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4

필수유형 공략하기 103~112쪽

따라서 축구공의 꼭짓점의 개수와 모서리의 개수의 합은

60+90=150

150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꼭짓점의 개수 구하기 40`%

❷ 모서리의 개수 구하기 50`%

❸ 꼭짓점의 개수와 모서리의 개수의 합 구하기 10`%

455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하는 단면의 넓이는 회전 시키기 전의 평면도형의 넓이의 2배 이므로

[;2!;_(8+4)_5+4_9]_2

=(30+36)_2

=132(cmÛ`) 132`cmÛ``

456

① 원뿔의 전개도에서 옆면은 부채꼴이다.

② 원뿔대는 사다리꼴을 1회전 시켜 얻어진 회전체이다.

③ 원기둥을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모양은 직사각형이다.

④ 원뿔을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모두 원이지 만 크기가 다르므로 합동이 아니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457

458

점 A에서 출발하여 원뿔을 한 바퀴 돌아서 제자리로 돌아오는 최단 거리는 전개도에서 선분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④이다. l

4`cm

9`cm 5`cm 8`cm

l l

465

주어진 직사각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켰을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쪽 그 림과 같은 원기둥이므로

(겉넓이) =(밑넓이)_2+(옆넓이)

=(p_3Û`)_2+2p_3_10

=18p+60p

=78p(cmÛ`)

466

(겉넓이) =(밑넓이)_2+(옆넓이)

=(p_5Û`)_2+2p_5_6

=50p+60p

=110p(cmÛ`)

467

(겉넓이) =(밑넓이)_2+(옆넓이)

=(p_4Û`)_2+2p_4_h

=32p+8ph(cmÛ`) 겉넓이가 80p`cmÛ`이므로

32p+8ph=80p, 8ph=48p  ∴ h=6 6

468

⑴ (밑넓이)=p_2Û`_;4!;=p(cmÛ`)

⑵ (옆넓이)={2+2+2p_2_;4!;}_4 =(4+p)_4

=16+4p(cmÛ`)

⑶ (겉넓이) =(밑넓이)_2+(옆넓이)

=p_2+(16+4p)

=16+6p(cmÛ`)

⑴ p`cmÛ` ⑵ (16+4p)`cmÛ` ⑶ (16+6p)`cmÛ``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밑넓이 구하기 30`%

❷ 옆넓이 구하기 50`%

❸ 겉넓이 구하기 20`%

469

(밑넓이) =(큰 원의 넓이)-(작은 원의 넓이)

=p_4Û`-p_3Û``

=16p-9p

=7p(cmÛ`)

(옆넓이) =(바깥쪽의 넓이)+(안쪽의 넓이)

=2p_4_12+2p_3_12

=96p+72p

=168p(cmÛ`)

10`cm

3`cm

∴ (겉넓이) =(밑넓이)_2+(옆넓이)

=7p_2+168p

=182p(cmÛ`)

470

(부피)=(밑넓이)_(높이) =[;2!;_(5+3)_4]_10

=160(cmÜ`)

471

⑴ (밑넓이)=;2!;_(6+8)_4+;2!;_8_5

=28+20=48(cmÛ`)

⑵ (부피) =(밑넓이)_(높이)

=48_11=528(cmÜ`)

⑴ 48`cmÛ`` ⑵ 528`cmÜ`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밑넓이 구하기 50`%

❷ 부피 구하기 50`%

472

(부피)=(밑넓이)_(높이) ={;2!;_6_4}_a =12a(cmÜ`) 부피가 144`cmÜ`이므로

12a=144 ∴ a=12 12

473

(부피) =(큰 각기둥의 부피)-(작은 각기둥의 부피)

=5_5_5-2_2_5

=125-20

=105(cmÜ`)

다른 풀이 (부피) =(밑넓이)_(높이)

=(5_5-2_2)_5

=21_5

=105(cmÜ`)

474

주어진 직사각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 여 1회전 시켰을 때 생기는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기둥이므로

