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6-70)

본 연구에서는 Juthathip(2009) 사용했던 수출방정식을 바탕으로 수출대상 국의 실질소득, 위안화 균형실질환율, 위안화 환율의 불균형정도 몇 중국 전 기의 수입물량등 주요한 경제변수가 중국의 수출물량과 간의 존재한 관계에 다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회귀방정식은 식(10)과 같으며, 종속변수로는 중국의 수출물량, 즉 '중국의 수출액 대비 수출단가 비율'(이후 EX로 나타냄)을 사용하였고, 수 출물량은 수출의 성과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중국의 실질적인 수출 창 출 능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는 중국의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제적 요인을 검토한다. 즉 수출대상국의 실질소득, 위안화 환율, 위 안화 환율의 불균형정도 및 중국 전기의 수입물량 등을 고려하였다.

구분 EX RGDP RER MIS IM

평균

9.88 21.97 4.57 2.6 10.15

중위수

10.14 21.94 4.64 2.92 10.36

최대값

11.83 22.26 4.97 3.75 11.85

최소값

6.39 21.44 3.8 -3.06 7.07

표준편차

1.74 0.2 0.25 1.27 1.4

왜도

-0.51 -0.63 -1.38 -2.87 -0.57

첨도

1.96 3.05 4.8 12.99 2.1

Jarque-Bera

3.02

[0.22] 2.23

[0.33] 15.35

[0.00] 188.04

[0.00] 2.98 [0.23]

관측치 수

34 34 34 34 34

각 변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수출대상국의 실질소득은 중국 의 주요 수출대상국의 실질GDP, 즉 ' 각국의 명목GDP 대비 GDP지수'(이후 RGDP로 나타냄)으로 측정하였다. 이는 수출대상국의 실질소득변화에 따라 각 나라의 경제성장이 즉각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따라서 중국의 수출에 큰 영향이 미치는 관계를 고려한 것이다.

<표 9> 변수들의 기초통계량

주: 1. EX는 총수출액(백만 위안) 나눈 수출단가지수의 값, GDP는 20대국의 실질GDP (백만 위안), RER는 실질실효환율지수의 역수의 값, MIS는 환율불균형, IM는 전기 수입물량을 의미하여 총수입액(백만 위안) 나눈 수입단가지수의 값을 의미함.

2. 모든 지수는 2010년 기준으로(2010=100) 계산하였음.

3. 모든 변수는 로그로 전환한 값임.

4. [ ] 안의 수는 p-값을 나타남.

위안화 환율은 4장에서 추정된 위안화 실질환율지수(이후 RER로 나타냄) 로 사용하였고, 위안화 환율의 변화에 따라 위안화의 가치가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수출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안화 환율 불균형은 4

장에서 추정된 위안화 환율의 불균형정도(misalignment)(이후 MIS로 나타냄) 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불균형정도에 따라 중국 정부는 정책 개입하기 때문 에 위안화 환율의 변화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수출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중국 전기의 수입물량은 '전기의 수입액 대비 전기의 수입단가 비율'(이후 IM로 나타냄)로 측정하였고, 이는 중국이 중계무역을 실행하여 수출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총합자료를 사용 한다.

식(21)에서 하첨자 t는 연도; 는 상수항; (j=1,2,3,4)은 추정된 설명변 수들의 계수 값; 은 오차항을 의미한다. 독립변수 계수는 해당 품목의 물동 량이 백만 톤 증가(감소)할 때 이에 대응하는 중국의 수출의 증가(감소)을 의 미한다. 식(21)의 추정방법으로는 최소제곱법(Ordinary Least Square Method: OLS)을 이용하며, White의 방법을 이용한 수정된 분산-공분산 행렬 을 이용해 계산한다.

중국의 수출물량(EX)은 중국의 수출금액을 수출단가로 나누어 로그 값으로 사용하였고, 수출대상국(지역)의 실질소득(real gross domestic product, 이 후 RGDP로 나타냄)은 20개 주요 수출대상국(지역)의 실질GDP의 로그 값을 사용하였다.

위안화 실질환율(RER)은 4.1에서 산출된 실질실효환율의 로그 값을 사용하 였고, 위안화 환율의 불균형(MIS)는 4.1에서 추정된 위안화 균형실질환율과 위안화 실질실효환율 간에 차액의 절대치의 로그 값을 사용하였다. 마지막 중국 전기의 수입물량(IM)은 중국의 수입액을 수입단기지수로 나눈 값의 로 그 값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1983년부터 2016년까지의 연도별 자료를 사용하였다. 중국의 수출입액 및 수출입 단가지수는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수출대상국(지역)의 실질소득은 IMF에서 발표하는 각국의 명목 GDP 및 GDP지수로 산출하였다. 이때 사용된 수출입 단가지수 및 20개 국 가(지역)의 GDP지수는 모두 2010년을 기준으로 하는(2010=100) 자료이다.

중국은 수출대상 국가(지역)별로 살펴보면 다음 <표 10>와 같다. 본 연구 의 분석대상은 2016년 중국이 주요 수출대상국(지역) 중 수출액부문에서 가

순위 국가(지역) 수출액(USD10,000)

1

United States 38,527,101

2

China Hong Kong 28,725,302

3

Japan 12,941,000

4

Korea 9,372,895

5

Germany 6,525,905

/

Vietnam 6,110,413

6

India 5,841,534

7

Netherlands 5,745,937

8

United Kingdom 5,572,079

9

Singapore 4,451,167

10

Taiwan, China 4,024,120

11

Malaysia 3,767,178

12

Russia 3,735,577

/

Australia 3,732,740

13

Thailand 3,719,508

14

Mexico 3,236,742

15

Indonesia 3,212,613

16

United Arab

Emirates 3,007,253

17

Philippines 2,984,267

18

Canada 2,733,885

19

Italy 2,638,835

20

France 2,468,616

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홍콩, 일본, 한국, 독일 등 20개 국가(지 역)는 선정하였다. 이들 국가(지역)들 선정한 이유는 2016년 중국통계연감에 따라 이 20개 국가(지역)들에 대한 중국의 수출액이 중국의 총수출액에서 치 지 비중이 80%를 넘어 충분히 대표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때 20개 국가(지역)중에 1991년에 수련의 붕괴로 인해 중국은 러시아에 수출액이 빠 진 부분이 있어서 이들 국가들에서 제외한다. 또는 베트남의 경우, 해당부분 에 대한 1983년부터 명목GDP/GDP지수 등에 관한 통계가 국제통화기금 등 의 웹사이트에서 얻기 어려워서 제외하였다. 대신에, 다음 순위에 자치한 이 탈리아 및 프랑스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 10> 중국 주요수출대상 국가(지역) 순위 (2016)

자료: 중국 통계연간(2016)

변수 유형 ADF 검정

수준 1차 차분

LRER

절편 -2.97*[0.05] -4.42***[0.00]

추세+절편 -2.05[0.55] -5.32***[0.00]

없음 0.74[0.87] -4.40***[0.00]

GEXP

절편 -0.48[0.88] -3.26**[0.03]

추세+절편 -0.88[0.95] -4.60***[0.00]

없음 0.36[0.78] -3.26***[0.00]

NFA

절편 -1.36[0.59] -2.37[0.16]

추세+절편 -1.27[0.88] -2.44[0.35]

없음 -0.47[0.50] -2.39**[0.02]

OPEN

절편 -1.90[0.33] -3.93***[0.00]

추세+절편 -0.23[0.99] -4.29**[0.01]

없음 -0.12[0.63] -3.95***[0.00]

제5장 실증분석 결과

제1절 균형환율의 추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6-7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