. 박사학위, 충북대학교, 청주.

노지혜와 이민규(2011).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 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159-183.

노현정과 최연희(2013). 노인주간보호서비스 이용 부양자의 삶의 질과 영향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19(1), 1-6.

류위자(2012).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교사의 우울, 행복 및 감사성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경성대학교, 부산.

문리학과 한경아(2019). 생태학적 체계이론으로 본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에 관한 고찰. 예술심리치료연구, 15(1), 47-70. doi:10.32451 /KJOAPS.2019.15.1.047

문종훈과 김예순(2018).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과 일반 성인 사이 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및 삶의 질 비교: 2016년 지역사회건강 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2(2), 57-65.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과 김동기(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 -579.

박보현, 이태진, 이영실, 장수현, 최나혜, 정현강, 등(2019).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 병의 질병 비용과 환자 및 부양자의 삶의 질. 보건의료 기술평가, 7(1), 62-74. doi:10.34161/johta.2019.7.1.007

박세정(2011).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가족유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 계학회지, 16(1), 3-17.

박수진(2015). 재가치매노인 배우자의 삶의 질 예측 모형. 박사학위, 중앙대 학교, 서울.

박순명, 김자옥과 김자숙(2020).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 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 한국 융합학회논문지, 11(9), 351-358. doi:10.15207/JKCS.2020.11.9.351 박월성(2020). 부양부담감이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 박사학위, 영남대학교,

경산.

박정임과 이금진(2012).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2), 33-62.

박주희(2017).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에서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 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1(3), 121-139.

박해경(2013).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대처전략, 안녕감에 관한 연 구. 박사학위, 영남대학교, 경산.

배점모(2015). 사회적 지지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49-70. doi:10.18398/kjlgas.2015.29.4.49

보건복지부(2020a, 2021, 04, 21). 2019 장기요양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 료. Retrieved form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

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3801

보건복지부(2020b, 2021, 5, 13). 제4차(2021∼2025) 치매관리종합계획 보도 자료. Retrieved for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

j sp?PAR_MENU_ID=03&MENU_ID=0319&CONT_SEQ=360099 서문진희와 정여주(2011). 장기요양필요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2(4), 3-30. doi:10.16881/jss.2011.10.22.4.3 서영식과 이윤정(2021). 치매의 증상 정도가 부양가족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비공식적 지지 및 공식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 학, 26(4), 519-551. doi:10.13049/kfwa.2021.26.4.1

성기월(2020).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부양부담감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4(3), 429-443. doi:10.5932/JK PHN.2020.34.3.429

성미라, 이명선, 이동영과 장혜영(2013). 재가 치매 노인환자를 돌보는 가족 원의 극복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43(3), 389-398. doi:10.4040/jkan.20 13.43.3.389

손선희, 박정양과 서경현(2015). 여성 직장인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웰빙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23(4), 215-223. doi:10.17547/kjsr.2

015.23.4.215

순덕기(2012).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복지경영학연구, 1, 167-200.

신인숙(2010). 노부모 부양자들의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이 부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복지융합연구, 1(1), 165-184. doi:10.17547/kjs r.2015.23.4.215

신준섭과 이영분(1999).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7, 241-269.

안종철과 임왕규(2014).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4), 189-210. doi:10.539 2/JKCA.2014.14.04.189

양석자(2018).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건국대학교, 서울.

양정숙(2012).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자가족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한양대학교, 서울.

오명숙(2018).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노인 주·야간 보호서비스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전북대학교, 전주.

오영주, 이명하와 김희선(2020).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과 돌봄행위 간의 관계: 돌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성인간호학회지, 32(2), 186-198. doi:10.7475/kjan.2020.32.2.186

위휘와 이현경(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감사성향, 양육태도가 가 족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4(3), 327-339. doi:10.5 934/kjhe.2015.24.3.327

유문숙, 김용순과 김기숙(2010).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 대처능력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30(4), 1117-1127.

유영숙(2003).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치 매노인 주간보호센터 이용 부양가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대전대학 교, 대전.

윤경아, 손의성과 조주연(2016). 한국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FQOL-D)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보건사회연구, 36(1), 206-232. doi:10.157 09/hswr.2016.36.1.206

윤경아(2017).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부양자의 성장과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 연구, 72(1), 257-282. doi:10.21194/kjgsw.72.1.201703.257

윤순원과 류세앙(2015).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치매지식, 치매행동심리 증상 부담감 및 공감이 치매노인 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 학회지, 17(3), 131-141. doi:10.17079/jkgn.2015.17.3.131

윤정우와 위휘(2016).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죽음불안, 죽음준비, 감사성향 및 삶의 질. 정신간호학회지, 25(3), 207-216. doi:10.12934/jkpmhn.20 16.25.3.207

윤해정과 조붕환(2011).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10(1), 1-17.