(부피) =(밑넓이)_(높이)

=(p_3Û`)_8

=72p(cmÜ`)

8`cm

3`cm

475

(부피) =(밑넓이)_(높이)

=(p_5Û`)_h=25ph(cmÜ`) 부피가 200p`cmÜ`이므로

25ph=200p  ∴ h=8

476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2pr=6p  ∴ r=3

따라서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cm이므로 ❶ (부피) =(밑넓이)_(높이)

=(p_3Û`)_7

=63p(cmÜ`)

63p`cmÜ``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40`%

❷ 부피 구하기 60`%

477

(부피)=(밑넓이)_(높이)

={p_4Û`_;3!6@0);}_6=32p(cmÜ`)

478

(부피)=(밑넓이)_(높이) ={p_6Û`_;3@6&0);}_h =27ph(cmÜ`) 부피가 270p`cmÜ`이므로

27ph=270p ∴ h=10 10

479

(부피) =(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p_5Û`_6-p_2Û`_6

=150p-24p=126p(cmÜ`) 126p`cmÜ`

다른 풀이 (부피) =(밑넓이)_(높이)

=(p_5Û`-p_2Û`)_6

=21p_6=126p(cmÜ`)

480

주어진 직사각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켰을 때 생기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부피) =(큰 원기둥의 부피)

-(작은 원기둥의 부피) =p_4Û`_8-p_1Û`_8

=128p-8p

=120p(cmÜ`) 120p`cmÜ`

1`cm 8`cm 4`cm

481

(겉넓이)=(밑넓이)+(옆넓이) =10_10+{;2!;_10_12}_4 =100+240

=340(cmÛ`)

482

(겉넓이)=(밑넓이)+(옆넓이) =9_9+{;2!;_9_x}_4 =81+18x(cmÛ`) 겉넓이가 261`cmÛ`이므로

81+18x=261, 18x=180 ∴ x=10

483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전개도의 넓이와 같으므로 (겉넓이)=(밑넓이)+(옆넓이)

=5_5+{;2!;_5_x}_4 =25+10x(cmÛ`) 겉넓이가 75`cmÛ`이므로

25+10x=75, 10x=50 ∴ x=5 5

484

밑면인 원의 지름의 길이가 8`cm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4`cm 이다.

∴ (겉넓이) =(밑넓이)+(옆넓이)

=p_4Û`+p_4_9

=16p+36p

=52p(cmÛ`) 52p`cmÛ``

485

원뿔의 모선의 길이를 l`cm라고 하면 (겉넓이) =(밑넓이)+(옆넓이)

=p_3Û`+p_3_l

=9p+3pl(cmÛ`) 겉넓이가 39p`cmÛ`이므로

9p+3pl=39p, 3pl=30p  ∴ l=10

따라서 모선의 길이는 10`cm이다. 10`cm

486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2pr=10p  ∴ r=5

∴ (겉넓이) =(밑넓이)+(옆넓이)

=p_5Û`+p_5_10

=25p+50p

=75p(cmÛ`)

487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l`cm라고 하면 2p_l_;3!6*0);=12p  

∴ l=12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2p_r=12p  

∴ r=6

∴ (겉넓이) =p_6Û`+p_6_12

=36p+72p

=108p(cmÛ`)

488

⑴ 원뿔의 전개도에서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밑면인 원의 둘레 의 길이와 같으므로

2p_15_ 120360 =2pr

10p=2pr ∴ r=5

⑵ (겉넓이) =(밑넓이)+(옆넓이)

=p_5Û`+p_5_15

=25p+75p

=100p(cmÛ`)

⑴ 5 ⑵ 100p`cmÛ`

단계 채점 기준 배점

r의 값 구하기 50`%

❷ 겉넓이 구하기 50`%

489

⑴ (겉넓이) =(밑넓이)+(옆넓이)

=p_5Û`+p_5_12

=25p+60p

=85p(cmÛ`)

