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질해빈과 자갈해빈의 태풍에 대한 지형반응 차이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8)

6. 결론

6.2 사질해빈과 자갈해빈의 태풍에 대한 지형반응 차이

사질해빈의 경우, 태풍 내습 시 대부분의 퇴적물은 바다로 이동하여 퇴적되 었으며, 해빈의 침식이 확인되었다. 이후 평상상태에서 바다로 이동하였던 퇴적 물이 다시 해빈으로 이동하여 퇴적되며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해 운대 해빈의 경우 2주 까지 매우 빠른 회복속도를 보이며 그 이후 해빈 회복속 도가 점차 둔화되었다.

한편 자갈해빈은 태풍 내습 시 퇴적물이 일부 육상 방향으로 이동하여 재퇴 적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태풍의 강도에 따라 해빈의 하부 범과 상부 범이 침식되어 해빈의 경사가 완만해 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후 자갈해빈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복되어 하부 범은 태풍 내습 후 3일 만에 모두 회복된 모습을 보였고, 이후 하부 범이 점차 후퇴하여 상부 범을 회복시키며 전방에서는 새로 운 하부 범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질해빈과 자갈해빈은 태풍 내습 시 해빈이 침식되는 것은 동일하나, 그 후 사질해빈과 자갈해빈은 회복기간의 차이가 발생했다.

참고문헌

강태순, 김종법, 김가야, 김종규, 황창수, 2017, 비디오 영상 기반의 해운대 해 빈 변동 특성. 한국해양공학회지, 31(1), pp.60-68.

국립해양조사원, 2016, 태풍분석보고서(2016. vol. 1). 54 p.

국가태풍센터, 2018, 연도별 태풍발생 및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현황 (1951-2017년). http://typ.kma.go.kr/TYPHOON/statistics/statistics_02_1.jsp 김민수, 윤한삼, 김경회, 2019, 기후변화에 따른 부산 연안 장기 해수면 변화량

비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31(1), pp.83-93.

김석윤, 정주봉, 이병관, 2012, 해운대 연안 표층퇴적물 분포의 계절변화와 이 동. 바다, 17(1), pp.16-24.

도기덕, 유제선, 이희준, 도종대, 진재율, 2015, 해운대의 파랑 및 흐름 구조의 특성파악을 위한 현장 관측실험.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7(4), pp.228-237.

서영교, 이광수, 김대철, 이희일, 2011,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를 이용한 부산 수 영만의 퇴적층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4(2), pp.81-92.

설동일, 2010, 지구 온난화와 태풍의 변화 경향. 한국항해항만학회 지, 34(6), pp.453-458.

유동근, 김성필, 이치원, 박수철, 2011, 한국 남동해역 홀로세 해침퇴적층의 탄 성파층서 및 퇴적역사. 자원환경지질, 44(4), pp.303-312.

윤현호, 2011, 충남 태안군 신두리 조간대의 퇴적학적 특성. 석사학위논문. 전남 대학교

이연규, 신현옥, 이종섭, 박일흠, 최정민, 2005, 태풍에 의한 해빈 퇴적물 조성 및 지형 변화(동해, 나아해빈).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8(3), pp.122-133.

이영윤, 장태수, 2019, 2016년 태풍 ‘차바(Chaba)’ 내습 전후의 해운대 해빈

의 침식과 회복 과정. 한국지구과학회지, 40(1), pp.37-45.

이재원, 김용석, 이인수, 2009, 해운대 해안의 시기별 해안선 변화량 분석. 대한 토목학회논문집, 29(5D), pp.655-662.

지광훈, 최성길, 장동호, 이성순, 2008, 위성에서본 한국의 해안지형. 한국지질 자원연구원, 195p.

최강희, 공학양, 정성혁, 박성민, 이수용, 2016, 드론 기반 측량을 활용한 강릉 하시동 사빈지형 변화 탐지. 한국지형학회지, 23(4), pp.101-112.

최강희, 정필모, 김윤미, 서민환, 2012, 태풍의 통과로 인한 해안사구 지형의 침 식과 회복. 한국지형학회지, 19(1), pp.17-27.

