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기효능감과 연주불안의 상관관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4-129)

연주불안의 또 다른 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들 수 있다.개인이 어떤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불안의 수준은 달라진다.여기에서 개인의 인지적 평가와 관련된 요인으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들 수 있다.자기효능 감 이론을 처음 제안한 Bandura(1977)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노력한 결과 로 추구하는 것을 얻을 수 있으리라는 믿음으로써,지각된 자기효능감이 강할수록 사람들은 보다 높은 목적에 도전하고 수행하는 데 더욱 전념한다(Locke &

Latham,1990).그러므로 효능감이 낮은 사람들은 분석적 사고가 점점 더 산만해 지고 기대가 낮아지며 수행의 질은 악화된다(Bandura& Wood,1989).자기효능감 은 사람들의 모든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이러한 자기효능감이 지닌 특 성은 불안과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Hamacheck(1978)은 자기효능감을 설명하면서 사람들은 자기가 도달할 수 없는 높은 기준을 자신에게 부과하며 실수한 것에 대해서 잘 용납하지 못한다고 보았으 며,결과에 대해 충분히 잘 했다거나 완벽하게 했다고 느끼지 못하게 되면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 전에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감정을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그러므로 사회인지이론에서는 잠재적으로 위협적인 사건에 대해 통제할 수 있는 효능감이

불안 각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Bandura(1982)는 효능감과 불안각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에서 사람들은 높은 효능감을 지닌 채 잠재적으로 위협이라고 보는 대상에 대처하는 동안 불안각 성을 거의 보이지 않았음을 밝혔다.그러나 사람들이 자신의 효능감을 믿지 않으 면서 위협에 처했을 때 불안감이 높아졌고 심장박동은 증가했으며,혈압이 상승하 는 현상을 보인다고 지적하였다.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이 통제할 수 있다고 믿으 면 불안은 낮아지는데,그 상황에서 자신이 대처행동을 해낼 수 있을지에 대한 믿 음을 자기효능감이라 하였다.따라서 자기효능감의 강도에 따라 불안도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조영미(2003)의 “중학생의 완벽주의 및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에 의하면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시험불안에 대한 유의 미한 설명력을 갖지 못하였으나,이와는 다르게 홍혜영(1995),문경(1997)은 완벽주 의를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비교한 결과 적응적이거나 부적응이 될 수도 있다 고 하였다.

위의 연구들은 완벽주의 및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 구들이 많고,발표불안에 관한 연구들도 있지만 대부분이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치우치고 있다.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 인에 대한 연구에서도 조절변인의 효과를 밝히는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자기효능 감의 선행연구들을 종합해 보면,자신의 능력을 믿는 자기효능감은 불안을 조절하 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다.따라서 연주자의 연주불안도 자기효능감의 강도에 따라 높아지거나 낮아짐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위의 여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국악연주자들의 완벽주의 성 향과 자기효능감 및 연주불안에 관련되어 있는 여러 요인들의 영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이를 토대로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완벽주의 성향을 독립변인으로,연주불안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경변인으로 성별과 전공을 설정하였으며,독립

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에 개입하는 조절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을 설정하였다.이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국악전공자의 배경적 특성,완벽주의 성향과 연주불안 의 관계에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 연구 모형은 [그림 2-5]와 같다.

[그림 2-5] 연주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적 특성,완벽주의 및 자기효능감의 개념적 모형

제3장 연구방법

이 장에서는 국악전공자의 연주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적 특성,완벽주의 성 향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연구도구,연구 절차,자료처리 순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제1절 연구대상

연구 목적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악전공자 중 이론과 작곡전공을 제외한 국악연주자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설문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학력(경력),지역,소속 기관,국악 전공분야를 고려하여 고루 분포되도록 하였다.

지역적으로는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 지역(서울,경기,충남,광주,전남,전북 지 역)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예술고등학교 학생은 실기 전형 후 입학이 허가되므로 연주경력이 짧은 국악연주 자로서 포함하였고,대학생 역시 실기 전형 후 입학이 허가되므로 연주경력이 중간 정도인 국악연주자로 분류하였으며,국악 연주 단체에 소속되어 있거나 프리랜서로 일하는 전문 연주인들은 경력이 많은 국악연주자로 분류하여 포함하였다.이처럼 연주경력을 중심으로 3개의 집단 711명(국악과가 설치되어 있는 예술고등학교 3개 교의 고등학생 집단 245명,국악과가 설치되어 있는 4년제 대학 4개교와 2년제 대 학 1개교의 대학생 집단 219명,그리고 6개의 국악 연주단체 단원 146명과 국악 관 련 기관에서 강사나 연주가로 활동 중인 5개 지역의 프리랜서 101명의 대학교 졸업 이상 집단 247명)의 인원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표집하였다.또한 국악연주자의 전 공을 중심으로 4개의 집단(성악 147명,현악 240명,관악 228명,타악 96명)의 인원 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표집하였다.