이동우와 성수정(2018). 대한민국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1차에서 3차까지.

대한의사협회지, 61(5), 298-303. doi:10.5124/jkma.2018.61.5.298

이민숙과 양소남(2014). 장기요양보호 시부모를 돌보는 며느리의 경험. 노인 복지연구, 64, 53-77.

이석민(201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부양자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실 증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1), 167-194.

이영선과 정구철(2020). 장기요양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삶의 질 간의 관계: 가족탄력성과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5(4), 681-693. doi:10.21097/ksw.2020.11.15.4.681

이영휘, 임지영, 김주연, 조효임과 고국진(2011).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 담과 생활만족도 예측모형. 노인간호학회지, 13(3), 204-214.

이지수, 강민지, 남효정, 김유정, 이옥진과 김기웅(2020). 2019 대한민국 치 매현황(NIDR-1902-0028). 서울: 중앙치매센터.

이지은, 김정호와 김미리혜(2016). 감사일지 작성이 우울 성향이 있는 여대 생의 우울, 주관적 웰빙, 낙관성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1), 19-46. doi:10.17315/kjhp.2016.21.1.002

이창주와 임병우(2011).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전달체계가 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가서비스 이용자 가족의 부양부담을 매개변수 로 해서. 한국정책연구, 11(2), 265-283.

이현주, 이주원과 이준영(2015).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연구: 사 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26(1), 345-367. doi:10.16881/js s.2015.01.26.1.345

이혜경과 김소율(2019).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6(4), 1373-1384. doi:10.12925/jk ocs.2019.36.4.1373

이호용, 현경래와 임진섭(2011). 장기요양제도 발전을 위한 비공식케어 활성 화 방안(ISBN 9788963401539).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 책연구원.

임경희(2010). 감사성향과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력 비교. 교육논총, 47(2), 101-118.

임동영과 박명화(2010). 주간보호시설과 요양시설 치매 환자 가족의 부양 스트레스와 시설간호서비스 만족도. 성인간호학회지, 22(4), 384-394.

임명숙(2016).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노인의 주부양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 가 부양의식과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백석대학교, 천안.

임정하, 조은영, 오연경과 윤원영(2016).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인지적 유연 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7(2), 93-12 0. doi:10.14816/sky.2016.27.2.93

장혜영과 이명선(2013). 부양부담과 가족극복력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적 응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5(6), 725-735. doi:10.7475/kjan.

2012.24.6.725

장혜영과 한송이(2019).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예측요 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0(4), 518-527. doi:10.12799/jkachn.2019.30.4.518 전해숙(2010).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미국 중서부 지역의 초고령 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 구, 47, 51-69.

정미란(2010). 감사성향 증진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만성 정신분열병환 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고려대학교, 서울.

정여주와 서문진희(2011). 장기요양 필요노인 부양자의 시설입소결정 경험 에 관한 근거이론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5(1), 87-117. doi:10.2 2867/kaqsw.2011.5.1.87

정영숙과 김선미(2016). 감사성향, 배우자에 대한 감사표현과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행복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511-536. d oi:10.18205/kpa.2016.21.3.008

정우진과 김태성(2015). 가족내 상호지지와 가족외 지지가 은퇴고령자의 주 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50, 41-68. doi:10.16975 /kjfsw.2015..50.002

정재훈(2013). 치매노인과 일반노인 부양자의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 특수교 육재활과학연구, 52(4), 51-65.

조범훈과 이동영(2016). 치매가족의 치매대상자 재가돌봄의사에 대한 영향 요인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320-331. doi:10.5392/JKCA.2 016.16.02.320

조윤희와 김광숙(2010). 재가 치매노인의 증상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 및 전 문적 도움 요구. 한국노년학, 30(2), 369-383.

최수진(2011).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 전후의 주부양자 부양부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시설급여와 재가급여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대구대 학교, 경산.

최영옥(2019).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 및 발전방향.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7), 845-854. doi:10.35873/ajmahs.2019.9.7.076 통계청(2020, 2021, 3, 3).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통계. Retrieved form h

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한은정, 김도훈, 조정완과 이정면(2012).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지원체계 개선 방안(ISBN 9788963401775).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한은정, 나영균, 이정석과 권진희(2015). 재가 장기요양 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영향요인: 하위차원별 비교. 한국사회정책, 22(2), 61-96. d

oi:10.17000/kspr.22.2.201506.61

한은정, 황라일, 박세영과 이정석(2019). 장기요양 급여이용행태별 가족부양 자 부양특성 비교. 한국사회정책, 26(3), 93-116. doi:10.17000/kspr.26.