⑵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와 같으므로   2p_12_ x360 =2p_5

15x p=10p ∴ x=150 ⑴ 85p`cmÛ`` ⑵ 150

490

(부피)=;3!;_5Û`_6=50(cmÜ`) 50`cmÜ`

491

(부피)=;3!;_(10_a)_12 =40a(cmÜ`) 부피가 320`cmÜ`이므로

40a=320 ∴ a=8

492

(부피)=;3!;_{;2!;_6_6}_6=36(cmÜ`) 36`cmÜ``

493

다음 그림에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12`cm 8`cm

-10`cm

6`cm 8`cm

5`cm

(직육면체의 부피)-(삼각뿔의 부피)

=10_12_8-;3!;_{;2!;_5_8}_6

=960-40

=920(cmÜ`)

494

남아 있는 물의 부피는 오른쪽 그림 의 삼각뿔의 부피와 같으므로 (부피)=;3!;_{;2!;_12_20}_5

=200(cmÜ`)

495

만들어지는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삼각뿔이므로

(부피)=;3!;_{;2!;_6_6}_12 =72(cmÜ`)

72`cmÜ``

496

(부피)=;3!;_(p_5Û`)_6=50p(cmÜ`) 50p`cmÜ``

497

(부피)=(위쪽 원뿔의 부피)+(아래쪽 원뿔의 부피) =;3!;_(p_3Û`)_6+;3!;_(p_3Û`)_9 =18p+27p

=45p(cmÜ`)

498

3!;_(p_6Û`)_8=p_4Û`_h이므로

96p=16ph  ∴ h=6 6

5`cm 20`cm 12`cm

A

E

F B{C,D}

12`cm

6`cm 6`cm

499

만들어지는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입체도형이므로

(부피)

=(원기둥의 부피)-(원뿔의 부피)

=p_7Û`_12-;3!;_(p_7Û`)_12

=588p-196p

=392p(cmÜ`)

500

(그릇의 부피)=;3!;_(p_6Û`)_9=108p(cmÜ`) ❶ 따라서 빈 그릇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8pÖ2p=54(분)

54분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그릇의 부피 구하기 50`%

❷ 물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 구하기 50`%

501

주어진 원뿔대의 전개도는 다음 그림과 같다.

5`cm

6`cm 10`cm

3`cm

∴ (겉넓이) =(밑넓이의 합)+(옆넓이)

=(p_3Û`+p_6Û`)+(p_6_10-p_3_5) =45p+45p=90p(cmÛ`) 90p`cmÛ``

502

(겉넓이) =(밑넓이의 합)+(옆넓이)

=(4_4+10_10)+[;2!;_(4+10)_7]_4 =116+196

=312(cmÛ`) 312`cmÛ`

503

만들어지는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 은 원뿔대이므로

(겉넓이)=(밑넓이의 합)+(옆넓이) =(p_2Û`+p_6Û`)

+(p_6_12-p_2_4) =40p+64p

=104p(cmÛ`) 104p`cmÛ``

12`cm

7`cm

12`cm 2`cm

6`cm 4`cm

504

(부피)=(큰 뿔의 부피)-(작은 뿔의 부피) =;3!;_(p_9Û`)_12-;3!;_(p_3Û`)_4 =324p-12p

=312p(cmÜ`)

505

(부피)=(큰 뿔의 부피)-(작은 뿔의 부피) =;3!;_(4_6)_8-;3!;_(2_3)_4

=64-8=56(cmÜ`)

506

만들어지는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뿔대이므로

(부피)

=(큰 뿔의 부피)-(작은 뿔의 부피)

=;3!;_(p_10Û`)_12

-;3!;_(p_5Û`)_6

=400p-50p

=350p(cmÜ`) 350p`cmÜ``

507

(겉넓이)=(구의 겉넓이)_;2!;+(원의 넓이) =(4p_7Û`)_;2!;+p_7Û``

=98p+49p

=147p(cmÛ`) 147p`cmÛ`

508

단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prÛ``=4p  ∴ r=2(∵ r>0)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2`cm인 구의 겉넓이는

