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관리요인, 경기상황대처요인의 차이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8)

III. 연구방법

3)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관리요인, 경기상황대처요인의 차이

변산원 자승합 df 평균자승 F값 유의도

집단간 2.296 3 .765 1.109 .347

집단내 135.270 196 .690

전 체 137.566 199

입상경력에 따라 정신력관리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 여 일원변량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8>과 같다.

표 18. 입상경력에 따른 정신력관리 요인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변산원 자승합 df 평균자승 F값 유의도

집단간 3.550 3 1.183 1.359 .257

집단내 170.645 196 .871

전 체 174.195 199

입상경력은 정신력관리요인에 있어서 F=1.359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라 정신력관리요인에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상경력은 정신력관리요 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③ 입상경력에 따른 몸 관리요인의 차이

입상경력에 따라 몸 관리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 여 일원변량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9>과 같다.

표 19. 입상경력에 따른 몸 관리요인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입상경력은 몸 관리요인에 있어서 F=1.109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라 몸 관리요인에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상경력은 몸 관리요인에 영

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④ 입상경력에 따른 대인관계관리 요인의 차이

입상경력에 따라 대인관계관리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 하여 일원변량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20>과 같다.

표 20. 입상경력에 따른 대인관계관리요인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변산원 자승합 df 평균자승 F값 유의도

집단간 5.480 3 1.827 1.702 .168

집단내 210.395 196 1.073 전 체 215.875 199

입상경력은 대인관계관리요인에 있어서 F=1.702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라 대인관계관리요인에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상경력은 대인관 계관리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입상경력에 따른 경기상황대처요인의 차이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른 경기상황대처(집중력, 불 안조절, 목표설정, 심상)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세 수준간의 경기상황대 처요인의 차이를 산술적으로 제시해 주는 집단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 으며,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및 사후검증(Post Hoc Multiple Comparisons)을 실시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입상경력에 따른 집중력 요인의 차이

입상경력에 따라 집중력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 원변량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21>와 같다.

표 21. 입상경력에 따른 집중력요인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변산원 자승합 df 평균자승 F값 유의도

집단간 11.106 3 3.702 4.382 .005

집단내 165.570 196 .845

전 체 176.676 199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은 집중력요인에 있어서 F=4.382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라 집중력요인 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상경력은 집중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들 세 수준간의 사후검증 결과는 다음의 <표 22>와 같다.

표 22. 입상경력에 따른 집중력요인의 차이에 따른 평균, 표준편차 및 사후검증 결과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사후검증

1. 없음 8 3.2500 1.58114

2,3,4>1

2. 1~3회 38 3.4123 1.17131

3. 4~6회 57 3.7895 .83958

4. 7회 이상 97 3.9759 .77616

전체 200 3.7867 .94224

<표 2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입상경력에 따른 집중력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중력요인은 7회 이상(M=3.9759)의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6회(M=3.7895), 1~3회(M=3.4123), 없음(M=3.2500)의 순으로 나타난 것 으로 사료된다. 한편 사후검증결과, 7회 이상, 4~6회, 1~3회 집단이 입상경력 이 없는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변산원 자승합 df 평균자승 F값 유의도

집단간 .203 3 .068 .113 .952

집단내 117.352 196 .599

전 체 117.555 199

② 입상경력에 따른 불안조절요인의 차이

입상경력에 따라 불안조절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 원변량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23>과 같다.

표 23. 입상경력에 따른 불안조절요인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변산원 자승합 df 평균자승 F값 유의도

집단간 4.728 3 1.576 2.540 .058

집단내 121.627 196 .621

전 체 126.355 199

입상경력은 불안조절요인에 있어서 F=2.540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라 불안조절요인에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상경력은 불안조절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③ 입상경력에 따른 목표설정요인의 차이

입상경력에 따라 목표설정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 원변량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24>과 같다.

표 24. 입상경력에 따른 목표설정요인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입상경력은 목표설정요인에 있어서 F=.113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라

변산원 자승합 df 평균자승 F값 유의도

집단간 8.411 3 2.804 2.554 .057

집단내 215.169 196 1.098 전 체 223.580 199

목표설정요인에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상경력은 목표설정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④ 입상경력에 따른 심상 요인의 차이

입상경력에 따라 심상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 량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25>과 같다.

입상경력은 심상요인에 있어서 F=2.554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라 심상요 인에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상경력은 심상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표 25. 입상경력에 따른 심상요인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표 2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입상경력(없음, 1~3회, 4~6회, 7회 이상)에 따른 심상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심상요인은 7회 이상(M=3.8144)의 집단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회(M=3.5000), 4~6회(M=3.3860), 없음 (M=3.2500)의 순으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2. 체조선수들의 자기관리요인이 체조경기상황대처요인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8)

관련 문서