3.201909.93

함민주, 이재신과 유두한(2019). 보호자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치매환 자의 인지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주요인 분석. 대한작업 치료학회지, 27(3), 133-144. doi:10.14519/kjot.2019.27.3.10

홍승현(2017). 치매노인가족의 돌봄부담감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백석대학교, 천안.

홍종관(2014). 행복을 위한 감사의 역할에 관한 고찰. 행복한 부자연구, 3 (1), 1-17.

홍주은과 이정섭(2014). 감사(Gratitude)에 대한 개념분석. 정신간호학회지, 23(4), 299-310. doi:10.12934/jkpmhn.2014.23.4.299

황인선(2021). 치매노인가족의 치매지식 및 태도,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전북대학교, 전주.

황혜원(2011).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체계 요인에 관한 연 구. 청소년학연구, 18(3), 1-26.

Arai, Y., Kumamoto, K., Washio, M., Ueda, T., Miura, H., & Kudo, K.

(2004). Factors related to feelings of burden among caregivers looking after impaired elderly in Japan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8(4), 396-402. doi:10.1111/j.1440-1819.2004.01274

Arksey, H., Jackson, K., Croucher, K., Weatherly, H., Golder, S., Hare, P., et al. (2004). Review of respite services and short-term breaks for carers for people with dementia. London: National Health Service.

Aytekin, A., Yilmaz, F., & Kuguoglu, S. (2013). Burnout levels in neonatal intensive care nurses and its effects on their quality of

life.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2), 39-47.

Brodaty, H., Woodward, M., Boundy, K., Ames, D., & Balshaw, R. (201 4).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burden in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8), 756-765. doi:10.1016/j.jagp.2013.05.004

Brownie, S., Horstmanshof, L., & Garbutt, R. (2014). Factors that impact residents’ transi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long-term aged car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1(12), 1654-1666. doi:10.1016/j.ijnurstu.2014.04.011 Clare, L., Nelis, S. M., Quinn, C., Martyr, A., Henderson, C.,

Hindle, J. V., et al. (2014). Improving the experience of dementia and enhancing active life-living well with dementia: Study protoc ol for the IDEAL stud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2 (1), 1-15.

Costa, D. C., Sá, M. J., & Calheiros, J. M. (2012).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rquivos de Neuro-Psiquiatria, 70(2), 108-113. doi:10.1590/S0004-282X2012000200007

Crellin, N. E., Orrell, M., McDermott, O., & Charlesworth, G. (2014).

Self-efficac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ging & Mental Health, 18(8), 954-969. doi:10.1080/13607863.2014.915921

Demirtepe-Saygili, D., & Bozo, Ö. (2011). Perceived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well-being indicators and psychological symptom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7), 1091-1100. doi:10.1177/1359105311399486

Dewar, B., & Nolan, M. (2013). Caring about caring: Developing a model to implement compassionate relationship centred care in an older people care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0(9), 1247-1258. doi:10.1177/1359105311399486

Ducharme, J. K., & Geldmacher, D. S. (2011). Family quality of life in dementia: A qualitative approach to family-identified care priorities.

Quality of Life Research, 20(8), 1331-1335. doi:10.1007/s11136-011-9852-4

Gaugler, J. E., Kane, R. L., Wall, M. M., Menk, J. S., Sarsour, K., Johnston, J. A., et al. (2010). The effects of incident and persistent behavioral problems on change in caregiver burden and nursing home admission of persons with dementia. Medical Care, 48(10), 875-883. doi:10.1097/MLR.0b013e3181ec557b

Gellert, P., Häusler, A., Suhr, R., Gholami, M., Rapp, M., Kuhlmey, A., et al. (2018). Testing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of social support in couples coping with early-stage dementia.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13(1), 1-14. doi:10.1371/journal.pone.0189849

Golics, C. J., Basra, M. K. A., Salek, M. S., & Finlay, A. Y. (2013). The impact of patients’ chronic disease on family quality of life: an experience from 26 special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neral Medicine, 6, 787-798. doi:10.2147/ijgm.s45156

Haberstroh, J., Neumeyer, K., Krause, K., Franzmann, J., & Pantel, J.