4p_2Û`=16p(cmÛ`) 16p`cmÛ``

509

공의 반지름의 길이는 4`cm이므로 (한 조각의 넓이)=;2!;_(공의 겉넓이) =;2!;_(4p_4Û`)

=32p(cmÛ`)

510

잘라 낸 면의 넓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6`cm인 원의 넓이와 같 으므로

6`cm 6`cm

5`cm

10`cm

(겉넓이)=(구의 겉넓이)_;4#;+(잘라 낸 면의 넓이) =(4p_6Û`)_;4#;+p_6Û``

=108p+36p

=144p(cmÛ`) 144p`cmÛ``

511

주어진 입체도형은 구의 ;8!;을 잘라 낸 것이므로

(부피)={;3$;p_6Ü`}_;8&;=252p(cmÜ`) 252p`cmÜ``

512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4prÛ`=36p, rÛ`=9  ∴ r=3(∵ r>0)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3`cm인 구의 부피는

;3$;p_3Ü`=36p(cmÜ`)

513

(부피)=(반구의 부피)+(원뿔의 부피) ={;3$;p_6Ü`}_;2!;+;3!;_(p_6Û`)_8 =144p+96p

=240p(cmÜ`)

514

반지름의 길이가 3`cm인 쇠구슬의 부피는

;3$;p_3Ü`=36p(cmÜ`)

반지름의 길이가 6`cm인 쇠구슬의 부피는

;3$;p_6Ü`=288p(cmÜ`)

따라서 필요한 쇠구슬의 개수는

288pÖ36p=8

8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반지름의 길이가 3`cm인 쇠구슬의 부피 구하기 40`%

❷ 반지름의 길이가 6`cm인 쇠구슬의 부피 구하기 40`%

❸ 필요한 쇠구슬의 개수 구하기 20`%

515

만들어지는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안이 비어 있는 반구와 같으므로

(부피)

=(반구의 부피)-(원뿔의 부피)

={;3$;p_3Ü`}_;2!;-;3!;_(p_3Û`)_3

=18p-9p

=9p(cmÜ`) 9p`cmÜ`

3`cm 3`cm

516

(원기둥의 부피)=prÛ`_2r=2prÜ``

(구의 부피)=;3$;prÜ``

(원뿔의 부피)=;3!;_prÛ`_2r=;3@;prÜ`

∴ (원기둥의 부피)`:`(구의 부피)`:`(원뿔의 부피)

=2prÜ``:`;3$;prÜ``:`;3@;prÜ``

=2`:`;3$;`:`;3@;=3`:`2`:`1

517

공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원기둥 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r`cm, 높이 는 4r`cm이다.

이때 원기둥의 부피가 32p`cmÜ`이므로 prÛ`_4r=32p

rÜ`=8 ∴ r=2

∴ (공 1개의 부피)=;3$;p_2Ü```

= 323 p(cmÜ`)

323 p`cmÜ`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공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50`%

❷ 공 1개의 부피 구하기 50`%

518

(남아 있는 물의 부피)=(원기둥의 부피)-(구의 부피) =p_5Û`_10-;3$;p_5Ü`

=250p-:;%3):);p

=:;@3%:);p(cmÜ`) :;@3%:);p`cmÜ`

519

(탁구공 전체의 부피)={;3$;p_1Ü`}_18=24p(cmÜ`) (상자의 부피)=6_6_4=144(cmÜ`)

따라서 구하는 부피의 비는

24p`:`144=p`:`6

520

(구의 부피)=;3$;prÜ`

정팔면체의 부피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사각뿔의 부피의 2배와 같고, 이 정사 각뿔의 밑면의 넓이는

{;2!;_2r_r}_2=2rÛ``이므로

4r`cm r`cm

r 2r

r

(정팔면체의 부피)=(정사각뿔의 부피)_2 ={;3!;_2rÛ`_r}_2 =;3$;rÜ``

∴ (구의 부피)`:`(정팔면체의 부피)=;3$;prÜ```:``;3$;rÜ``

=p`:`1

521

(정육면체의 부피)=10_10_10=1000(cmÜ`) (구의 부피)=;3$;p_5Ü`=:;%3):);p(cmÜ`)