최경아, 이임평, 2016, 무인항공측량을 통한 해안 지형 모델링의 정확도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2(6), pp.657-672.

한민, 2013, 울산 강동 자갈 해빈의 단면 변화 및 퇴적상. 석사학위논문. 서울대 학교

한민, 2018, 한반도 자갈 해빈의 지형 특성 및 퇴적물 이동 추적 연구.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함계운, 김진홍, 장대정, 2002, 학동 해빈의 침식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해 안·해양공학회논문집, 14(1), pp.65-75.

해양수산부, 2016, 해운대 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 모니터링용역(4차) 보고서.

261 p.

Adams, J., 1979, Gravel size analysis from photograph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195(10), pp.1247-1255.

Austin, M.J., Masselink, G., 2006, Observations of morphological change and sediment transport on a steep gravel beach. Marine Geology, 229(1-2), pp.59-77.

Baek, Y.S., Lee, H.J., Lee, S.H., Shin D.H., Late Holocene shallow marine sand

sheet in the Haeundae coast, Korea. Ocean Science Journal, 54(2), pp.271-278.

Church, M.A., McLean, D.G., Wolcott, J.F., 1987, River bed gravels: sampling and analysis. Sediment Transport in Gravel-Bed Rivers, pp.43-78.

Davidson-Arnott, R.G.D., 2005, Conceptual model of the effects of sea level rise on sandy coast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1(6 (216)), pp.1166-1172.

FitzGerald, D.M., Fenster, M.S., Argow, B.A., Buynevich, I.V., 2008, Coastal impacts due to sea-level rise. Annual Review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36, pp.601-647.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27(1), pp.3-26.

Houser, C. and Hamilton, S., 2009, Sensitivity of post-hurricane beach and dune recovery to event frequency.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34(5), pp.613-62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151p.

Jeon, D, 2008, Relative Sea-level Chang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Ocean and Polar Research, 30(4), pp.373-378.

Kellerhals, R., Bray, D.I., 1971, Sampling procedures for coarse fluvial sediment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97(8), pp.1165–1179.

Lee H.J, Do J.D., Kim S.S, Lim H.S., 2018, Sands escaping Haeundae Beach.

Journal of Coastal Research, 85, pp.1006–1010.

Lee, H.J., Do, J.D., Kim, S.S., Park, W.K., Jun, K., 2016, Haeundae Beach in Korea: Seasonal-to-decadal wave statistics and impulsive beach responses to typhoons. Ocean Science Journal, 51(4), pp.681-694.

Masselink, G., Hughes, M.G., Knight, J., 2014, Introduction to coastal processes and geomorphology. Second edition. Routledge, New York, 432 p.

Matthews, E.R., 1980, Observations of beach gravel transport, Wellington Harbour entrance,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Geology and Geophysics, 23(2), pp.209-222.

McEwan, I.K., Sheen, T.M., Cunningham, G.J., Allen, A.R., 2000, Estimating the size composition of sediment surfaces through image analysis.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Water and Maritime Engineering, 142(4), pp.189-195.

Morton, R.A., Paine, J.G., Gilbeaut, J.C., 1994, Stages and durations of post-storm beach recovery, southeastern Texas Coast, US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0(4), pp.884-908.

Orford, J.D., 1975, Discrimination of particle zonation on a pebble beach.

Sedimentology, 22(3), pp.441-463.

Orford, J.D., Forbes, D.L., Jennings, S.C., 2002, Organisational controls, typologies and time scales of paraglacial gravel-dominated coastal systems. Geomorphology, 48(1-3), pp.51-85.

Park, S.C., Yoo, D.G., Lee, K.W., Lee, H.H., 1999, Accumulation of recent muds associated with coastal circulations, southeastern Korea Sea (Korea Strait). Continental Shelf Research, 19(5), pp.589-608.

Uda, T., 2010, Japan’s beach erosion: reality and future measures. World Scientific, 548p.

Seibold, E. and Berger, W., 2017, The Sea Floor. Springer Verlag, 268 p.

Wang, P., Kirby, J.H., Haber, J.D., Horwitz, M.H., Knorr, P.O., Krock, J.R., 2006, Morph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impacts of hurricane Ivan and immediate poststorm beach recovery along the Northwestern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