(2011). TANDEM: Communication training for informal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Aging & Mental Health, 15(3), 405-413.

doi:10.1080/13607863.2010.536135

Lau, B. H. P., & Cheng, C. (2017). Gratitude and coping among familial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Aging & Mental Health, 21 (4), 445-453. doi:10.1080/13607863.2015.1114588

McCullough, M. E., Emmons, R. A., & Tsang, J. A. (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12-127. doi:10.1037/002 2-3514.82.1.112

Medvedev, O. N., & Landhuis, C. E. (2018). Exploring constructs of well-being,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PeerJ, 6, 1-16. doi:10.77 17/peerj.4903

Piercy, K. W., Fauth, E. B., Norton, M. C., Pfister, R., Corcoran, C. D., Rabins, P. V., et al. (2013). Predictors of dementia caregiver depressive symptoms in a population: The cache county dementia progression study.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8(6), 921-926. doi:10.1093/geronb/gbs116 Rosdinom, R., Zarina, M. Z. N., Zanariah, M. S., Marhani, M., &

Suzaily, W. (2013). Behaviou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cognitive impairment and caregiver burden in patients with dementia. Preventive Medicine, 57, S67-S69. doi:10.1016/j.ypme d.2012.12.025

Rose, K. M., & Williams, I. C. (2011). Family matters: Family quality of life in dementia.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7(6), 3-4.

Shin, S., Huddleson, M., Brown, L. M., Tormala, T., & Gomez, R. G.

(2017). The role of religion i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for famil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Innovation in Aging, 1 (Suppl 1), 139. doi:10.1093/geroni/igx004.559

Sulistyarini, I., Rachmawati, M. A., Saputro, I., & Sari, E. P. (2020).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rough gratitude training. In F. L. Gaol, F. Hutagalung, & C. F. Peng (Eds.), The Social Sciences Empowered (1st ed, pp. 158-162).

Florida: Chemical Rubber Company Press.

Takai, M., Takahashi, M., Iwamitsu, Y., Ando, N., Okazaki, S., Nakajima, K., et al. (2009). The experience of burnout among home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Relations to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9(1), e1-e5. doi:10.1016/j.archger.2008.07.002

Thomas, P., Lalloué, F., Preux, P. M., Hazif-Thomas, C., Pariel, S., Inscale, R., et al. (2006). Dementia patients caregivers quality of life: the PIXE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1(1), 50-56. doi: 10.1002/gps.1422

Tsang, J. A., Schulwitz, A., & Carlisle, R. D. (2012). An experiment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gratitude. Psychology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4(1), 40-55. doi: 10.1037/a0025632.

Turnbull, A. P., Turbiville, V., & Turnbull, H. R. (2000). Evolution of family-professional partnership: Collective empowerment as the model for the early 21' century. In J. P. Shonkoff & S. L. Meisels (Eds.), The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2nd ed, pp. 630-65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

CBO9780511529320.029

Watkins, P. C. (2014). Gratitude and the good life: Toward a psychology of appreciation. New Yor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doi:10.1007/978-94-007-7253-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Global action plan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2017–2025 (ISBN 978-92-4-151348-7).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Zarit, S. H., Reever, K. E., & Bach-Peterson, J. (1980).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The Gerontologist, 20(6), 649-655.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doi:10.1207/s15327752jpa5201_2 Zuna, N., Summers, J. A., Turnbull, A. P., Hu, X., & Xu, S. (2010). The

orizing about family quality of life.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41, 241-278. doi:10.1007/97 8-90-481-9650-0_15

부 록

부록 1. IRB 승인서

부록 2. 연구대상자 모집 공고문

연구 제목 :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감, 사회적 지지, 감사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 목적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의 삶의 질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연구입니다.

2 참여대상

치매를 진단받고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과 함께 거주하는 가족 3. 참여방법

본 연구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구글 설문지 링크를 클릭하여 연구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를 신 중히 읽으신 후 설문지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설문지를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30분 정도입니 다.

4. 참여 시 제공되는 사항

만원 상당의 모바일 상품권 제공 5. 기타

설문내용은 순수한 학문적 목적 외에 절대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개인의 사항은 절대 비밀이 보장됩니다. 참여자의 자유의사에 의하여 철회할 수 있으며,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 습니다.

6. 문의처

본 연구에 문의 사항 있으신 분은 아래의 담당자에게 연락 주십시오.

만일 어느 때라도 연구대상자로서 귀하의 권리에 대한 질문이 있다면 다음의 계명대학교 생명윤 리위원회에 연락하십시오.

계명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전화번호: 053-580-6299 전자우편: kmirb@kmu.ac.kr

연구책임자: 전 수 린rig13@

전화번호: 010-****-**** 이메일: ******@naver.com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