(사각뿔의 부피)=;3!;_10_10_10= 10003 (cmÜ`) 따라서 구하는 부피의 비는

1000`:`:;%3):);p`:` 10003 =6`:`p`:`2

522

주어진 입체도형은 사다리꼴 AEFP를 밑면으로 하는 사각기둥 이므로

(겉넓이)=(밑넓이)_2+(옆넓이)

=[;2!;_(1+4)_4]_2+(4+1+5+4)_4 =20+56=76(cmÛ`) 76`cmÛ``

523

한 모서리의 길이가 2`cm인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2_2_6=24(cmÛ`)

한 번 자를 때마다 단면의 넓이는 2_2_2=8(cmÛ`)

만큼씩 늘어나므로

(겉넓이의 총합)=24+8_5=64(cmÛ`) 64`cmÛ``

524

주어진 입체도형의 각 면을 전개하면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5`cm

{2π\2}`cm

{2π\5}`cm 2`cm

4`cm 5`cm

(겉넓이) =(p_5Û`)_2+(2p_2)_2+(2p_5)_4

=50p+8p+40p

=98p(cmÛ`) 98p`cmÛ`

심화문제 도전하기 113~114쪽

A

B C

D

2`cm 3`cm

525

Ú ABÓ를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 므로

SÁ =(p_2Û`)_2+(2p_2)_3

=8p+12p

=20p(cmÛ`)

Û ADÓ를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Sª =(p_3Û`)_2+(2p_3)_2

=18p+12p

=30p(cmÛ`)

∴ SÁ`:`Sª =20p`:`30p=2`:`3 ❸

2`:`3

단계 채점 기준 배점

SÁ의 값 구하기 40`%

Sª의 값 구하기 40`%

SÁ`:`Sª 구하기 20`%

526

세 물통의 밑넓이가 모두 같으므로 물의 부피의 비는 물의 높이 의 비와 같다.

∴ a`:`b`:`c=16`:`24`:`40=2`:`3`:`5 2`:`3`:`5

527

주어진 입체도형을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하면 윗부분은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cm, 높이 가 4`cm인 원기둥의 절반이고, 아랫부분 은 밑면의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cm, 높이가 6`cm인 원기둥이다.

따라서 구하는 부피는

{(p_2Û`)_4}_;2!;+(p_2Û`)_6

=8p+24p

=32p(cmÜ`) 32p`cmÜ``

다른 풀이 주어진 입체도형을 2개 붙이면 다음 그림과 같이 밑 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cm이고, 높이가 16`cm인 원기둥 과 같다.

6`cm

6`cm 10`cm

10`cm 2`cm

∴ (입체도형의 부피)=(p_2Û`_16)_;2!;

=32p(cmÜ`)

6`cm 4`cm

6`cm

2`cm 2`cm

528

주어진 직각삼각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 로

(겉넓이)=(안쪽의 옆넓이)

+(바깥쪽의 옆넓이)+(밑넓이) =p_5_13+2p_5_12+p_5Û``

=65p+120p+25p

=210p(cmÛ`) 210p`cmÛ``

529

두 그릇에 담긴 물의 양이 서로 같으므로 (삼각뿔의 부피)=(삼각기둥의 부피)

;3!;_{;2!;_9_5}_4={;2!;_5_x}_4

30=10x  ∴ x=3 3

530

(A 그릇의 물의 부피)=;3!;_(p_6Û`)_12 =144p(cmÜ`) B 그릇에 담긴 물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B 그릇에 담긴 물의 부피)=p_4Û`_h=16ph(cmÜ`) 물의 부피가 144p`cmÜ`이므로

16ph=144p ∴ h=9

따라서 B 그릇의 물의 높이는 9`cm이다. 9`cm

531

⑴ 원뿔의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의 3배와 원 O의 둘레의 길 이가 같아야 하므로