이처럼 집단과 전공을 고려하여 배부한 총 786부의 설문지 중에서 752부가 회수

되었으며(95.6%),이 중 반응이 부실한 41명(5.45%)의 자료를 제외한 711명(94.5%) 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연구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의 성별,전공별 인원은

<표 3-1>과 같다.

<표 3-1> 연구 분석 대상의 성별,전공별 인원 (N=711)

인원/비율 성별 전공별

남 여 성악 현악 관악 타악

인원 184 527 147 240 228 96 비율(%) 25.8 74.1 20.6 33.7 32.0 13.5

제2절 연구도구

1.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다차원적 완벽주의를 측정하기 위해서 Hewitt과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 의 척도(MultidimensionalPerfectionism Scale:MPS)를 한기연(1993)이 수정한 것 을 사용하였다.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는 자기지향 완벽주의(selforiented perfectionism),타인지향 완벽주의(other oriented perfectionism),그리고 사회적 완벽주의(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 는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다음 면 <표 3-2>에서 밝힌 것과 같이 이 척도는 총 45문항으로 3개의 하위 요 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각 하위 요인은 15문항씩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7점)’의 7점 척도를 사용한다.이 척도에

서 높은 점수는 완벽주의의 성향이 높음을 의미하며,각 하위 척도의 높은 점수도 측정된 요인의 완벽주의 성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척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는 .85이고,이 연구에서 나타난 신뢰도는 .86이었다.

<표 3-2>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 요인 문항 번호 문항 수 신뢰도 (%)

Hewitt등 이 연구 자기지향

완벽주의

1,6,8*,12*,14,15,17,20,

23,28,32,34*,36*,40,42 15 .82 .87 타인지향

완벽주의

2*,3*,4*,7,10*,16,19*,22,

24*,26,27,29,38*,43*,45* 15 .86 .63 사회적

완벽주의

5,9*,11,13,18,21*,25,30*,

31,33,35,37*,39,41,44* 15 .87 .64

전체 45 .85 .86

*역 채점 문항

2.자기효능감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는 Bandura의 이론을 근거로 김아영․차정은(1996)이 만들고 김 아영(1997)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문항구성은 다음 면 <표 3-3>과 같이 자신 감,자기조절효능감,과제난이선호도 등 3개 하위영역을 포함하여 총 24문항으로 되어 있다.

이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Likert식 5점 척도 를 사용하여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이 척도의 신뢰도 계수(Cronbach ⍺)는 .76이 고,이 연구에서 나타난 신뢰도는 .81이었다.

<표 3-3>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 요인 문항 번호 문항 수 신뢰도 (%)

Bandura 이 연구 자신감 2*,6*,8,12*,15*,16*,19* 7 .79 .77 자기조절효능감 1,3,4,5,79,10,14,18,21,23,24 12 .73 .86 과제난이선호도 11,13,17*,20,22 5 .74 .66

전체 24 .76 .81

*역 채점 문항

3.연주불안 척도

이 척도는 Osborne과 Kenny(2005)가 개발한 청소년용 음악 연주불안 척도로서, 12세에서 19세 사이의 음악에 재능이 있는 청소년 381명을 표본으로 표준화한 청 소년용 음악 연주불안(MusicalPerformance Anxiety Inventory forAdolescents: MPAI-A)척도로서 개발되었고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이 척도는 다음 면 <표 3-4>와 같이 3개의 하위요인으로 신체적,인지적 증상, 독주와 합주에서의 불안정도,연주의 평가(이하 신체인지 증상,독주합주 불안,연 주평가로 줄임)총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7점)’까지의 7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이 척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는 .91이고,이 연구에서 나타난 신뢰도는 .87이었다.