(2p_6)_3=2pl, 36p=2pl  ∴ l=18

⑵ (원뿔의 옆넓이) =p_6_18

=108p(cmÛ`)

⑴ 18 ⑵ 108p`cmÛ`

단계 채점 기준 배점

l의 값 구하기 50`%

❷ 원뿔의 옆넓이 구하기 50`%

532

주어진 입체도형을 원뿔에서 ;4!;을 잘라 낸 입체도형과 삼각뿔로 나누어 생각하면

(부피)=;4#;_(원뿔의 부피)+(삼각뿔의 부피)

=;4#;_[;3!;_(p_6Û`)_12]+;3!;_{;2!;_6_6}_12 =108p+72(cmÜ`) (108p+72)`cmÜ``

5`cm 12`cm 13`cm

533

주어진 입체도형의 전개도는 다음 그림과 같다.

4`cm

5`cm 4`cm 10`cm

2`cm

∴ (겉넓이)

=p_2Û`+(p_5_10-p_2_4)+(2p_5)_4+p_5Û```

=4p+42p+40p+25p

=111p(cmÛ`) 111p`cmÛ`

534

주어진 평면도형을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 므로

(겉넓이)

=(4p_3Û`)_;2!;+(p_4Û`-p_3Û`) +(2p_4)_5+p_4Û`

=18p+7p+40p+16p

=81p(cmÛ`) 81p`cmÛ``

535

넘치는 물의 부피는 반지름의 길이가 6`cm인 구의 부피와 같으 므로

(넘치는 물의 부피)=;3$;p_6Ü``

=288p(cmÜ`)

원기둥 B의 최소 높이를 h`cm라고 하면

288p=(p_4Û`)_h

288p=16ph ∴ h=18

따라서 원기둥 B의 최소 높이는 18`cm이다. ❸

18`cm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넘치는 물의 부피 구하기 40`%

❷ 식 세우기 40`%

❸ 원기둥 B의 최소 높이 구하기 20`%

3`cm

4`cm 5`cm

536

③ 줄기 9의 잎은 4개이므로 수학 성적이 90점 이상인 학생은 4 명이다.

④ (전체 학생 수)=4+5+7+4=20(명)

⑤ 줄기 9의 잎이 4개이고, 줄기 8의 가장 큰 잎이 8이므로 수 학 성적이 좋은 쪽에서 5번째인 학생의 점수는 88점이다.

537

⑴ 세연이의 기록보다 좋은 기록은 148`cm, 152`cm, 154`cm, 155`cm

이므로 세연이보다 기록이 좋은 학생 수는 4명이다. ❶

⑵ 가장 멀리 뛴 기록은 155`cm이고, 가장 가깝게 뛴 기록은

113`cm이다.

  따라서 두 기록의 차는

  155-113=42(cm) ❸

⑴ 4명 ⑵ 42`cm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❶ 세연이보다 기록이 좋은 학생 수 구하기 40`%

❷ 가장 멀리 뛴 학생과 가장 가깝게 뛴 학생의

기록 구하기 40`%

❸ 가장 멀리 뛴 학생과 가장 가깝게 뛴 학생의

기록의 차 구하기 20`%

538

① 줄기가 3인 잎은 7개이다.

② 잎이 가장 많은 줄기는 2이다.

③ (전체 학생 수)=5+6+8+7+4=30(명)

④ 4+5+6+6+7=28(권)

⑤ 줄기가 4인 잎이 4개이므로 40권 이상 읽은 학생은 4명이다.

539

⑴ a=4, b=7, c=6이므로 a+b+c=17

⑵ 줄기가 2인 잎이 5개이므로 20대인 선생님은 5명이다.

전체 선생님은 20명이므로 20대인 선생님은 전체의   520 _100=25(%)

⑶ 나이가 가장 많은 선생님의 나이는 54세이고 가장 적은 선생

필수유형 공략하기 119~133쪽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