<표 3-4> 연주불안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 요인 문항 번호 문항

신뢰도

Osborne등 이 연구 신체적,인지적 증상 1,2,4,5,6,9,12,15 8

.91

.84

독주와 합주에서의 불안정도 3,11,14 3 .57

연주의 평가 7,8,10,13 4 .54

전체 15 .87

다음 면 <표 3-5>에 제시된 MPAI-A는 국내에서 김영신(2008)의 예술고교 음 악과 학생들의 연주불안 조사 연구를 위해 최초로 사용하였고 현재까지는 유일하 다.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및 성인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표준화된 연주불안도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번안하여 청소년 및 성인 대상으로 두 개의 문항(11,13)을 수정하여 도구로 사용하였다.

<표 3-5> 음악과 연주에 대해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MPAI-A)

번호 내용 비고

1 BeforeIperform,Igetbutterfliesinmystomach 연주하기 전에 가슴이 두근거린다

2 Ioftenworryaboutmyabilitytoperform 가끔 연주 능력에 대해 걱정한다

Iwouldratherplayonmyown,thaninfrontofother people 3 다른 사람들 앞에서 연주하는 것보다 혼자서 연주하는 게 더 편하다

4 BeforeIperform,Itrembleorshake 연주하기 전에 떨리거나 안절부절 못하게 된다

5 WhenIperform infrontofanaudience,Iam afraidofmakingmistakes 청중들 앞에서 연주할 때 실수할까봐 두렵다

6 WhenIperform infrontofanaudience,myheartbeatsveryfast 청중들 앞에서 연주할 때 심장이 매우 빨리 뛴다

7

When Iperform in frontofan audience,Ifind ithard toconcentrateon mymusic

청중들 앞에서 연주할 때 음악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8 IfImakeamistakeduringaperformance,Iusuallypanic 연주 중 실수를 하게 되면 공황상태에 빠진다

9 WhenIperform infrontofanaudienceIgetsweatyhands 청중들 앞에서 연주할 때 손에 땀이 난다

10 WhenIfinishperforming,Iusuallyfeelhappywithmyperformance 연주를 마치면 보통 나의 연주에 대해 만족하게 생각한다

11

Itrytoavoidplayingonmyownataschoolconcert

학교 연주회에서 혼자 연주하는 연주회를 피하려고 노력한다 수정 전

혼자 연주하는 연주회를 피하려고 노력한다 수정 후

12 JustbeforeIperform,Ifeelnervous 연주하기 직전에 긴장이 된다

13

Iworrythatmyparentsorteachermightnotlikemyperformance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나의 연주를 좋아하지 않을까봐 걱정이 된다 수정 전 부모님이나 선생님,동료가 나의 연주를 좋아하지 않을까봐 걱정이 된다 수정 후 14 Iwouldratherplayinagrouporensemble,thanonmyown

혼자서 연주하는 것보다 단체나 앙상블로 연주하는 것이 더 좋다 15 MymusclesfeeltensewhenIperform

연주할 때 근육이 경직된다

제3절 연구절차

설문지는 두 가지 방법으로 배부되고 회수되었다.연구자가 설문 받을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을 배부하고 설문지 작성 종료 후 바로 회수하는 방법과 연구 자에게 교육을 받은 연구원을 통해 설문을 완성한 후 우편으로 회수하는 방법을 병용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성실한 응답을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단체나 학교를 방문하기 전 에 교사 및 단체장에게 전화로 미리 연구 취지를 설명하고 양해를 구한 뒤 요청하 고자 한 예상인원의 가능성을 파악한 후 방문하였다.고등학교는 교사가 직접 참관 하였고 대학교는 학과 조교의 참관 아래 휴식 시간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2012년 11월 12일부터 12월 10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지역 은 연구자와 연관된 학교와 단체,프리랜서 위주로 대상을 표집함으로써 설문지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와 회수율을 높이고자 하였다.이는 설문지 회수율 및 성실한 응답률이 이를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1.예비 연구

이 연구를 실시하기 전에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자기효능감 척도,음악 연주불안 척도(MPAI-A)의 적절성과 실시상의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예비검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고등학교,대학교,전 문연주가를 대상으로 하여 성별,분석 대상 수,전공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분석 대상 수는 고등학교 20명,대학교 20명,전문연주가 20명,총 60명(대상별 남․여 각 10명),전공분야는 성악 15명,현악 15명,관악 15명,타악 15명으로 선정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4-12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